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희 물집 화상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환희 물집 화상> 포스터


프로덕션IDA의 <환희 물집 화상>은 미국 극작가 지나 지온프리도의 동명 희곡을 바탕으로 김희영 연출가가 연출한 작품이다.[1] 여성해방운동에서부터 1960~70년대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현대의 페미니즘까지의 흐름을 훑어나가며, 이론과 현실의 간극에서 갈등하는 인물들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원작을 기본으로 한 번안극이다.[2] 여성의 삶에도 다양한 방향이 있기에 페미니즘 역시 한 가지로 국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환희 물집 화상>에 나타나는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알아보고자 한다.[3]

내용

줄거리


등장인물은 대학원 룸메이트였던 캐서린과 그웬, 그웬의 남편 던, 캐서린의 어머니 앨리스, 던과 그웬 부부의 베이비시터 에이버리다.[4] 어머니 앨리스가 심장발작을 일으켰다는 소식에 고향으로 돌아온 캐서린은 과거 연인이었던 던과 그와 가정을 이루고 살고 있는 자신의 친구인 그웬과 재회한다.[5] 성공한 페미니즘 학자인 캐서린은 고향에서 어머니와 함께 지내며 페미니즘 강의를 개설한다.[6] 수강자는 그웬과 에이버리 둘뿐이지만 이들의 열띤 참여로 수업은 활기를 띤다.[7] 캐서린과 그웬은 수업이 진행될수록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서로의 삶을 부러워하게 된다.[8]
캐서린과 그웬은 전혀 다른 성격의 인물들인데, 페미니즘을 공부한 캐서린은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반면 그웬은 가부장제의 관습에 누구보다 순응하는,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성격의 인물이다.[9] 던을 만나며 흔들리기 시작한 캐서린은 다시 불타오르는 던과의 사랑이 있다면 아내이자 엄마의 삶도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급기야 자신의 학력과 삶을 부러워하는 그웬과 삶을 바꿔보기로 한다.[10] 하지만 그녀가 베푼 호의는 가부장적인 사회 내에서는 남성의 무능력을 드러내 보이는 일이 되어버렸고 그녀의 독립성은 가족을 유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일쑤였다.[11] 결국 그녀는 던과 그웬을 원래의 삶으로 돌려보내고 자신은 다시 앨리스와 동료들의 곁으로 돌아간다.[12]

현실과 이론 사이의 간극

캐서린은 그웬과 에이버리를 학생으로 강연을 진행한다. 그들은 페미니즘의 역사에 대해 조사하고 토론을 하는데, 거칠고 단순한 형태지만 흥미로운 이론들이 어렵지 않게 설명된다.[13] 그 속에서 20세기 여성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대척점에 위치했던 베티 프리단필리스 슐래플리의 주장이 주된 토론을 이끈다.[14] 이들의 주장, 즉 여성의 고정된 성역할과 주체성의 문제는 비단 강연에서만 드러나지 않고 인물의 삶 속에도 간접적으로 비추어진다.[15] 구시대적 성 관념을 버린 에이버리와 주체적으로 자신의 커리어를 쌓아 온 캐서린은 베티 프리단의 이론을, 결혼이 여성에게 중요한 의미가 된다는 생각을 가진 앨리스와 그웬은 필리스 슐래플리의 이론을 주로 대변한다.[16]
하지만 캐서린은 강의를 할수록 자신이 선택한 가정을 꾸리지 않은 삶에 회의감을 느끼게 된다.[17] 처음에 가정보다 커리어를 우선시하는 삶을 살기로 했을 때와 달리, 어머니 앨리스의 심장발작 소식을 듣고 자신을 사랑해줄 누군가가 사라질 수도 있겠다는 것을 실감하고는 가정이 있는 삶을 꿈꾸게 된다.[18] 이에 캐서린은 결혼을 택하지 않았던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갈등에 빠진다.[19] 반면에, 결혼을 택한 그웬은 뉴욕에서 공부하며 사는 삶에 환상을 품는다. 둘은 토론을 할수록 자신의 주장과는 반대로 행동하는 스스로를 인식하며 이론적 가치가 모두에게 통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20]

