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 메인 페이지

서울특별시 공원의 탄생과 역사


공원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고찰


언제오시조: 한지원, 세화, 심희준, 양형준, 황인찬



연구 목적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대한민국의 발전의 역사와 함께 하며 성장해 나갔다. 그 과정 속에서 서울시의 녹지 공간은 부족하여졌고, 이에 다양한 도시계획시설의 조성에 대한 정책을 통해서 서울시민의 삶의 터전 속에 공원, 녹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요청을 커져졌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서울특별시 내에 공원은 빠르고 넓은 범위를 차지하며 서울 시민의 삶 안에 스며들었다. 시민의 삶에서 이제는 떼어낼 수 없는 공원의 조성 배경 데이터 분석은 다음과 같이 서울의 문화, 발전 과정, 도시의 자연과 사회 커뮤니케이션 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화적인 의미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는 특정 지역 또는 문화에서 공원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공원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풍부한 역사와 문화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2. 도시 계획과 개발

공원은 도시 계획과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는 도시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이해하고, 도시 계획자와 개발자에게 지역의 공공 공간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도시의 미적 가치와 건강한 환경 조성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3. 자연 보존과 환경

많은 공원은 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는 자연 보존과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공원이 지역의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도시에서 자연과의 상호 작용을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서 공원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4. 사회적인 건강과 레크리에이션

공원은 사회적인 건강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는 개인과 커뮤니티의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공원의 적절한 디자인과 활용 방법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개인과 커뮤니티가 건강하고 활발한 삶을 살 수 있는 공공 공간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를 통해 공원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과 사회적인 건강을 촉진하는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



주연구대상: "서울특별시청 서울의 공원"에 등재되어 있는 공원 128개

'서울의 공원' 홈페이지에 등록된 공원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이유:

'서울의 공원' 홈페이지에 등록된 공원은 아래 4가지 요소를 고려한 등록 기준을 충족하고 서울시나 관련 기관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등록 공원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의 공원 조성 목적, 지역 사회의 필요, 자연과의 조화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서울 소재 공원들 중 '서울의 공원'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공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다.

(*공원 등록 기준 고려 요소)

1. 크기와 면적: 공원 등록 기준에서는 일정한 크기와 면적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원은 특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갖추어야 하며, 이는 도시 계획이나 지역의 공원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시설과 편의시설: 공원 등록 기준에서는 공원 내에 어떠한 시설과 편의시설이 있는지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산책로, 자전거 도로, 운동 시설, 어린이 놀이터, 화장실, 주차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장소의 적합성: 공원 등록 기준에서는 공원이 지역 사회의 필요에 부응하고 적합한 위치에 있는지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주거 지역 주변이거나 대중 교통이 편리한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자연과의 조화: 공원 등록 기준에서는 자연과의 조화와 보전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식물과 풍경의 다양성, 자연 경관의 보전, 생태계의 유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연구 방법



‘서울의 공원’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공원들을 토대로 각 공원들과 관련 있는 노드들과 공원의 속성들을 데이터로 정리하고 각 데이터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작성해 공원 조성 이전의 부지가 공원 조성 프로젝트를 통해 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잘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는 공원의 여러 속성들, 예컨대 시설물이나 제외여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며, 그 공원들의 관리 주체(Institution)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 조사하여 어떠한 기관이 이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서 공원이 제기능을 다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온톨로지


온톨로지 그래프 편집하기

클래스(Class)

클래스명 한글명 설명
Park 공원 주요 연구 대상인 공원
Origin 기원 공원이 개원하기 전 그 부지를 사용됐던 용도
Site 위치 공원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행정구)
Facility 시설 공원 안에 있는 시설
Project 사업 공원의 탄생 배경이 된 사업(계획)

릴레이션(Relation)

