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츄사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카츄사


'카츄사 이야기'의 인기



개요

Quote-left.png

일찍이 1915년 시마무라 호게츠(島村抱月)의 동경 예술좌가 내한하여 <카츄사>를 공연하여 화제를 모았는데, 이를 따라 신파극단 예성좌가 바로 다음해에 <카츄샤>를 공연함으로써 세간의 주목을 끌었던 것이다. 그리고 1923년에는 신극 공연을 표방한 토월회에 의해 공연되면서 이후 한국 연극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자리잡았다.[1]

Quote-right.png
출처: 우수진,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 변용」, 2014.



톨스토이의 소설 <부활>은 조선 연극, 영화계의 단골 스토리였다. 특히나 1915년 예성좌의 연극을 시작으로 연극계에서 다양하게 재창작되었다. 카츄사의 이야기는 애정극, 가족신파극의 내용으로 각색되어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런 맥락에서 토월회에서도 <카츄사>를 공연했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

우선 조선극장을 통해 보는 식민지 조선의 연극·영화계 연구에서 등장하는 카츄사의 공연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날짜 연극 제목 공연 제목
1923.09.15. 카추샤 토월회 2회 공연[2]
1929.12.13. 카추샤[3] -

1923년 <토월회2회공연>의 상연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1929년 공연 때는 <카츄사>만 단독 공연되었다. 그러나 당시 기사에서도 '토월회의『카추—사』는이미세상에 정평이잇는 연극'[4]이라고 언급되어 있는 것을 보면, 조선극장 외의 무대나 명확히 기록되지는 않은 <카츄사>의 상연이 더 있었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우수진은 2013년[5]과 2014년[6]의 연구에 걸쳐 <카츄사>를 둘러싼 당대의 문화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그 중 <카츄사>의 인기 요인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신선하면서도 매력적인 캐릭터성
<부활>은 원전 자체보다도, 재구성 번역 및 속편과 연극, 유행가요 등을 통해 재/생산되는 대중서사를 중심으로 하여 주로 수용되었다.[7] 즉, 원전에 충실한 번역이나 재해석이 이루어지기보다는, 대중적인 흐름을 붙잡고 있는 작품을 만드는 작업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카츄샤>의 서사도 주로 <부활>의 주인공인 네플류도프와의 연애 이야기나, 카츄샤의 굴곡진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카츄사는 기존 신파극에서 볼 수 없었던 여주인공이었다. [8] 이와 관련된 설명은 다음의 인용문에 언급되어 있다.


Quote-left.png

가정 신파극의 여주인공들은 대부분 시/부모의 며느리/딸이나 남편의 아내, 자식의 어머니라는 역할에 의해 스테레오타입적으로 성격화된다. 그리고 주로 며느리/딸로서의 순종이나 아내로서의 정숙, 어머니로서의 모성 등의 미덕을 가장 중요한 에토스로 삼는다. 기품 있는 미모는 타고난 도덕성의 육체적 현현이었으며, 도덕성이 결여된 성적인 매력은 주로 악역의 첩이나 기생의 몫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도덕성, 특히 정숙한 미덕은 타고난 것으로서 순결한 육체와 동일한 것이었다.[9]

Quote-right.png
출처: 우수진,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 변용」, 2014.



즉, 종으로 태어나 창녀로 전락했다가, 감옥의 죄수들에게 봉사하는 성녀의 모습으로 변화하는 카츄사의 서사는 평면적인 주변인물에 그쳤던 기존 신파극의 여성 인물들과는 차별점이 있었다. 또한 우수진은 특히 '창녀로서의 카츄사'의 인기는 당시 남성중심 문화에서의 욕망의 대상으로서 얻게 된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토월회의 <카츄사>가 성공한 요인은 기존의 신파극 극단들이 여성 배역에 여장을 한 남배우를 올렸던 것과 달리, 여배우인 이월화가 카츄사를 직접 연기함으로 인해 더욱 큰 대중적 반향을 일으켰던 것으로 보기도 했다.[10]

2. 극중가 <카츄사의 노래>의 유행
<카츄사>의 연극 서사에 처음으로 노래가 삽입된 것은 앙리 바타이유의 <부활> 각색에서였다. 이 연극을 일본의 동경 예술좌에서 번안하여 공연하였고, 극단 예성좌가 이 공연을 참고하여 <카츄사>를 공연하게 된다. 따라서 이 세 극에는 모두 극중가가 삽입되어 있다. 바타이유의 연극에서는 극중가가 큰 반응을 얻지 못했으나, 동경 예술좌에서 이 극중가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든 <カチューシャの歌>는 일본 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예성좌가 공연했던 <카츄사의 노래>는 이 동경 예술좌의 노래를 원곡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예성좌의 <카츄사의 노래> 또한 조선 사회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과 관련된 설명은 다음과 같다.[11]


