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용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장성희(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원용(金元容)
김원용.png
출처 : 공훈관리과, "2021년 4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김원용, 전경무, 심영신, 민함나 선생 공적내용", 『국가보훈부』online, 국가보훈부.
 
한글명 김원용 한자명 金元容 영문명 Warren Kim [1] 가나명 이칭
성별 생년 1896년 몰년 1976년 출신지 서울 전공 독립운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에 활동 독립운동가.[2]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기관 · 하와이대한인교민단기관 · 재미한족연합위원회기관에 참여하여 신문을 간행하고 독립운동을 벌였고, 주미외교위원부기관의 외교위원장으로 활약하였다.[3] 해방 후 귀국해 남조선과도입법의원기관의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돌아가 북미대한인국민회기관 중앙집행위원장을 맡고 『재미한인 50년사(在美韓人五十年史)』서적를 탈고하는 등 미주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였다.[4]


생애


출생과 초기 유학

서울 출신으로, 1896년(고종 33)에 태어났다.[5] 1917년 5월 중국 망명 중 유학을 목적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콜로라도주 중남부에 위치한 프에블로(Pueblo)의 탄광에서 일하였다.[6] 임금이 높았던 탄광에 한인 노동자들이 몰려들자, 1918년 4월 김호 등과 함께 대한인국민회기관, 프에블로지방회단체를 설립하고 재무를 맡았다. 1920년 오하이오주(州) 학생 대표로 학생총회결성발기자회(學生總會結成發起者會)단체에 참여해 미주지역 한인 학생회의 통합에 힘쓴 뒤,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한 지방 조직 결성에 앞장섰다.[7]


독립운동 초기와 이승만 체제와의 갈등

1923년부터 7년간 미주 중서부와 동부지방에서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한 지방조직 결성에 참여하며 민족운동을 확대했다. [8] 1930년, 김원용은 하와이로 이주하여 대한인교민단기관에 입단하였고, 미포(美布)대표대회(동지미포대표회)사건의 미주 대표로 참석하여 분열된 한인 단체를 부흥시키고 민족운동을 강화하고자 했다. 그러나 동지회와의 마찰로 인해 이 계획은 실패하였다. [9] 그 후 1931년 1월, 하와이 대한인교민단단체의 기관지 국민보의 편집인으로 임명되었다. 이승만이 동지회의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 교회재산과 교민단 회관을 매각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며 이승만 중심의 체제를 몰아내고 민족운동에 전념할 하와이 한인 단체를 건설하기 위해 투쟁했다. [10] 1932년 1월, 김원용은 교민단 조직을 개편하고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총무로 임명되어 한인 단체의 통합과 한인 사회의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11] 또한, 1932년 김구가 조직한 한인애국단단체의 특무공작을 후원하기 위해 비밀리에 결성된 하와이애국단단체에 가입하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의 거사를 지원했다. [12] 1936년 1월, 김원용은 하와이 대한인국민회단체의 기관지 국민보의 주필로 임명되어 한인 교포들의 민족정신을 고취시키고 독립운동 의지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섰다. [13]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외교 활동을 통한 독립운동

1930년대 후반부터 독립운동을 위해 미주지역 한인사회의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태평양전쟁사건이 본격화되자 미주 한인대회가 열렸다.[14] 이에 미국 본토, 하와이, 멕시코, 쿠바의 재미한족 9개 단체 15명 대표들이 1941년 4월 19일부터 5월 1일까지 13일 동안 미국 호놀룰루에 모여서 해외한족대회를 개최하여 독립전선 통일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봉대 등이 담긴 대회의 선언문과 해외 한족대회 결의안을 작성하고 발표했다.[15] 그리고 독립운동 단체를 통일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기관를 지원하기 위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기관라는 연합기관을 설치했다.[16] 이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의사부의 비서 겸 행정위원이 되었다. [17] 또한 1944년 6월 이승만 계열의 외교위원부가 독자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기관 직속의 외교사무소기관를 워싱턴에 개설하고 총무로 선임되어 외교사무를 전개했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이 해 8월 외교위원부기관를 새롭게 개조할 것을 명령하자, 그 해 10월 로스앤젤리스에서 미국과 하와이의 17개 단체 중 동지회 계열의 4개 단체를 제외한 13개 한인 단체가 대표회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에 대표원으로 참석한 그는 개조된 주미외교위원부기관 외교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조국의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을 전개했다. [18] 1945년 연합국회의에 파견될 임시정부의 대표로 선임되었으나 미국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그 해 4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기관 의사부 위원장을 맡았다. [19]


해방 후 활동

해방 후 10월 조국의 재건을 후원하기 위해 구성된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의 부단장으로 28년여 만에 귀국하였다. [20] 1946년 12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기관의 의원으로 선출되어 법제 · 사법분과위원회기관 부위원장으로 1년 간 활동하면서 조국의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21] 1947년 10월 19일 홍명희가 주도한 민주독립당단체의 공동의장으로 선임되었고, 10월 20일에는 170명의 중앙집행위에 선출되었다. [22] 1948년 미국으로 돌아가 1951년 북미대한인국민회기관 중앙집행위원장, 1957년 한인재단의 총무 겸 재무 등으로 한인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1959년 김원용은 미국으로 돌아간 이후 미주지역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8년 간 모으고 많은 동포들과 인터뷰를 하였다. [23] 그리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국내에서 정치활동을 같이한 중가주 리들리(Reedley)에 있는 김호의 저택에서 『재미한인50년사』서적라는 저술을 발간하게 되었다.[24] 1976년 2월 9일 신장염으로 향년 79세로 별세하였다.[25]