영문명 한글명 정의역 치역 설명
usedtobe ~으로 사용되었다 Park Origin 공원 개원 전, 해당 부지가 사용되었던 용도
isLocatedIn ~에 위치해있다 Park Site 공원이 위치해 있는 곳
isBuiltBy ~에 의해 지어졌다 Park Project 공원이 탄생하게 된 사업
isProvidedWith ~의 설비가 있다 Park Facility 공원이 제공하는 시설물
participatesIn ~에 참여하다 Institution Project 공원 탄생 사업에 관여한 공공기관

속성(Attribute)

Park 속성
속성명 한글명 설명
syear 설립년도 공원이 설립된 년도
category 범주 공원의 분류
address 주소 공원의 주소
form 형태 공원의 위치를 맵에 기록할 구현 형태
latitude 위도 공원 주소의 위도
longitude 경도 공원 주소의 경도
extent 공원 면적 공원의 면적
exception 사라지게 될 공원인지 여부 장기미집행으로 인해 사라지게 될 공원의 여부


Project 속성
속성명 한글명 설명
objective 목적 사업(계획)을 시행하게 된 목적(배경)

연구 데이터


【데이터 시트 페이지로 이동】


노드 데이터(총 966건)

  • Park 128건
  • Facility 791건
  • Origin 11건
  • Project 9건
  • Site 27건



링크 데이터(총 1251건)

  • isProvidedWith 791건
  • usedToBe 128건
  • isBulitBy 204건
  • isLocatedIn 128건





연구 결과


★ 모든 조 필수/문제의식에 맞춰 작성한 Cypher Query와 분석 결과에 대해 서술
Neo4j Desktop(그래프/테이블) or dash(바차트/파이차트/맵/테이블) 화면 캡쳐본 삽입할 것

1. 전반적 분석

1.1 모든 데이터 출력: match (n) return n

(그림 삽입)

본 시트에 있는 모든 데이터들을 출력한 결과 값이다.


1.2 관계(relation)를 갖고 있는 모든 데이터를 출력: match (a)-[r]-(b) return a, r, b

(그림 삽입)


1.3 관계(relation)가 없는 외톨이 노드 출력: match (a) where not (a)-[]-() return a

(그림)


2. 공원의 위치

2.1 대상 공원들의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는 곳을 맵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맵 넣기)


3. 구체적 분석

3.1 공원과 도시화

자연어 프로젝트 ‘도시계획’에 의해 조성된 공원의 설립년도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 (x축; 설립년도, y축; 해당년도에 프로젝트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공원들의 갯수)

Cipher query match (a:park) – [r:isBuiltBy] – (b:project{‘도시계획’}) – [r:isBuiltIn] – (c:syear) return c.name as 설립연도 order by 설립연도 desc

연구결과 도시화가 집중적으로 일어난 1970년대에는 인구 증가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 또한 집중적으로 발생했을 것이라 예상했다. 따라서 주거환경 개선의 일부인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공원들의 설립년도가 언제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x축을 설립년도, y축을 해당년도에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공원들의 갯수를 막대그래프로 그려 나타내었다.

C조연구결과3.png

예상에 따르면 도시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1970년대에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공원의 갯수가 많아야 하지만, 2000년대로 갈수록 공원의 갯수가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시화가 이루어질수록 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는 녹지 공간이 감소해 1900년대 후반에 ‘도시계획’으로 조성된 공원의 수가 작고, 2000년대로 갈수록 소득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 및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조성된 공원의 수가 증가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2 정부정책과 공원

자연어 오리진이 미개발부지인 공원 중 공원 녹지 확충 5개년 계획으로 설립된 공원들의 비중

Cipher query match (a:park) - [r:isOriginatedBy] - (b:origin{name:’미개발_부지’}) – [r:isBuiltBy] – (c:project{‘공원녹지확충_5개년계획’}) return a.name as 공원이름, count(a) as 공원갯수

연구결과

서울 내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공원 녹지 확충 5개년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개발 부지가 공원녹지확충 5개년계획을 통해 공원으로 조성된 경우가 상당할 것이라 생각하였고, 따라서 오리진이 미개발부지인 공원 중 공원녹지확충 5개년계획으로 설립된 공원의 비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도시의 개발과 인구 증가로 인한 자연 환경의 감소, 도시 주민들의 편안한 휴식과 문화 활동의 필요성, 건강과 웰빙 증진을 위한 대책 필요성, 환경 개선과 지속 가능한 도시 건설, 지역 사회와의 협력 강화

C조연구결과.png

위 파이차트를 통해 알 수 있듯, 오리진이 미개발부지인 공원들 중 ‘공원녹지확충 5개년계획’ 프로젝트를 통해 공원으로 조성된 경우의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었다.