Quote-left.png

<카츄샤의 노래>는 『신유행창가』의 네 번째 장에 <카츄샤>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는데, 노래의 유행 시기로 짐작하건대 초판부 터 포함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유행가의 본격적인 생산과 소비가 이후 유성기음반의 제작 및 보급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점과 1928년이전까지 나팔통식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것은 수록곡 중 단지 6곡뿐이었다는 점을 생각할 때, <카츄샤>를 비롯한 17곡은 오직 구전을 통해민간에 유행되었을 정도로 그 대중적 인기가 높았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수 있다.[12]

Quote-right.png
출처: 우수진,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 변용」, 2014.



이는 당시의 대중들이 톨스토이의 <부활>이나 카츄사의 서사 자체보다 <카츄사의 노래>를 더 먼저 접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우수진은 2014년의 논문에서 "톨스토이 이전에 카츄사를 먼저 알았다.","담장 넘어로 애연히 들니어오는 마을 아가씨의 노래를 통하여 나는 『카튜사』라는 여자를 아랐다"는 최상덕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따라서, 당시 <카츄사>의 공연은 이렇듯 <부활> 서사의 재생산, 그리고 그에 대한 대중적인 수요와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부활>의 재생산이 기본적으로 대중적인 욕구에 맞추어 이루어졌고, 그것은 당시 관중들에게 강렬한 매력을 가진 여주인공 카츄사를 각인시켰다. 더불어 극중 노래인 <카츄샤의 노래>가 대중가요의 성격으로 남아 그 인기가 더욱 오래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928년 조선극장에서 유나이티드 아티스트(United Artists) 사의 <Resurrection>이 상영되었을 때에도 제목을 그대로 번역한 <부활>이 아니라 <가주사(카츄사)>로 광고되었을 만큼[13] 당시 대중들에게 <카츄사>는 곧 <부활> 그 자체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우수진,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부활> 연극의 수용 경로와 그 문화 계보학」, 『한국근대문학연구』28, 한국근대문학회, 2013.10, 403~437쪽.
우수진,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 변용」, 『한국학연구』32,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03, 209~241쪽.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조선 뉴스 라이브러리
IMDb Internet Movie Database
위키백과

주석

  1. 우수진,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 변용」, 『한국학연구』32,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03, 209~241쪽.
  2. 관련 기사
    土月會二囘劇」, 『조선일보』, 1923.09.10.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土月會 二回公演凖備」, 『동아일보』, 1923.09.11.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2회 공연에 분망, 토월회, 15일부터 조선극장에」, 『매일신보』, 1923.09.13. 3면,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online, 국립중앙도서관.
    土月會의二回公演」, 『조선일보』, 1923.09.14.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土月會劇온延期오는십팔일로」, 『조선일보』, 1923.09.16.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土月會公演은今日」, 『동아일보』, 1923.09.18.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演劇과 活動」, 『조선일보』, 1923.09.22. 조선일보 3면, 『조선뉴스라이브러리』online, 조선일보.
  3. 土月會에서 카주샤上演」, 『조선일보』, 1929년.12월.13일. 5면, 『조선뉴스 라이브러리 100』online, 조선일보.
  4. 土月會에서 카주샤上演」, 『조선일보』, 1929년.12월.13일. 5면, 『조선뉴스 라이브러리 100』online, 조선일보.
  5. 우수진,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부활> 연극의 수용 경로와 그 문화 계보학」, 『한국근대문학연구』28, 한국근대문학회, 2013.10, 403~437쪽.
  6. 우수진, 위의 논문, 2014.
  7. 우수진, 위의 논문, 2014.
  8. 우수진, 위의 논문, 2013.
  9. 우수진, 위의 논문, 2014.
  10. 우수진, 위의 논문, 2014.
  11. 우수진, 위의 논문, 2013.
  12. 우수진, 위의 논문, 2014.
  13. 「가주사」再上映, 朝鮮劇場에서」, 『동아일보』, 1928.03.10. 3면,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online, 네이버.

기여

CWS21KHU: 최초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