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재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임성윤(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이민재(李敏載)
이민재.png
출처 : "역대총장", 『총장』online, 강원대학교.
 
한글명 이민재 한자명 李敏載 영문명 Lee Min-jai[1] 가나명 이칭 창암(滄巖)
성별 남성 생년 1917년 몰년 1990[2] 출신지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1동 100[3] 전공 생물학, 식물학, 식물생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 식물생리학서적』, 『 약용식물학서적』, 『 일반식물학서적』 등을 저술한 학자, 식물학자.[4] 이민재는 서울대 식물학과를 이끌며 새로운 연구 전통을 확립했고, 이 과정에서 해양학과 미생물학이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분리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5] 한국의 자연보존단체 결성과 자연보호헌장 제정에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문교부 차관과 강원대 총장 등을 역임하면서 한국의 대학 교육 개선에도 일조했다.[6] 이민재가 총장으로 재직했던 강원대에서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2017년에 특별전시회와 함께 동상 제막식을 개최했다. [7]


생애


출생·사망 및 가족관계

본관은 전주(全州)이다.[8] 1917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이용석인물과 윤선정인물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9] 원래 쌍둥이였지만 어린 시절 다른 한 명이 사망했다.[10] 30세가 넘은 1948년에 이혜경인물과 결혼했다. [11] 결혼 후 자녀로 4남매를 두었다.[12] 그는 73세인 1990년에 세상을 떴고 경기도 마석공간 모란공원기관에 묻혔다.[13]


소년시절의 학업

북간도에서 유치원을 거쳐 1925년 용정중앙학교기관에 들어갔다.[14] 가족이 이사를 함에 따라 5학년을 마치고 회령보통학교기관로 전학했다. [15] 1931년 보통학교 졸업 후에는 아버지의 권유로 일본인이 다니는 나남중학교기관로 진학했다. [16] 100여 명으로 이루어진 회령유학생친목회단체에 참여하며 타지에서 공부하는 고향 출신의 학생들과 친하게 어울렸다. [17] 당시 꿈은 정치학이나 경제학을 공부하여 외교관이 되는 것이었다. [18] 그러나 아버지 이용석인물은 "조선 사람은 큰 실업가가 될 수 없고 정치가도 될 수 없으니 약간의 자금으로 자립할 수 있는 안전한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제삼 창암문집』,1990)고 조언하며 약학을 권했다.[19] 1936년 중학교 5학년 과정을 마치고 경성약학전문학교기관에 진학했다. [20]


청년시절의 학업

경성약학전문학교기관 재학 시 한동안은 학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운동에만 전념했다. [21] 그러다가 2학년 때 유일한 조선인 교수였던 도봉섭인물을 만나면서 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2] 이 무렵부터 원래 품고 있던 대학 진학의 꿈도 되살렸다. [23] 1939년 경성약학전문학교기관를 졸업한 뒤 일본 홋카이도대학기관[北海道大學]에서 식물학을 전공하였다.[24] 재학 당시 북우회단체라는 조선인 유학생 모임을 만들어 어울리며 친하게 지냈다. [25] 남들이 하지 않는 분야인 데다 자신이 공부한 약학과도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사카무라 데쓰인물가 이끄는 식물생리학을 전공하기로 했다.[26] 졸업을 앞두었을 때 집안 사정을 이야기하고 만주로 갔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히자 교수는 대륙과학원기관을 추천해 주었다.[27] 만주국 고등문관시험(기술관)사건을 치러 합격하고, 1942년 홋카이도대학기관[北海道大學]를 졸업했다.[28] 이후 제15기로 만주국 국무원 대동학원기관에서 약 10개월 간 고위관료 연수과정을 거쳤다.[29]


직무 및 경력

연구자의 삶을 택해 신징에 위치한 대륙과학원기관 근무를 자청했다.[30] 부연구관 자격으로 세 명의 연구사를 데리고 연구를 진행하는 한 편, 법정대학기관과 신징의과대학기관에서도 강의했다.[31] 1945년 귀국하여 경성약학전문학교기관 교수로 재직하였다.[32] 그는 전공을 살려 식물생약교실공간의 책임을 맡았다. [33] 1946년에는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안(국대안)에 따라 경성약학전문학교기관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기관으로 개편되었다.[34] 이듬해에 그는 약학대학이 아니라 문리과대학 생물학과로 소속을 바꾸었다. [35] 194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기관 교수직을 맡아 자연과학교육의 틀을 마련하면서 본격적인 생물학교육을 시작하였다. [36] 1961년 문교부차관 직을 맡아 교육제도 발전과 교육행정 개선에도 크게 기여하였다.[37] 1976년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교수에서 아주공과대학기관 학장으로 선임되면서 아주대학을 발전시켰고, 1978년 강원대학교기관 총장에 취임하여 강원대학교기관가 오늘과 같이 발전할 수 있는 기틀 마련에 공헌을 하였다.[38]