(왼쪽부터) 앨리스, 그웬, 에이버리, 캐서린

캐서린과 그웬은 대학원 룸메이트였지만, 캐서린은 커리어를 쌓는 길을 택했고 그웬은 주부가 되는 길을 택했다. 이외에도 많은 선택의 기로가 있다.[21] 이 극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어떤 여성의 삶이 진정 성공적인 페미니스트의 삶의 모습이냐가 아니라 여성의 삶에도 다양함이 있다는 것이다.[22] 누군가에게는 진취적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것이 권리이자 삶이겠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가정을 지키고 아이를 키우며 아내이자 엄마로서 집안에서 살아갈 권리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23]

주체성과 연대

캐서린은 가정을 갖지 않은 여성의 삶은 실패한 것이라는 구시대적 사고관 때문에 가정을 꾸리고 싶어한 것은 아니다.[24] 외로움과 결핍, 불안과 같은 자연스러운 감정 때문에 캐서린은 결혼과 가정을 원했다.[25] 하지만 이 과정에서 캐서린이 간과한 사실은, 외로움과 불안이 꼭 남성 동반자와 가부장제로만 채워야 하는 감정은 아니라는 사실이었다.[26]


Quote-left.png

여자들은 어느 쪽을 택하든 X 된다는 건가요?
커리어를 갖고 외롭고 슬픈 신세가 되거나,
가족을 갖고 외롭고 슬픈 신세가 되거나?

Quote-right.png
출처: <환희 물집 화상> 中


위 인용문은 토론 중에 에이버리가 한 질문이다. 커리어를 쌓는 것도, 결혼을 하는 것도 외롭고 슬픈 신세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오히려 보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던 앨리스의 말을 통해 도출해낼 수 있다. 바로 주체성이다. 자리를 바꾸었던 모두가 제자리로 돌아온 후, 던이 떠나 의기소침한 모습을 보이는 캐서린과 남자친구 루카스 때문에 의기소침해 있는 에이버리에게 앨리스가 한마디를 날린다.[27] "너희들은 소질 없는 페미니스트들이야!"[28] 남자 때문에 기죽어 있는 모습을 두고 볼 수 만은 없었던 것이다.[29] 다시 기운을 차린 캐서린은 던과 함께 가려고 했던 학회를 에이버리와 함께 가기로 한다.[30] 앨리스는 둘을 응원하며 그들이 선택한 삶의 대가는 자유라고 말한다.[31] 이렇게 작품 속에서 캐서린과 에이버리, 그리고 앨리스는 결국 여성의 주체성이라는 가치를 중심에 두고 연대한다.[32]

캐서린, 앨리스, 에이버리가 건배를 외치는 장면

참고문헌

논문

신문

블로그

주석

  1.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2.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가? <환희 물집 화상>", 『네이버 블로그 - 예술의 향기』online, 작성일: 2020년 4월 26일.
  4.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5.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6.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7.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8. 김나볏, 「연극, 동시대 뜨거운 이슈를 담다 <전쟁터의 소풍> <피스 오브 랜드> <환희 물집 화상>」, 『연극평론』,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0, 141쪽.
  9.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10.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11.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12.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13. 김태희, 「새로운 장을 위하여 '제1회 페미니즘연극제'」, 『공연과이론』71,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2018, 118쪽.
  14.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15.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16.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17.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18.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19.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20.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21.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22.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막장드라마보다 더한 막장 페미니즘 코메디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5월 14일.
  23.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막장드라마보다 더한 막장 페미니즘 코메디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5월 14일.
  24.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25.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26.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27.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28.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막장드라마보다 더한 막장 페미니즘 코메디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5월 14일.
  29.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30.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31.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내가 선택한 삶, 정답은 없다! 연극 <환희 물집 화상> 리뷰", 『네이버 포스트』online, 작성일: 2020년 6월 5일.
  32. 정지은, 「연대로 이루어낸 환희 - 연극 '환희, 물집, 화상'」, 『아트인사이트』, 2019.04.30., 『아트인사이트』online, 아트인사이트.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