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문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한동진(PNU2024)이 작성했습니다.
"논저 목록"은 김진규 작성(22.11.30)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홍기문(洪起文)
홍기문.jpg
출처 : 홍기문,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한국 근대 사료 DB』online
 
한글명 홍기문 한자명 洪起文 영문명 Hong Gi Mun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03년 몰년 1992년 출신지 서울특별시 안국동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은거한 독립운동가이자 국어학자.


생애


유년기

1903년 9월 23일, 홍명희(洪命憙)인물와 민순영인물의 2남 3녀 중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가문은 풍산 홍씨 추만공파(秋巒公派)로서 노론계 명문 사대부가이다. 아버지는 『임꺽정』을 저술한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이다. 어머니는 여흥 민씨로서 명성 황후의 일족이었다. 1912년 아버지 홍명희의 중국행 이후 홍명희의 고향인 충청북도 괴산에 내려가 증조할아버지의 지도로 한학을 수학했다. 1919년 3·1 운동이 발생하고 부친이 투옥되는 사건을 거치면서 민족의식을 각성하였는데, 이때부터 국어 연구에 몰두하였다.


청년기

1922년 중국 유학, 이어서 1925년 일본 유학을 떠났으나 국내 학력이 전무했기 때문에 정규 교육 기관에서 수학하지는 못하였다. 중국 유학 시절부터 사회주의를 접하였고, 일본 유학 시절에는 재일 조선인 유학생들이 조직한 사회주의 운동 단체인 일월회단체와 동경 무산 청년 동맹회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926년 귀국하여 아버지 홍명희와 함께 신간회단체 창립 준비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아버지의 지시로 신간회 강령과 규약 작성 등 구체적인 조직 준비 작업을 하였다. 이후 홍기문은 신간회 경성 지회 간부로 선임되어 신간회 해소 때까지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또 프롤레타리아 문학 단체 카프[KAPF][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 동맹]에도 가담하여 비평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28년 12월 학생 공산당 사건 관련 혐의, 1929년 12월 신간회 민중 대회 사건사건 관련 혐의 등으로 여러 차례 검거되어 고문을 당하였고, 그 후유증으로 병에 걸려 많은 고통을 받았다. 이후 신간회가 해체되면서 사회 활동을 정리하고 국어 연구에 다시 매진하게 되었다.[1]


은둔생활시작

홍기문은 『조선 일보』가 폐간되기 전해인 1939년 말에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방학리[현 도봉구 방학동]로 이주하였다. 이 무렵 아버지 홍명희도 창동으로 이주하였으며, 홍기문의 집은 아버지의 집에서 멀지 않은 곳이었다. 홍기문은 『조선 일보』가 폐간되기 전까지 창동역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로 출퇴근하였다. 당시는 일제가 중일 전쟁을 일으키며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고 전시 체제기였기 때문에 민족 운동가에 대한 감시와 탄압이 매우 가혹한 시기였다. 특히 사회주의 활동과 신간회 활동으로 여러 차례 검거된 적이 있던 홍기문은 이 시기에 일제 감시의 눈을 피해 은둔 생활을 하였다. 대신 이 기간 동안 조선의 언어와 역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에 진력하였다.[2]


해방 이후 월북까지

해방 이후 아버지 홍명희, 아우 홍기무와 함께 서울 신문사에 들어가 주필 겸 편집국장을 역임하였고, 합동 통신사 전무 취체역(取締役)[이사]도 맡았다. 좌우 대립이 극심한 해방 정국에서 아버지를 따라 중간파 활동을 하였으며, 민족 독립당에도 가담하였다. 홍명희가 분단을 막기 위해 남북 연석회의에 참석했을 때, 김일성의 제안으로 북한에 남게 되고, 식구들을 북한에 초빙함에 따라 홍기문도 월북하였다. [3]


월북 이후

1948년 4월 남북정치협상대표였던 부친을 따라 입북한 뒤, 그대로 잔류하여 주로 국어학연구와 문화활동에 주력하였다. 1948년 최고인민회기관의 대의원, 1949년 김일성종합대학기관 부교수, 1954년 동대학기관 교수, 1957년 과학원어학연구소기관소장, 1961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기관 위원, 1964년 사회과학원기관 부원장, 1972년 ·77년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겸 상설회의 부의장, 1980년 당중앙위원, 1981년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중앙위원장, 사회과학원원장, 1984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도 국어학분야에 관한 여러 업적을 꾸준히 발표하였다. [4]





연구


논저 목록

저자명 기사명 단행본/잡지명 권호 출판사 출판일자 분류
홍기문 조선의 고대사료로서 한위 이전 중국문헌의 검토 력사제문제 9 19490725 잡지
홍기문 이조실록의 사료적 비판 력사제문제 7 19490620 잡지
홍기문 조선의 고고학에 대한 일제어용학설의 검토(상) 력사제문제 13 19491115 잡지
홍기문 조선의 고고학에 대한 일제어용학설의 검토(하) 력사제문제 14 19491225 잡지

조선 일보 폐간 이전 국어 연구

1931년에 『조선 문법 연구』서적를 집필하였는데, 이 책은 당시 출판 사정 등으로 인하여 해방 이후에 출간되었다. 1928년 가을 조선 일보사에 입사하였다가 1930년에 신병으로 퇴사하였는데, 1932년 말부터 조선 일보사에 재입사하여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 일보』가 폐간되는 1940년 8월까지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국어학, 국문학, 국사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조선학 관련 논문을 저술하여 『조선 일보』와 기타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은둔 생활중 국어 연구

은둔 생활 이전부터 계획하고 있던 훈민정음에 관한 저서의 집필에 몰두하여, 『정음 발달사』를 집필하였다[역시 간행은 해방 이후에 이루어졌다]. 『정음 발달사』는 최초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선행 연구들보다 훨씬 깊이 있고 진전된 학설을 제시했다고 평가된다. 또 이 시기 동안 『고려사(高麗史)』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숙독하였다.





논저 목록

[5]

연번 분류 논문&저서명 간행연월일
A001 논문 이조실록의 사료적 비판 1949
A002 논문 조선어의 기본 어휘와 어휘 구성에서 고유 어휘와 한자 어휘가 가지는 관계 1956
A003 논문 조선어와 몽고어와의 관계 1959
A004 논문 조선어 한자 어휘의 문제 1961
A005 논문 중국 고문헌의 기록과 조선어의 계통 문제 1964
A006 저서 조선 문법 연구 1947
A007 저서 정음 발달사 1946
A008 저서 훈민정음 역해(訓民正音譯解) 1949
A009 저서 향가 해석 1956
A010 저서 이두 연구 1957
A011 저서 조선어 역사 문법 1966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명희(洪命憙) Person: 홍기문 A hasSon B
Person: 민영순 Person: 홍기문 A hasSon B
Person: 홍기문 Group: 신간회 A isMemberOf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최고인민회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김일성종합대학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동대학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과학원어학연구소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조국평화통일위원회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Institution: 사회과학원 A worksAt B
Person: 홍기문 Book: 조선 문법 연구 A isWriterOf B



Timeline


홍기문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홍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 홍기문, 『디지털도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 김주원∙ 탈북자, 홍기문과 리조실록, 『자유아시아방송』, 2021.07.21, 『자유아시아방송』online






주석


  1. 출처 : 홍기문, 『디지털도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2. 출처 : 홍기문, 『디지털도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3. 출처 : 홍기문, 『디지털도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4. 출처 : 홍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회
  5. 이 부분은 참고자료에 나와있는 논저를 정리한 것으로, 확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