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제목2)
32번째 줄: 32번째 줄:
 
}}
 
}}
  
==='''제목2'''===
+
==='''유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12년 아버지 홍명희의 중국행 이후 홍명희의 고향인 충청북도 괴산에 내려가 증조할아버지의 지도로 한학을 수학했다. 1919년 3·1 운동이 발생하고 부친이 투옥되는 사건을 거치면서 민족의식을 각성하였는데, 이때부터 국어 연구에 몰두하였다. 1922년 중국 유학, 이어서 1925년 일본 유학을 떠났으나 국내 학력이 전무했기 때문에 정규 교육 기관에서 수학하지는 못하였다. 중국 유학 시절부터 사회주의를 접하였고, 일본 유학 시절에는 재일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직한 사회주의 운동 단체인 일월회와 동경 무산 청년 동맹회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ref>[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f>
 +
 
 
}}
 
}}
  

2024년 5월 27일 (월) 18:29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홍기문(洪起文)
홍기문.jpg
출처 :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한국 근대 사료 DB> 홍기문[1]
 
한글명 홍기문 한자명 洪起文 영문명 Hong Gi Mun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03년 몰년 1992년 출신지 서울특별시 안국동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은거한 독립운동가이자 국어학자.


생애


가계

1903년 9월 23일, 홍명희와 민순영의 2남 3녀 중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가문은 풍산 홍씨 추만공파(秋巒公派)로서 노론계 명문 사대부가이다. 아버지는 『임꺽정』을 저술한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이다. 어머니는 여흥 민씨로서 명성 황후의 일족이었다.


유년기

1912년 아버지 홍명희의 중국행 이후 홍명희의 고향인 충청북도 괴산에 내려가 증조할아버지의 지도로 한학을 수학했다. 1919년 3·1 운동이 발생하고 부친이 투옥되는 사건을 거치면서 민족의식을 각성하였는데, 이때부터 국어 연구에 몰두하였다. 1922년 중국 유학, 이어서 1925년 일본 유학을 떠났으나 국내 학력이 전무했기 때문에 정규 교육 기관에서 수학하지는 못하였다. 중국 유학 시절부터 사회주의를 접하였고, 일본 유학 시절에는 재일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직한 사회주의 운동 단체인 일월회와 동경 무산 청년 동맹회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2]


제목3


제목4


제목5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논저 목록

[3]

연번 분류 논문&저서명 간행연월일
A001 논문 이조실록의 사료적 비판 1949
A002 논문 조선어의 기본 어휘와 어휘 구성에서 고유 어휘와 한자 어휘가 가지는 관계 1956
A003 논문 조선어와 몽고어와의 관계 1959
A004 논문 조선어 한자 어휘의 문제 1961
A005 논문 중국 고문헌의 기록과 조선어의 계통 문제 1964
A006 저서 조선 문법 연구 1947
A007 저서 정음 발달사 1946
A008 저서 훈민정음 역해(訓民正音譯解) 1949
A009 저서 향가 해석 1956
A010 저서 이두 연구 1957
A011 저서 조선어 역사 문법 1966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https://db.history.go.kr/modern/ia/detail.do?levelId=ia_6105_4729
  2.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3. 이 부분은 참고자료에 나와있는 논저를 정리한 것으로, 확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