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역 역명분석

DH Edu
PHJ21KU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2월 27일 (월) 05:32 판 (방아)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방학역은 1986년 개업한 1호선의 지하철역이며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해있다.[1] 방학역의 역명 유래를 알아보도록 하자.

내용

네트워크 그래프


위의 네트워크 그래프는 방학역 역명의 유래를 분석한 것이다. 그래프를 통해 방학역은 방학동 동명에서 따 온 이름이며, 방학동은 크게 세 가지 유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방학동

방학동의 유래는 방학과 관련된 유래 세 가지와 방아과 관련된 한 가지 유래를 찾을 수 있었다.[2] 한 가지 유래가 무조건적으로 맞다고 밝혀진 연구가 없기에, 모든 유래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먼저 방학과 관련된 세 가지 유래를 알아보자.

방학

  • 학이 평화롭게 놀고 있는 것

조선시대 어느 임금이 도봉서원의 터를 정하기 위하여 도봉산 중턱에 앉아 있다가 학이 평화롭게 놀고 있는 것을 보고 방학이라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3] '방학'은 놓을 방[放]에 학 학[鶴]자를 썼는데, 학과 관련된 이 설화가 잘 반영된 동명인 듯 하다.
실제로 방학동에는 학이 있을까? 관련 자료를 찾아보던 중 이 영상을 발견하였다.



영상을 통해 방학천 물줄기에서 몸을 담군 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영상에 나온 도봉구 향토사학자의 말에 따르면 물이 1급수처럼 맑고, 산이 가까우며 먹이가 많기 때문에 학의 서식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고 한다.


  • 학이 알을 품고 있는 듯한 지형

이 곳 지형이 학이 알을 품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방학이라고 하였다.[4]


  • 학이 날아가는 듯한 지형

일제시대인 1914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지금의 방학동의 전신인 '방학리'가 생긴다.[5] 그 전의 이름인 '암회리[岩回里]'의 뜻은 도봉산 줄기가 동남방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다시 되돌아오는 형태에 따라 지어졌는데, 풍수지리가의 조언으로 이를 학이 날아가는 형국의 지세로 삼아 일제시대 때 '방학'이라 작명했다고 한다. [6]

  • 세 유래의 공통점, 학
[7]



위의 세 가지 방학에 대한 유래에서는 모두 '학'이 주인공이었다. 학은 두루미목 두루미과에 속하는 대형 조류로서 물이 흐르는 개천에서 어패류를 잡아먹거나 논밭에서 볍씨와 풀뿌리를 찾아 먹는다.[8] 학은 우리 문화에서 장수, 선비, 고고함 등을 상징하는 동물이기 때문에,[9] 방학이라는 이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방아

  • 곡식을 찧는 기구인 방아가 있는 곳

곡식을 찧는 기구인 방아가 있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우리말로 '방아골(굴)'로 불리던 것을 한자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음이 비슷한 '방학리'로 고쳤다는 이야기도 있다.[10]

방아[11]


방아는 곡물을 쓿어 겉껍질을 벗기거나 빻아서 가루를 내는 데 쓰는 연장이며, 사진의 디딜방아는 몸무게를 실은 발의 힘을 이용하여 기구를 다룬다.[12]

방아에서 유래된 '방아골'은 도봉구 방학동의 여러 장소에서 맞이할 수 있다. 방아골종합사회복지관꿈빚는마을방아골이 그것이다. 방학동의 공적 장소에서 옛지명인 방아골이 사용되는 것을 보면, 방아골에 대한 방학동 사람들의 애정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방학역", 『위키백과』online.
  2.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방학역", 『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online,서울교통공사.
  3.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방학역", 『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online,서울교통공사.
  4.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방학역", 『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online,서울교통공사.
  5. "서울지명사전 - 방학동", 『 서울지명사전 』 online,서울역사편찬원.
  6. "방학동의 유래", 『 디지털도봉문화대전 』 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7. "두루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8. "두루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9. "두루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0. "방학동의 유래", 『 디지털도봉문화대전 』 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1. "방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2. "방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3. "두루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