연구


『재미한인50년사』

김원용이 하와이 초기 이민부터 1945년 해방 때까지 미주 한인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1959년에 간행한 역사서. [26] 북미대한인국민회기관와 재미한족연합위원회기관에서 활동한 김호인물[27] 가 미주한인의 독립운동 역사를 후대가 잊지 않고 계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김원용에 의뢰해 편찬되었다. [28] 저자인 김원용은 1951년부터 8년여 기간 동안 각종 문건과 기록들을 수집, 조사한 뒤 대한인국민회 창립 50주년이 되는 1959년 3월 발행인 김호와 UC버클리대학교에 연구차 도미한 손보기의 보조에 힘입어 리들리에서 『재미한인오십년사』서적를 발간하였다.[29] 책의 서문은 한국사정사를 설립하며 중립화 통일운동에 매진하던 김용중인물이 썼다.[30]

이 책은 전체 7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1903년 하와이 이민의 유래를 통해 형성된 하와이와 멕시코, 쿠바의 이민과 한인사회의 상황, 사진혼인, 미주유학생의 정형 등을 담고 있다.[31]

제2장은 재미한인사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한인교회의 설립과 활동에 대해 담고 있다.[32]

제3장은 친목과 단결을 위해 만든 동회와 최초의 정치활동 단체인 신민회, 그리고 미주한인의 각종 단체 등을 망라하고 있다. 아울러 주요 단체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다.[33]

제4장은 미주한인들이 설립한 학교와 국어교육, 장학 및 출판사업, 그리고 예술활동 등을 담고 있다.[34]

제5장은 하와이와 북미지역 한인들의 경제상태를 정리하고 한인들의 경제활동상을 담고 있다.[35]

제6장은 1905년 7월 하와이 한인대표로 선임된 윤병구가 이승만과 함께 러일강화회의를 대비한 외교활동을 시작으로 해방이후 재미한족연합위원회의 한국파견대표단의 국내활동에 이르기까지 정치, 군사, 선전, 외교 등 각 방면에서 전개한 정치적 활동을 담고 있다.[36]

제7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 조직, 분열과 통합, 이승만의 탄핵, 의열투쟁과 한국광복군의 설립과 활동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37]


재미한인50년사.jpg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대한인국민회 A worksAt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하와이대한인교민단 A worksAt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재미한족연합위원회 A worksAt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주미외교위원부 A worksAt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남조선과도입법의원 A worksAt B
Book: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Person: 김원용 A creator B
Person: 김원용 Group: 프에블로지방회 A isMemberOf B
Person: 김원용 Group: 학생총회결성발기자회(學生總會結成發起者會) A isMemberOf B
Person: 김원용 Event:미포(美布)대표대회(동지미포대표회) A isRelatedTo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한인애국단 A worksAt B
Institution: 외교사무소 Institution: 재미한족연합위원회 A isAdjunctTo B
Person: 김원용 Institution: 법제 · 사법분과위원회 A worksAt B
Person: 김원용 Group: 민주독립당 A isMemberOf B
Person: 김원용 Person: 김호 A hasFriend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원용", 『공훈전자사료관』online, 국가보훈부.
  • [1]online, 교보문고.






주석


  1.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2. "김원용[ 金元容 ]", 『두산백과』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3.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원용[ 金元容 ]", 『두산백과』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6.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9.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11.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12.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13.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4. 김한규, 「2021년 4월의 독립운동가, 김원용·전경무·심영신·민함나 선생」, 『국방신문』online, 작성일: 2021년 03월 31일.
  15.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6. 김한규,「2021년 4월의 독립운동가, 김원용·전경무·심영신·민함나 선생」, 『국방신문』online, 작성일: 2021년 03월 31일.
  17.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8. "독립운동을 연합사업으로 이끌어 간 중심인물 김원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online,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작성일: 2016년 08월 05일.
  19.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0.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1. 한철호, "김원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2. "김원용", 『공훈전자사료관』online, 국가보훈부.
  23. "김원용", 『공훈전자사료관』online, 국가보훈부.
  24. "김원용", 『공훈전자사료관』online, 국가보훈부.
  25. "김원용", 『공훈전자사료관』online, 국가보훈부.
  26.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7. 일제강점기 때, 미국에서 농장을 경영하여 육영사업을 전개하였고, 대한인국민회에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후, 입법의원 초대 관선의원 등을 역임한 사업가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김호와 김원용은 1918년 대한인국민회 프에블로 지방회를 함께 설립하며 평생의 동지로 인연을 맺었다. 이후 독립운동과 한인 사회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며, 김호는 『재미한인50년사』 집필 과정에서도 재정적으로 지원하며 김원용을 도왔다.
  28.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9.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0.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1.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2.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3.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4.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5.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6.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7. 홍선표, "재미한인 50년사 (在美韓人 五十年事)",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