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보

DH Edu
KGR21KHU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25일 (금) 09:00 판 (연재소설을 통한 매일신보의 기능)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배일사상을 고취하여 국난을 타개하고 국가를 보존하고자 민족진영 애국지사들의 적극 지원과 고종의 은밀한 지원 하 1904년 7월 18일에 경성 전동에서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창간한 일간신문. 항일의병투쟁, 국채보상운동, 애국계몽운동 등 독립운동에 관련된 주요 지면이었으며 후일 통감부에 넘어가면서 일제 식민치하 체제를 유지하는 지면이 된, 일제강점기의 주요 신문 중 하나였다.

내용

매일신보의 역사

1905년 8월 11일부터 국문판과 영문판을 분리시켜 발행, 국문판은 순한글에서 국한문 혼용으로 바뀌었고 영문판은 『코리아 데일리 뉴스(The Korea Daily News)』라 하였는데 대내외에 많은 구독자를 얻었다. 그러나 국한문판을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을 의식하여 1907년 5월 23일 순한글판 『대한매일신문』을 새로 창간하여 결국 국한문판·영문판·순한글판 등 세 신문을 발행하게 되었고 발행부수도 1만 부를 넘었다. 사전검열을 피한 유일한 신문이며, 정확성이 높았기 때문에 사전검열에서 비도나 폭도로 표현하도록 강요하였으나 이 세 신문은 사실 그대로 의병운동을 보도할 수 있었고, 국민에게 큰 용기와 위안을 주어 발전하였다.

반대로 통감부에서는 위기의식을 느껴 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伊藤博文]는 한 연설장에서 “……한국 내 신문이 가진 권력이란 비상한 것이다. 이토의 백 마디 말보다 신문의 일필(一筆)이 한인(韓人)을 감동하게 하는 힘이 매우 크다. 그 중에도 지금 한국에서 발간하는 외국인의 『대한매일신보』는 확증이 있는 일본의 제반 악정을 반대하여 한인을 선동함이 연속부절하니 이에 관하여는 통감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을 정도였다. 통감부 당국의 회유, 매수 등도 통하지 않았다. 이에 통감부는 신문지법을 고쳐 내국에서 외국인이 발행하는 신문과 외국에서 한국인이 발행하는 신문 등을 압수 및 판매금지할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베델과 양기탁을 구속 또는 국외추방하려 하였다. 반란을 선동했다는 등의 이유로 1907년 10월 9일 주한 영국총영사에게 베델의 처벌을 요구하는 소송장을 내었고, 1908년 5월 27일에도 유사한 죄목으로 영국 상해고등법원 검사와 연서로써 베델을 제소하였다. 6월 15일부터 열린 공판에서 전권을 양기탁에게 위탁하였고 논설도 양기탁이 집필하였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유죄선고를 받았다. 같은 해 7월 12일 밤 양기탁이 구속기소되어 영국총영사가 즉시 석방을 강력요구하였으나 통감부는 잠시 유치한 것이라고 변명하였다. 이후 국채보상의연금 횡령 및 사취의 혐의로 양기탁을 기소하였으나 전후 5차에 걸친 공판 끝에 증거불충분으로 석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베델이 물러나고 비서였던 영국인 만함이 사장이 되었다. 1910년 6월 14일 만함은 판권 일체를 사원 이장훈에게 매도하고 출국하여 1408호(6월 14일자)부터는 이장훈 명의로 발행되었다. 양기탁은 각 신문에 광고를 내어 이 신문에서 자신이 손을 떼었음을 밝혔는데, 이미 1910년 5월 『대한매일신보』는 통감부에 소유권이 넘어간 상태였다. 이장훈 명의로 1910년 8월 28일까지(1461호) 발행되었다. 경술국치 다음날인 1910년 8월 30일 ‘대한(大韓)’을 떼어내고 『매일신보』가 되어 총독부기관지로 바뀌었다. 한국 통감부와 조선 총독부는 조선에서 언론기관을 경영하거나 친일언론을 육성하여 선전도구로 쓰려 하여, 강제 합병 후 조선인의 신문 발행을 불허하고 일본인 경영 신문까지 폐간을 종용하였다. 총독부 기관지로는 한글 『매일신보』 외에도 일본어 『경성일보』, 영어 『서울프레스』가 있었다. 10월 12일 전 제국신문사 사장 정운복이 주필로, 11월에 발행인 겸 편집인에 변일이 임명되었다. 경성일보사 구내에 사옥을 두고 경성일보 편집국에 부서처럼 예속되어 있어 1910년 기준 『경성일보』가 19,494부인 반면 『매일신보』는 2,646부에 그쳤다. 다만 1910년대 다른 한글 신문이 차례로 폐간되고 남은 사실상 유일한 한글 신문으로서 문예작품 수록지의 역할을 하여 이인직의 「혈의 누」, 이해조의 「춘외춘」, 이광수의 「무정」이 연재되었다.