3.3 서울특별시 구별 공원 개수 -종로구와 강서구를 중심으로-

C조연구결과4.png

3.3.1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심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유산과 유명한 관광지가 분포한다. 따라서 방문자 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으며, 이에 따라 많은 방문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많은 공원들이 조성되었다. 역사적인 이유 뿐 아니라 종로구는 서울의 상업지구와 번화가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조용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의 조화는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자연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도 공원이 많이 조성되었다.

3.3.2 강서구

강서구는 타 지역에 비해 다양한 자연 요소가 있어 이러한 조건에 의해 공원과 녹지지역을 조성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인구가 많고 주거환경이 밀집되어 있는 구역이 상대적으로 많아 주민들의 휴식과 운동을 위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이 조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의 도시계획 중 공원 조성 정책이 우선시 되어 재정 지원을 많이 한 경우가 타 지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들에 따라 강서구가 타 지역에 비해 공원의 갯수가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 후기



HJW23KU 😄 (한지원 학생 한 학기 연구에 참여한 소감을 여기에 작성해 주세요)



SH23KU 😊 (세화 학생 한 학기 연구에 참여한 소감을 여기에 작성해 주세요)



SHJ23KU 😐 1학기의 프로젝트라 부담감도 많고 걱정도 많이 했지만 대학생활중 가장 기억에 남을 조별 프로젝트였던 것 같습니다. 부원들도 정말 착하고 다들 열심히 하려고 하고 특히 조장이 힘들어도 계속 이끌어가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조별 프로젝트는 우리가 흔히 가는 공원에 대해 조사해서 주제도 재미있었고 조사하면서도 많은 공원에 대해 배워서 의미가 있습니다. 아쉬운점은 우리가 꽤 많은 양의 조사를 했는데 다 활용하지 못하고 생각했던 주제들을 재대로 실현하지 못해서 많이 아쉬운것 같다. 정말 주제가 좋아서 더 활용해서 많은걸 보여주지 못해 이 부분이 되게 아쉽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조원들이 너무 재미있고 착해서 재미있는 프로젝트였던 것 같습니다.



YHJ23KU 🙄 이번 학기 동안, 힘들었지만 또 재미있게 했던 과목인 것 같습니다. 공원이라는 주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공원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데이터인문학'이라는 강의가 힘들었지만 대학교의 첫 학기를 지낸 저에겐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조원 모두가 잘 수행해주셨지만, 그 노력이 결과에 반영되지 않은 거 같아 상당히 아쉽습니다. 결과는 아쉬워도 조원분들이 많이 고생했다는 점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정말 많이 수고하셨습니다.



HIC23KU 😎 한 학기 동안,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데이터인문학"이라는 이름에 끌려서 겂도 없이 수강했던 과목이었습니다. 같은 조의 다른 조원분이 말씀하는 공원이라는 주제를 처음부터 계속 가지고 가면서, 솔직히 처음에는 관심이 가지 않았던 내용이던 것이 조사를 거듭할수록 관련 지식도 많아졌고, 서울시의 도시 계획에 대한 여러 내용을 알게 되면서, 공원과 서울시의 관계에 대해서 곱씹어 볼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데이터로 만들어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내용을 데이터로 표현하여 이를 통한 결과를 나타내고자 한 시도 자체가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비록 그 결과물이 만족스러운 내용은 아니었지만, 이번 학기를 통해 배운 것은 잊지 않고 제 삶에서 가져가겠습니다. 또 하나, 얻어간 것은 바로 조원들이었습니다. 팀플을 가면서 어렵고 힘들었던 준비 시간도 있었지만, 제 옆의 조원들 덕분에 끝까지 해낼 수 있었습니다.(해냈다고 하기엔 뭐하지만..) 결과가 아쉽다고 저희 조가 한 노력의 시간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에 함께 해준 팀원들에게 고맙다는 말 전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한강온도몇도조

