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5번째 줄: 5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김현구(金炫耉)
+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한글명=김현구
+
|한글명=
|한자명=金炫耉
+
|한자명=
|영문명=Kim Hyeon Gu
+
|영문명=
 
|가나명=
 
|가나명=
|이칭=현구(玄鳩)
+
|이칭=
|성별=남성
+
|성별=
|생년=1903
+
|생년=
|몰년=1950
+
|몰년=
|출신지=전라남도 강진
+
|출신지=
 
|전공=
 
|전공=
 
}}
 
}}
22번째 줄: 22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현대시인. 1903년 11월 30일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태어나 강진공립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일본에서 수학한 적이 있다. 1930년 10월에 발간된 「시문학」2호에 4편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그 뒤 「문예월간」과 「문학」등을 통해 1934년 4월까지 12편의 시를 발표했다. 작품을 매우 아껴 쓴 시인이며, 그 내용의 경향이 강한 서정성을 기반으로 하여 자연과 인생에서 느낀 감정을 부드러운 가락에 담고 있는 탓에 시문학파 시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생전 시집의 여러 번 출판 시도 하였으나 무산되었으며 이후 1970년에 유고(遺稿)들을 모은 「현구 시집(玄鳩詩集)」이 비매품으로 출간되었다.
+
|내용=  
 
}}
 
}}
  
 
=='''생애'''==
 
=='''생애'''==
 
----
 
----
==='''출생 및 어린시절'''===
+
==='''제목1'''===
 +
{{글상자|
 +
|내용=
 +
}}
 +
 
 +
==='''제목2'''===
 
{{글상자|
 
{{글상자|
|내용=김현구는 1903년 11월 30일 강진군 강진읍 서성리 179번지에서 아버지 김노식과 어머니 김광자 사이 5남 4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현구는 보통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강진의 관서제에서 이웃집에 살던 {{TagPerson|[[김윤식|영랑(金永郞)]]}}과 강진의 {{TagInstitution|[[금서당|금서당]]}}(영랑 생가 뒤에 현존)에서 한문을 배웠다. 그리고 1911년 {{TagInstitution|[[강진공립보통학교|강진공립보통학교]]}}(현재 강진중앙초교)에 입학했으나 1학년을 마치고 중퇴한 뒤 재입학하여 1918년 졸업했다.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한 현구는 1920년 배제학당에 입학했으나 무슨 연유인지 1921년 자퇴하고 강진에 내려와 북산(일명 보은산)의 병풍바위와 비둘기바위 등을 벗 삼아 습작생활을 했다.
+
|내용=  
 
}}
 
}}
  
==='''일본 유학'''===
+
==='''제목3'''===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
 
}}
  
==='''등단 및 거듭한 출판 시도'''===
+
==='''제목4'''===
 
{{글상자|
 
{{글상자|
|내용=김현구의 공식적인 등단은 「시문학」2호(1930. 5)에 ‘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렇습니다’를 비롯한 4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
|내용=
그 후 현구는 「시문학」3호(1931. 10)에 ‘황혼’ 등 4편, 「문예월간」창간호(1931. 11)에 ‘풀 우에 누어’, 「문학」창간호(1933.12)에 ‘내 마음 사는 곧’, 「문학」2호(1934. 2)에 ‘길’, 「문학」’3호(1934. 4)에 ‘산비둘기 같은’ 등 총 12편의 시를 발표하며 활발한 시단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문학」의 종간과 함께 현구의 공식적인 시단활동은 종결되었다. 이후 그는 시단과 인연을 끊고 향리에 묻혀 자족적으로 시를 쓰다가 1935년 시문학사에서 「정지용 시집」, 「영랑시집」에 이어 「현구 시집」을 출간하려 했으나 {{TagPerson|[[박용철|박용철]]}}의 와병으로 무산되었다. 그 후 1941년 시집 제목을 「무상(無常)」으로 정하고 광명출판인쇄공사에 재출판을 시도했으나 출판사측과의 마찰로 역시 무산되었다. 뒤이어 1949년 공보처 출판 국장으로 있던 영랑에게 시집 발간을 의뢰하였으나, 6.25전쟁으로 또 좌절되었다. 그후 1970년에 장남 원배 등에 의해 현구시집이 비매품으로 출간되었다.
 
 
}}
 
}}
  
==='''타계''===
+
==='''제목5'''===
 
{{글상자|
 
{{글상자|
|내용=절친인 영랑이 서울에서 죽은지 나흘 후인 10월 3일에 강진읍사무소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던 김현구 시인은 좌익들의 소행으로 향년 46세로 죽음을 맞이하고 말았다.
+
|내용=  
 
}}
 
}}
  
55번째 줄: 58번째 줄:
 
=='''연구'''==
 
=='''연구'''==
 
----
 
----
===''''''===
+
==='''제목1'''===
 +
{{글상자|
 +
|내용=
 +
}}
 +
 
 +
==='''제목2'''===
 +
{{글상자|
 +
|내용=
 +
}}
 +
 
 +
==='''제목3'''===
 
{{글상자|
 
{{글상자|
|내용=김현구 시인은 서민적이며 자신의 작품 속에 낙화정, 서문, 신학산 등 강진의 구체적 지명과 풍물을 끌어들이는 등 감각성이 뛰어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라도 강진 토속 방언을 적절히 활용했으며, 음악성과 감각성이 돋보이는 운율을 시 속에 담아냄으로써 현대 서정시의 발전에 기여했다.
+
|내용=  
 
}}
 
}}
  
115번째 줄: 128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출처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1 - 한국 근현대문학을 개척한 광주의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강진 시문학 공간의 문화콘텐츠화 연구 -김영랑 ․ 김현구의 시를 중심으로
 

2024년 6월 5일 (수) 23:43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한글명(한자명)
출처 :
 
한글명 한자명 영문명 가나명 이칭
성별 생년 몰년 출신지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생애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