사회적 활동사항

1945년 9월 몇몇 생물학자가 계농생약연구소기관에 모여 일본인의 주축이었던 조선박물학회를 인수하여 현대적 명칭의 조선생물학회단체를 창립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41] 조선생물학회단체는 11월에 문을 열었다. [42] 회장은 도봉섭이었고, 이민재는 편집위원장을 맡았다. [43] 이민재는 과학계의 선배인 김량하인물와 자주 교류했는데, 대학 재학 중 기회가 될 때마다 그를 방문해 만나고 했다. [44] 6·25전쟁 후에는 대학교육의 재건은 물론, 한국식물학회단체와 한국생물과학협회단체 창립에 참여하여 생물학 연구의 장을 마련하였으며, 대한약학회단체의 발전에도 힘을 기울였다.[45] 1962년 유네스코 해양과학 파리 회의사건 한국 대표로 참석하고 1964년 원자력원 원자위원을 거쳐 1971년 8월 문교부 교육정책 심리위원이 되었다.[46] 1982년부터 10년간 한국자연보호중앙협의회단체 회장에 선임되어 종래부터 가지고 있던 자연보호와 환경보전의 철학을 국민에게 고취하고 이를 위한 행정적 발전에 힘을 기울였다. [47] 광복 후부터 자연과학 교육과 연구, 그리고 국내외의 학술활동 등의 공로로, 1960년 녹조근정훈장사건· 대한약학회상사건을 받았으며, 1965년 대한민국학술원상사건, 1969년 5·16민족상사건,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사건및 모란장사건, 1971년 하은생물학상사건 등을 수상하였다.[48] 저서로는 『식물생리학서적』· 『약용식물학서적』 · 『일반식물학서적』 등이 있다. [49]





연구


식물생리학 연구

대륙과학원 생활 초기에는 홋카이도대학기관[北海道大學] 시절부터 관심 있었던 식물의 내한성과 관련된 식물생리학을 연구했다. [50] 그러나 점차 상관의 지시로 그가 전공하지 않은 육종을 비롯하여 대체식물 개발, 벼 다수확, 유전체 분석, 곡물 저장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야 했다.[51] 1944년 초에는 <특15호 지정연구>라는 비밀 연구를 하달받았다.[52] 해외에서 수입하는 생고무를 대체할 식물을 찾아내는 과제였는데, '넓은잎대극'이라는 식물의 뿌리가 그 함량이 높다는 것을 밝히기도 했다.[53]1967년 모교인 홋카이도대학기관[北海道大學]에 「돼지감자의 결절화 메커니즘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uberization with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원고」를 학위 논문으로 제출하고, 이학박사를 취득했다.[54]


연구 방향 및 흐름

이민재의 연구논문을 보면 초창기 연구는 대학에서 전공한 식물생리학 연구가 주를 이루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구의 방향이 약학, 미생물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등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55] 자신의 전공인 식물생리학을 홋카이도대학기관[北海道大學] 시기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적으로 연구했다. [56] 약학분야는 한국전쟁사건 이후부터 진행된 연구로, 1960년대 중반까지 두드러진 활동으로 이어졌다.[57] 생물학과 내에 미생물학연구실공간을 설치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는데, 주로 식물성 플랑크톤 연구와 미생물에 의한 석유의 유황 성분 제거에 관한 연구에 집중했다.[58] 해양생물 관련 연구는 서울대에 해양생물연구소기관를 설립하고 연구소 소장으로 있던 1964년에서 1976 사이에 주로 진행되었다. [59] 한국산악회단체 회장(1971~1973)이자 자연보호중앙협의회단체 부회장으로 근무하던 1970년대에는 생태학에 관심을 갖고, 학술 연구와 더불어 자연보호의 대중화 작업을 함께 진행했다.[60]


