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석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김영석(金永錫)
출처 :
 
한글명 김영석 한자명 金永錫 영문명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미상)년 몰년 (미상)년 출신지 (미상)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김영석은 그의 생애에 대한 자료가 빈곤하여 전기적 사실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지면을 통해 그의 이름을 최초로 접할 수 있는 것은 1937년『동아일보』에 발표한 평론 「조선시(朝鮮詩)의 편영(片影)」에서부터이다.



생애


창작활동의 시작

그의 생애는 창작활동의 시작부터만 찾아볼 수 있었다. 생몰년 미상의 소설가, 평론가로만 이름을 날렸기 때문이다. 지면을 통해 그의 이름을 최초로 접할 수 있는 것은 1937년『동아일보』에 발표한 평론 「조선시(朝鮮詩)의 편영(片影)」에서부터이다. 그의 창작 활동은 1938년「비둘기의 유혹(誘惑)」이 『동아일보』 주최 신인문학콩쿨에 당선되면서 시작하였다. [1]


본격적인 작가로서의 활동

이후 1939년 10월 24일부터 11월 26일까지「춘엽부인(春葉夫人)」이라는 작품을 연재하였고 유진오(兪鎭五)의 추천으로 『인문평론』에 「월급날 일어난 일들」(1940)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가로서 활동하였다.[2]


광복 전후로의 행보

그후 광복 전까지 「형제」(1941)·「신혼(新婚)」(1941)·「상인」(1942)·「좀」(1943) 등 4편의 소설을 발표하였다. 광복 후의 작품으로는 「혜란의 수기」·「코」·「지게꾼」·「금전문제」·「전차운전수」·「지하로 뚫린 길」·「가방」·「폭풍」(이상 1946년)과 장편소설 「격랑(激浪)」(1948)이 있다.[3]


노동자의 민족 해방을 위한 소설가로서의 투쟁

「전차운전수」는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와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과의 갈등 속에서 노동자들의 의식 양상의 흐름과 노동운동의 필연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하로 뚫린 길」은 노동자의 민족 해방을 위한 투쟁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또한 「폭풍」을 통해 노동운동에 적극적인 주인공(귀득)이 파업에 동참하여 나가는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다.[4]


광복기 이론가로서의 행보

그리고 광복기 주요 이론가로 많은 평론을 발표하였는데 그의 평론은 해방기 좌파문학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주요 평론으로는 「문예의 대중화문제-기타」(1946)·「민족문학론」(1947)·「문학옹호를 위한 투쟁」(1948) 등이 있다. 그는 문예대중화운동의 일환으로 문화써클운동을 최초로 이론화하였다.[5]





연구


평론

1937년 『동아일보』학술지에 발표한 평론 「조선시(朝鮮詩)」원고를 시작으로,광복기 주요 이론가로 많은 평론을 발표하였다. 그의 평론은 해방기 좌파문학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주요 평론으로는

문예의 대중화문제-기타」(1946)원고, 「민족문학론」(1947)원고 등이 있다.

[6]


창작활동

그의 창작 활동은 『비둘기의 유혹(誘惑)』(1938)서적이 『동아일보』 주최 신인문학콩쿨에 당선되면서 시작하였다.유진오(兪鎭五)의 추천으로 『인문평론』학술지에 『월급날 일어난 일들』(1940)서적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가로서 활동하였다. [7]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영석 Book: 「지하로 뚫린 길」 A isAuthorOf B
Person: 김영석 Book: 「폭풍」 A isAuthorOf B
Person: 김영석 Book: 「혜란의 수기」 A isAutho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이명재) "김영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