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열단

DH Edu
LZH21KHU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25일 (금) 10:52 판 (개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차

개요

의열단

[1]

1919년 11월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 독립운동 단체. 쉽게 말해 대일 무장 단체였다.

의열단은 의로운 일을 맹렬히 추진하는 단체의 약자다.

이 단체를 발족한 약산 김원봉은 3.1 운동의 대중화 단계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독립 만세 시위를 전개한 조선인을 보고 크게 감동하였다. 이로써 의열 투쟁 결사대를 조직하여 암살ㆍ파괴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국내 동포들의 독립 정신을 환기시키고, 나아가 이를 통하여 국내외 한인을 중심으로 혁명을 촉발함으로써 민족의 독립과 조국의 광복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구상 아래 김원봉은 1919년 11월 윤세주, 이성우, 곽경, 이종암 등의 동지들과 지린성(吉林省)에서 의열단을 발족하였다.[2]

내용

창단 당시의 단원은 신흥무관학교 출신이 중심이었다. 그리고 단장을 비롯해 김대지, 황상규가 고문을 맡았고, 단원은 김원봉, 윤세주, 이성우, 곽경, 강세우, 이종암, 한봉근, 한봉인, 김상윤, 신철휴, 배동선, 서상락, 권준의 13명이었다. 단장은 김원봉이 맡았다. '이 13명은 광복 때까지 단 1명도 배신하지 않았다'는 표현으로 매우 유명하다. 하지만 사실 김원봉과 윤세주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은 의열단과 중국 공산당에서의 활동으로 인해 광복 때까지 생존은커녕 1920년대에 모두 사망했으며, 윤세주도 김원봉과 갈라선 후 조선의용군과 팔로군에서 활동하다가 광복 전에 사망했다. 때문에 맨 위에 나와 있는 사진에는 김원봉을 제외하면 여기에 있는 13인이 아무도 없다. 한편 이 13명 중 단장 김원봉을 포함해 5명이 같은 밀양 동화중학교 출신으로, 서로 이웃사촌 관계였기도 하다.

창단 직후 "공약 10조"와 뒤에 "5파괴", "7가살"이라는 행동 목표를 독립운동의 지침으로 채택하였다. 하지만 암살과 테러를 위한 전문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았던 탓에(사실 당시에는 가르쳐줄 사람이나 단체도 없었지만) 작전의 실행에 허술한 점이 많아 암살 대상의 자택 앞에서 귀가할 때를 기다리면서 술을 마시다가 졸아서 놓치는 등 실패할 때가 많았다. 이들 중에는 김시현 열사가 있는데, 그는 광복 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 되었다. 또한 시인 이육사도 의열단 단원이었다.

비밀 결사 조직인 탓에 단원이 정확히 몇 명이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그러나 2010년에 기밀 해제된 영국의 비밀 문서에 의하면 단원이 무려 2천여 명에 달했으며,[5] 도쿄에도 50여 명이 상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미국의 작가 님 웨일즈는 김산을 인터뷰해 저술한 <아리랑>에서 1927년까지 체포돼 처형당한 의열단원이 무려 700명에 달한다고 기록했다. 이 정도의 규모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았다는 게 정말로 대단한 사실.[3]

참고문헌

조선혁명선언

주석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