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식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한글명(한자명)
박은식님.jpeg
출처 : 이달의 독립운동가online, 공훈전자사료관.
 
한글명 박은식 한자명 朴殷植 영문명 가나명 이칭 박기정(朴箕貞)
성별 남성 생년 1859년 몰년 1925년 출신지 황해도 황주(黃州)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 때, 황성신문 및 대한매일신보 주필로 언론을 통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등을 역임하였으며, 『한국통사』 등을 저술한 유학자 · 언론인 · 독립운동가.[1]


생애


성리학 연구에 몰두한 젊은 시절

박은식은 1859년 9월 30일(음력) 황해도 황주(黃州)에서 밀양 박씨 집안의 박용호인물와 어머니 노씨 사이에서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2]10세부터 17세까지 아버지의 서당에서 정통파 성리학과 과거시험 공부를 하였다.[3]1882년에 상경해 서울에 머무는 동안 임오군란을 목격하고 시무책을 지어 국왕에 제출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매우 실망해 낙향, 태천(泰川)의 큰 학자 박문일(朴文一)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4]


독립협회의 영향을 받다

이름높은 성리학자로서 자신의 학문을 정립한 후인 1898년에 독립협회단체 의 사상과 운동의 영향을 받고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에서 개화사상으로 전환하게 되었으며, 같은 해 독립협회에 가입해 회원이 되었다.[5] 그 해 11월에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에서는 문교부장급 간부로 활동하였다.[6] 1906년 4월에 조직된 대한자강회에 참여하여 활동하였을 땐 기관지인 『대한자강회월보』의 발행에 관여하면서 다수의 애국적인 논설을 발표하여 교육과 실업을 장려하고, 민중의 정치 의식을 깨우쳐 갔다.[7]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이 되다

이상설, 신규식 등과 함께 독립전쟁을 준비하기 위하여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조직하고, 대한국민노인동맹회(大韓國民老人同盟會)를 결성하며 항일운동을 주도한 박은식은 1919년 8월 상하이로 돌아와 임시정부의 통합을 지원하였다.[8] 뒤이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이 1924년 6월 ‘이승만대통령유고안(李承晩大統領有故案)’을 통과시킨 다음 임시정부의 거듭되는 혼란을 수습해 줄 원로로서 박은식을 임시정부 국무총리 겸 대통령대리로 추대하였다.[9] 1925년 3월 23일, 박은식은 임시의정원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튿날인 3월 24일 임시의정원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취임을 선언하였다.[10]





연구


교육진흥책을 논구하다

독립협회가 강제해산 당한 후에는 1900년부터 경학원(經學院) 강사와 한성사범학교의 교수를 역임하였다.[11] 이 때 교육진흥책을 논구하는 『겸곡문고(謙谷文稿)서적』와 『학규신론(學規新論)』서적를 저술하였다.[12]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박용호 Person: 박은식 A hasSon B
Person: 박은식 Group: 독립협회 A isMemberOf B
Book:『겸곡문고(謙谷文稿)』 Person: 박은식 A creator B
Book:『학규신론(學規新論)』 Person: 박은식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이달의 독립운동가online, 공훈전자사료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역사넷online,우리역사넷.





주석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우리역사넷online,우리역사넷.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이달의 독립운동가online, 공훈전자사료관.
  8. 우리역사넷online,우리역사넷.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