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 역명 분석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7가, 광희동1가에 위치, 1983년, 1985년, 1996년에 개통한 2, 4, 5호선의 역.[1]

개통 TimeLine

내용

역명의 유래

match (a{o_name:'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 - [*..3] - (b) return a, b



현재에는 인근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있지만, 그 이전에는 동대문운동장이 있었다. 동대문운동장은 조선시대에는 장병의 선발과 무술훈련을 하는 훈련원터였고,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는 육상경기장, 야구장, 정구장을 합쳐 경성운동장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다.[2] 해방 후에는 서울경기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잠실에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위한 서울종합운동장이 생기고 난 후에는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2009년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들어서면서 역의 이름도 이 흐름을 따라가게 되었다. (서울종합운동장과 동대문운동장이 isRelatedTo로, 관련있다는 관계로 연결하였다.) 따라서 서울운동장역은 동대문운동장의,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동대문운동장의 예전 역명으로, isOldStationOf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서울운동장역은 자연히 서울운동장의 이름을, 동대문운동장역은 동대문운동장의 이름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이름이 너무 길다보니 이후 역명을 바꾸자는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다. 특히 2010년에는 SNS 상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대신 전태일역이 어떻겠냐는 의견이 있었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3] 그러나 아직까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이 유지되고 있다. 병기역명인 DDP는 인근의 DDP(동대문 디지털 플라자)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2019년 서울시에서 국내외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병기역명으로 설정하였다.[4] 이름을 따온 경우에는 isNamedAfter로 연결하였다.

경성운동장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운동장은 일제강점기의 경성운동장이었다. 경성부가 총동부의 지원을 받아 조선의 훈련원터였던 곳에 운동장을 지어 1925년 10월 15일에 개장하였다. 당시에는 육상경기장, 야구장, 정구장, 수영장, 마장, 녹지 등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조신인의 스포츠 증진이 아니라 일제의 민족주의적 침략정서의 일환이었다.[5]


서울운동장

1945년 조선의 광복 이후에 경성운동장은 서울운동장으로 새단장했다. 그러나 정치적 혼란, 기능과 역할은 그대로이고 이름만 변경한 것이다. 이 때에 서울운동장은 "국내 스포츠의 메카"[6]라고 표현될만큼 수많은 체육행사들이 열렸고, 잊을 수 없는 명장면들 역시 많이 탄생한 곳이었다. 또한 국가 차원의 기념식들이 이 곳에서 개최되었고, 민족지도자들의 장례식도 서울운동장에서 열렸다고 한다[7]. 이곳은 일본제국이 남긴 유산이면서 항일운동의 장이며, 공산주의와 민주주의, 민족세력가 반민족세력 등 대립하는 이데올로기가 존재하는 집회장이었다[8].


동대문운동장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1984년 잠실에는 서울종합운동장(잠실종합운동장)이 건립되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낡고 오래된 서울운동장은 1985년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을 바꿨다.[1] 참고로 경성운동장이 지어질 때 동대문 옆에 지어졌기 때문에 이 지역은 '동대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곳이 많다. 그러나 정작 동대문은 동대문구에 위치하지는 않는다. 이는 동대문이 있는 종로구의 지위를 유지하려는 행정편의상 목적으로 동대문구를 이리저리 떼어내면서 발생한 것이다.[9][2] 서울종합운동장이 지어지고 난 후 많은 스포츠축제가 서울종합운동장에서 이루어졌고, 동대문운동장은 노후화되었다. 2003년에는 축구장을 닫고 풍물시장 및 주차장으로도 이용되었고, 그 자리에 현재 패션의 메타로 불리는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가 조성되었다.[10][3]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은 역사문화를 주제로 한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여 지어진 이름이고, DDP를 부속시설로 한다.

참고문헌

주석

  1. 나무위키
  2. 주간조선 커버스토리 2429호
  3.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