학술적 기여

이민재의 연구가 식물생리학, 약학, 미생물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등으로 다양하게 전환된 배경에는 그가 주장하듯 식물학 분야의 전문가가 분류학에 국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의 제자를 길러내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61] 그는 서울대 식물학과를 실질적으로 30년간을 이끌면서 이 분야의 우수한 학자들을 키워 낸 연구자이자 교육자였다.[62] 그는 일생동안 연구논문 60편, 저서 20권, 번역서 5권 등을 펴냈다.[63] 또한 신문, 잡지 등에 무려 300여 편의 글을 기고했는데, 그중에는 수필류가 많았다. [64] 기고한 글은 과학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작시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65] 이러한 글들은 나중에 책으로 묶여 『창암문집서적』, 『속 창암문집서적』, 『제삼 창암문집서적』 총 3권으로 출판되었다.[66]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용석 Person: 이민재 A hasSon B
Person: 윤선정 Person: 이민재 A hasSon B
Person: 이용석 Person: 윤선정 A hasSpouse B
Person: 이민재 Person: 이혜경 A hasSpouse B
Person: 이민재 Person: 도봉섭 A hasMaster B
Person: 이민재 Person: 사카무라 데쓰 A hasMaster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용정중앙학교 A takesCourse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회령보통학교 A gradutes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나남중학교 A gradutes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경성약학전문학교 A gradutes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홋카이도대학 A gradutes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대동학원 A takesCourse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대륙과학원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법정대학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신징의과대학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경성약학전문학교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아주공과대학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강원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Institution: 해양생물연구소 A worksAt B
Person: 이민재 Group: 회령유학생친목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북우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조선생물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한국식물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한국생물과학협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대한약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한국산악회 A isMemberOf B
Person: 이민재 Group: 자연보호중앙협의회 A isMemberOf B
Book: 식물생리학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Book: 약용식물학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Book: 일반식물학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Book: 창암문집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Book: 속 창암문집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Book: 제삼 창암문집 Person: 이민재 A creator B
Person: 이민재 Article: 돼지감자의 결절화 메커니즘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uberization with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A isWriterOf B
Institution: 경성약학전문학교 Institution: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A isPredecessorOf B
Event: 고등문관시험(기술관)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유네스코 해양과학 파리 회의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녹조근정훈장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대한약학회상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대한민국학술원상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5·16민족상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동백장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모란장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하은생물학상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Event: 한국전쟁 Person: 이민재 A isRelatedTo B
Institution: 모란공원 Location: 경기도 마석 A isLocatedIn B



Timeline


Timeline Google Spreadsheet

Network Graph






참고자원


  • "역대총장", 『총장』online, 강원대학교.
  •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8쪽~518쪽.
  •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인숙, "이인숙 55회 귀중한 할아버지의 망토", 『경운박물관 소장품』online, 경운박물관.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민재",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아주대학교 기록", 『제2대 학장 이민재 박사 취임식』online, 아주대학교 역사관, 작성일: 2022년 1월 24일.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학생홍보대사 가온 빛나는 강원대학교의 개교 70주년!]", 『네이버 블로그 - 강원대학교』online, 작성일: 2017년 06월 30일.






주석


  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8쪽. 참조함
  2.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8쪽. 인용함
  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8쪽. 인용함
  4.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9쪽.
  6.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9쪽.
  7.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8쪽.
  8.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9쪽.
  10.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499쪽.
  1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8쪽.
  12. 이인숙, "이인숙 55회 귀중한 할아버지의 망토", 『경운박물관 소장품』online, 경운박물관. 참조함
  1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8쪽.
  14.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0쪽.
  1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0쪽.
  16.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0쪽.
  17.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0쪽.
  18.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1쪽.
  19.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1쪽.
  20.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1쪽.
  2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1쪽.
  22.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2쪽.
  2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2쪽.
  24.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3쪽.
  26.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3쪽.
  27.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4쪽·505쪽.
  28.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5쪽.
  29.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5쪽.
  30.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5쪽.
  3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5쪽·506쪽.
  32.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6쪽.
  34.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8쪽.
  3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8쪽.
  36.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7.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8.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9. "아주대학교 기록", 『제2대 학장 이민재 박사 취임식』online, 아주대학교 역사관, 작성일: 2022년 1월 24일.
  40. "아주대학교 기록", 『제2대 학장 이민재 박사 취임식』online, 아주대학교 역사관, 작성일: 2022년 1월 24일.
  4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7쪽.
  42.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7쪽.
  4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7쪽.
  44.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7쪽.
  45.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6.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민재",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47.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8.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9. 권영명, "이민재(李敏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0.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6쪽.
  5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6쪽.
  52.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6쪽.
  5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6쪽.
  54.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09쪽·510쪽.
  5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4쪽.
  56.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4쪽.
  57.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4쪽.
  58.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5쪽.
  59.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5쪽.
  60.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5쪽.
  61.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6쪽·517쪽.
  62.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7쪽.
  63.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7쪽.
  64.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7쪽.
  65.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7쪽.
  66. 김근배·이은경·선유정, 『대한민국 과학자의 탄생』, 세로북스, 2024, 5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