KHU임채이
목차
소개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에 선조가 피난지인 의주에서 서울로 돌아와 정릉동에 있던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사저에 머물면서 행궁으로 사용하던 곳을 1611년에(광해군 3) 광해군이 처음 경운궁이라 이름 붙였다[1] 1623년(인조 1)에는 인조반정 뒤에 인조가 경운궁 즉조당(卽祚堂)에서 즉위하였으며 [2], 이후 1748년(영조 24)에는 영조가 인조의 즉위처를 확인하기 위해 경운궁에 임어하기도 했다.(『영조실록』 24년 1월 27일) 고종 이전까지 명례궁(明禮宮)이 자리하기도 했다.
고종대 황폐한 이곳에 새롭게 궁궐을 조성했다. 1893년(고종 30)에는 고종이 즉조당에서 선조 환도 30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을 치렀다.[3] 1896년(고종 33)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는 을미사변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播遷)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정궁으로 삼고자 경운궁을 영건하였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환구단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경운궁으로 돌아와 대한제국을 선포하자 경운궁은 황궁(皇宮)으로 격상되었다. 1907년(융희 1)고종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퇴위된 이후 고종의 호를 덕수(德壽)로 하였기 때문에 경운궁은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렸다. 속칭 정릉동 황궁(皇宮)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고종 사후인 1921년에는 경운궁선원전(璿源殿), 순종 비의 혼전인 의효전(懿孝殿)을 창덕궁으로 이건한 뒤, 궁역 서북부가 분할·매각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의 사무소와 미소공동위원회의 회의장으로 석조전(石造殿)이 사용되었으며, 1948년에는 정부 수립과 광복 3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이 거행되는 등 정치의 중심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경운궁은 덕수궁으로 통칭되며 시민공원으로 활용되거나 음악공연장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석조전과 그 별관은 국립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이용되면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역사
덕수궁 이름의 변천사
- 경운궁
- 덕수궁
좌구명 | 주 | 국어(國語) |
공자 | 춘추시대 | 춘추(春秋) |
사마천 | 전한 | 사기(史記) |
반고 | 후한 | 한서(漢書) |
구분 | 목록 | 한자 |
---|---|---|
본기 | 오제본기 | 五帝本紀 |
하제본기 | 夏帝本紀 | |
은본기 | 殷本紀 | |
표 | 10권 | |
서 | 8권 | |
세가 | 30권 | |
열전 | 70권 |
덕수궁과 왕실과의 관계
- 조선
- 인조
- 광해군
- 대한제국
- 고종
건물
외전
내전
궐내각사
동궁
생활기거공간
후원
각 건물의 건축 방식
건물의 훼손과 복원
덕수궁에서 일어난 일
인조 즉위
아관파천
을미사변 이후 일본의 영향 아래에서 조직된 제4차 김홍집(金弘集)내각은 일세일원연호(一世一元年號), 태양력 사용, 군제개혁, 단발령의 실시 등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명성황후의 시해와 단발령의 실시는 친일내각과 그 배후세력인 일본에 대한 국민의 감정을 극단적으로 자극하여 전국 각지에서 의병항쟁이 일어났다. 이범진(李範晉)·이완용(李完用) 등 친러파 세력은 친위대(親衛隊)가 의병을 진압하기 위해 지방으로 이동한 틈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세력만회와 신변에 불안을 느끼고 있던 고종의 희망에 따라 러시아 공사 베베르(Waeber)와 협의하여 보다 안전한 러시아 공관(공사관)으로 이동(파천)하였다.[4]
아관파천 1년간은 내정에 있어서도 러시아의 강한 영향력 밑에 놓이게 되어 정부 각부에 러시아인 고문과 사관(士官)이 초빙되고, 러시아 무기가 구입되어 중앙 군제도 러시아식으로 개편되었으며, 재정도 러시아인 재정고문에 의해 농단되었다. 탁지부 고문으로 있던 러시아인 알렉세예프(K. Alexeev)는 탁지부대신처럼 행세하였다. 1897년 2월 25일, 고종은 러시아의 영향에서 벗어나라는 내외의 압력에 따라 러시아 공관을 떠나 경복궁이 아닌 경운궁(慶運宮 - 지금의 덕수궁)으로 환궁 하고[5]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치고, 황제 즉위식을 하여 독립제국임을 내외에 선포하였다.
덕수궁 대화재
대한제국 선포
을사늑약
경운궁 중명전에서 일제는 1905년 고종을 협박하며 이른바 ‘을사조약’을 불법적으로 체결하였으며, 1906년 2월 1일에는 일본 통감부를 개설하고 이토 히로부미가 이곳에서 첫 통감으로 부임하기도 하였다.[6]
덕수궁 관련 영상
덕수궁, 시대의 운명을 이야기하다 2021 방구석 힐링 투어! 서울도보해설관광 체험영상_덕수궁편
각주
- ↑ 『광해군일기』 3년 10월 11일
- ↑ 『인조실록』 1년 3월 13일
- ↑ 『고종실록』30년 10월 4일
- ↑ 『고종실록』33년 2월 11일
- ↑ 『고종실록』 34년 2월 20일
-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청년사, 1999, 2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