1920년 편집국을 따로 설치하고 논설부, 편집부, 외사부, 사회부, 지방부를 갖추었다. 1924년 12월 18일부터는 1면 정치, 2면 사회, 3면 사설 및 지방, 4면 경제면으로 지면 배치를 바꾸고 1930년 2월 11일에는 8면 발행으로 지면을 확대하였다. 1920년대에는 조선인이 발행하는 여러 민간지,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이 인가받아 『매일신보』는 이들과 경쟁 구도에 놓이게 되었다.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발행 민간지에 대한 탄압을 옹호하면서 이들이 ‘일인’, ‘일본 정부’ 등의 용어로 일본을 외국시한다고 비난하며 ‘내지’, ‘제국정부’의 표현을 쓸 것을 주장하였다. 언론계의 전반적인 활성화로 『매일신보』의 발행부수도 1926년 기준 22,542부로 증가하였지만 이러한 행보로 『동아일보』의 29,901부나 『조선일보』의 24,655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전시 총동원 체제 구축으로 강화된 식민지 통제의 일환으로써 『매일신보』 선전의 역할도 강조되어 1938년 4월 29일 경성일보사에서 독립하여 『매일신보(每日新報)』로 이름을 바꾸며 총독부와 식산은행(殖産銀行), 경성일보사 등이 대주주로, 이외 일본인과 친일조선인을 주주로 독자적인 주식회사 체계로 전환되었다. 사장에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한 최린, 의병 토벌로 인정받아 총독부 관료로 일한 부사장 이상협이 임명되었으며 전무 후쿠에 시카요시, 편집국장 김형원, 영업국장 이상길 외 경영 요직에는 일본인이 임명되었다. 『경성일보』와 함께 ‘시정의 부연 철저, 민의의 창달, 문화의 향상’ 등 원칙에 입각해 일제의 식민 지배를 합리화하고 총독 정치의 선전과 홍보에 앞장섰다. 일제의 지원으로 1937년 약 55,000부의 『동아일보』와 약 70,000부의 『조선일보』에 못 미치던 발행부수 약 44,000부에서 1938년 약 110,000부에 이를 정도로 외형적으로 확장되었다. 1940년 8월에는 민간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총독부에게 폐간을 강요받았으며 폐간을 위해 매일신보사에서는 두 신문의 영업권을 사들였고, 증자를 진행하였다. 1940년대 초반 유일한 한글 신문이 되었으며 발행 부수가 급증하였다. 해방 후 사장 이성근이 물러나고 사원자치위원회가 조직되어 계속 신문을 발행하였으며, 1945년 10월 2일 미군정에 의해 11월 10일 정간 처분이 내려졌다. 새 간부진이 임명되면서 『서울신문』이란 이름으로 변경해 1945년 11월 23일자 석간부터 속간하였다.

매일신보의 문학

1920년대 일제의 조선에 대한 식민 체제가 '문화 통치'로 전환되며 '내지연장주의'의 반영으로 바뀌면서 매일신보는 이를 적극 유포하는 기능을 하였다. 1920년 12월 11일자 『매일신보』에 「현상고안모집」이라는 조선말이 부족하니 고안하여 만들어 쓰자는 내용이지만, 이는 조선어와 일본어를 융화시키려는 의도를 품은 것이었다. 매일신보는 당시 일본인과 조선인의 결혼 허용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기도 하였다. 또한 1910년 전반기 대중독자를 위한 연재소설을 실었지만 후반기부터 조선의 지식인을 포섭하려 그들을 독자로 하는 연재소설을 실으면서 매일신보의 연재소설의 기획은 양분화되었고, 1920년대 '매신문단'이라는 문예면을 신설해 매일신보의 문단을 활성화싴키고 일본유학생 위주의 지식인사를 적극 유입하며 이러한 경향이 공고해져 갔다. 일본에 유행하던 연애담론을 받아들이기도 했는데, 이러한 시도는 대중들의 눈을 돌리기 위함이었으며 문화적으로도 식민 체제를 침투시키려는 시도였다고도 의심해볼 수 있다. 1면에는 지식인 소설 「무정」과 같은 국내 지식인의 연재소설이나 서구문학의 번역이 연재되었으며 4면에는 신소설, 가정소설, 가정비극, 연애소설 등 보다 대중적이고 다양한 성격의 문예작이 연재되었다. 이때 연애담론은 지식인에게도 적용되었으나 근대의 자유연애담론과는 다르게 이는 낭만주의적인 성격의 도피나 계몽의 일환에 가까웠으므로 심화된 담론으로 나아가지는 못한다. 매일신보는 이후 대중독자를 계몽시키기 위해 톨스토이의 「부활」의 번역 등을 연재하며 계몽적인 독서를 촉구하게 되는데, 이는 이분화되었던 연재 소설 기획의 일원화를 낳아 춘계생의 『데카메론』이후 2면 혹은 3면에 한 작품씩만 연재되게 되었다. 1920년대 초에는 사회주의담론이 활발해지는데, 이에 따라 매일신보는 더 이상 독자들의 주의를 끌지 못하는 신파류의 연애소설 대신 새로운 통속소설으로서 사회주의 계통의 소설인 「요청산」이나 「불꽃」등이 연재되기도 하였는데, 특히 개중 초반에 연재되었던「자유의 길」은 일제 식민 체제, 특히 교육을 통해 내선일체사상을 주입시키고자 했던 정책을 비판하여 연재중단에 이르고야 만다.

참고문헌

(최준),"[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1995년.

"[매일신보]", (교과서 용어 해설),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권시용), "[매일신보[每日申報]]", (신문 해제),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online, 국립중앙도서관.

주석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