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논문연구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결론)
86번째 줄: 86번째 줄:
 
[[지도]]
 
[[지도]]
 
*지역별 참가자 수, 모금액의 분포와 인구대비 참가율.
 
*지역별 참가자 수, 모금액의 분포와 인구대비 참가율.
그림: [[파일:군별인구비순.png]]
+
그림: [[파일:small군별인구비순.png]]
  
 
==결론==
 
==결론==

2017년 6월 12일 (월) 22:24 판

논문의 주제

  • 문화유산정보의 보존과 활용: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디지털큐레이션 연구
  • 수정: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한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

키워드

  •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아카이브(Digital Archive)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
  • 디지털큐레이션(Digital Curation) 온톨로지 (Ontology)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 데이터생애주기 (Data Lifecycle) 문화유산해설 (Heritage interpretation) 역사기술 (Historical narratives)
  • 문예공화국 (Republic of Lettes)

질문들

  • 운동관련 지식의 노드들을 DB화 할 때 어떤 의미가 드러나는 지식요소를 선정하여 활용가능한 지식자원으로 만들수 있는가?
  •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기존의 분야별 연구는 운동의 실체를 종합적으로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는가?
  • 무엇이 당시의 국민적 모금운동을 촉발했는가? 국민으로서 "책임"을 느낀것이 운동의 근본 동기라고 할 수 있는가?
  • 경제사적, 정치학적, 언론학적, 사회학(여성운동)적 연구는 각기 역사적 사건의 한 단면 만을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 운동의 발단과 과정이 도식적으로 단순화 되어 사건에 관련된 의미있는 인물과 그들의 역할이 간과되어 있지는 않은가?
  • 온톨로지를 기반의 디지털아카이빙 방법은 관련 지식자원의 개별적 제시와 통합적 연계가 가능하므로 통합적인 디지털지식자원 아카이브로 만들수 있다.
  • 운동의 거시적 관련 요인들과 개인들의 구체적 인식과 역할을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디지털큐레이션을 통한 사건의 재구성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큐레이션의 사례를 구현할 수 있지 않은가?
  • 같은 기간에 동반적으로 진행된 교육 계몽 운동 (사립학교의 폭발적 증가), 의병운동, 동아시아 지역내 계몽적 지식의 교류와 확산 현상이 디지털 아카이빙을 통해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연구 목적과 대상자료

  •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기록물의 내용을 디지털 데이타로 아카이빙하고 의도에 따라 큐레이팅하여 학자나 일반인들이 연구, 분석, 컨텐트 생산에 지식 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 연구의 대상은 대한제국기 마지막 5년 즉, 을사보호조약 (1905년) 과 한일병합 (1910년) 기간에 일어난 민간의 국채보상운동과 당시 일본,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적 관계와 아시아의 상황에 관한 기록물이다.

디지털 인문학디지털 아카이브 연구

디지털 아카이브디지털 큐레이션

  • 지식소통의 파라다임변화
  • 데이터 생애주기
  • 문화유산의 보존과 디지털 아카이브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이용가능성: MIDAS Heritage, SPECTRUM
  • 디지털 큐레이션과 컨텐트 큐레이션

LOD 시맨틱웹시대의 콘텐트 큐레이션

국채보상운동

연구대상자료 기록물: 1907-1910 국채보상운동 및 관련 기록물

그림: 보도추이도표1.png

기록물 현황 과 유형별 특징

생산자별 민간생산 정부 공기관 언론기관 단체모임 기타
71 121 2,260 120
연도별 1907 1908 1909 1910
1,806 286 45 123
유형별 국한문수기 국한문인쇄 한문수기 한문인쇄 일문수기 영문
6 11 70 4 121 90

온톨로지 설계와 DB 구축

  • 관련된 지식요소를 온톨로지로 설계하여 다양한 차원에서 역사적 사건을 분석한다.
  • 모금운동진행관련 기록물, 관련인물, 스토리,
  • 참가자 명단 언론보도 의병기록 통계 내용.
  • 편지, 공문으로 드러나는 한국-일본-외국 국제관계
  • 언론보도, 일본의 탄압정책, 일영관계 등 맥락에서
  • 아시아 지식소통망 (문예공화국), 서포, 인물, 번역을 통해 교류된 서적
  • 연대별 의병, 모금, 운동등 사건 상황의 변화 (1907. 1908, 1909, 1910 년)

연표

  • 주제별 (모금운동진행 기록물, 참가자명단과 금액등 언론보도내용. 관련인물과 스토리, 한국-일본-영국 국제관계)
  • 연표로 표시하여 진전상황 가시화

지도

  • 지역별 참가자 수, 모금액의 분포와 인구대비 참가율.

그림: Small군별인구비순.png

결론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으로 취약한 디지털자원을 선별적으로 기록하고 영구보존한다.
  • 디지털적 지식의 내용은 백과사전적으로 무한히 연결되어, 유물 실체와 디지털적 재현물, 해석 콘텐트등의 지식자원화 될 수 있다.
  • 과잉 정보 환경에서 가치있고 유용한 지식만을 선별, 제작, 관리하는 권위있고 신뢰받는 전문적 디지털 큐레이팅이 핵심 역할로 부상하고 있다.
  • 역사적사실이나 인물, 사건의 요소에서 학문영역과 지리적 경계를 넘어 목적에 맞게 지식을 편집하고 제시하는 것이 전문적 콘텐트 큐레이팅이다.
  • 대상 인물, 사건, 유물 등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복잡하게 연관된 지식 요소와 관계를 면밀히 데이터로 구축한다.
  • 기록유산에 대한 분야 연구의 결실인 지식자산을 통합적, 입체적인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한다.
  • 아카이빙의 궁극적 목적은 보존과 기록, 검색과 지속성이 가능한 지식자원화 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 맥락있는 내러티브를 연출하는 (production) 하는 큐레이션 방법론을 제시한다.
  • 통합적 데이터 모델로 구축된 국채보상운동의 지식들은 학문영역을 초월하여 통합적으로 작동한 당시의 상황을 드러낸다.
  즉 그동안의 분야별 연구에서 누락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진 막후의 국제관계와 주요 인물들의 숨겨진 역할, 중국, 일본, 
  한국의 지식인들 간의 교류는 인문학적 공동체(Republic of Letters)(일본 학자는 문예공화국으로 번역)을 이루어 개화기에
  국민 계몽과 국권회복 운동에 큰 자극이 되었슴을 밝힌다. 


참고자료

reference


연구자 인적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