SJM23KU 🐰 공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커뮤니티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가 인상적입니다. 처음 문제의식이 좋았다고 생각하는데 공원이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 해석 부분이 조금 부족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사회에 꼭 필요한 데이터들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



HHS23KU 🍻 본래의 연구 목적인 공원의 탄생 목적과 의의에 대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볼 수 없어 아쉬웠습니다



LRG23KU 🐣 도시와 공원을 연계하여 결과를 확인하려는 시도는 너무 좋았습니다. 하지만 연구 목적에 비해 구체적 분석 시에 단순히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에만 초점을 둔 것처럼 느껴져 조금 아쉬웠습니다.. 공원 노드에 있는 속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한 쿼리가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아쉬운 점이 보완되고 연구를 완성시킨다면 중요한 데이터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YEJ23KU 👍🏻 연구 주제나 목적이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시간이 충분했다면 더 의미 있는 좋은 결과가 나왔을 것 같아요.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책좀읽으시조

JSH23KU 🐰 오늘날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공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 점이 돋보입니다. 다만 양적인 분석을 시도하기에는 1차 수치들 자체가 지나치게 가짓수가 부족한데, 공원들의 다양한 속성을 수집하고 attribution 항목으로 저장하여 분석에 활용하면 더욱 풍성한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구별 공원의 숫자를 활용해 두 개의 구의 특성을 유추하는 정성적 분석도 단순 갯수만이 아닌 평균 면적이나 설립 시점, 혹은 정책 보고서에서 언급된 지역별 집중 개발 시기 등을 활용해 좀 더 역사적/정책적 맥락에서 접근했다면 더욱 기획 의도에 부합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예컨대 2030 서울시 공원녹지기본계획에서는 토지 소유 주체나 비오톱등급과 같은 사회/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공원 계획을 수립하는데, 이처럼 정책적 방향이나 생태학적 의미를 고려해 결과를 도출하셨다면 더욱 풍성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흥미로운 시도를 하셨지만 다양한 제약으로 인해 실현이 쉽지 않아 최종 결과에 담지 못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모든 것을 더하고 빼며 현실적인 범위 내에서 분석을 하시느라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GDW23KU 🍻 일단 연구주제자체는 매우 흥미로움을 느꼈습니다. 서울에 있는 공원의 수, 공원의 목적, 그리고 그걸 정책과 관련시켜 연구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연구결과와 데이터 시트를 보았을때, 어떤 정책이 있고, 공원이 서울의 지역별로 몇개가 있는지까지는 제대로 파악이 되었지만 이 둘간의 연관성이 없었고, 공원이 정책에 맞게 그리고 공원이 그 역할을 제대로하는지 파악가능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이 보인다는 점에서 인상깊었습니다. 한학기동안 고생하셨습니다!!



UYE23KU 🐣 흥미롭고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의 주제와 목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데이터 시트 내용이나 정확도가 다소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고 neo4J나 dash 등의 쿼리를 이용한 시각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을 보았을 때, 피상적인 연구에 그친 것 같아서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흥미롭게 발표 들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JSW23KU 👍🏻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원을 주제로 하셔서 흥미로웠고 연구목적도 체계적으로 잘 나누어주신 것 같습니다. 다만, neo4j를 활용하여 데이터간의 관계를 보지 못한 점과 많은 데이터 양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한 점이 아쉽습니다. 한 학기 동안 수고하셨습니다!



LHW23KU 🍗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잘 짜여지고 신중하게 실행되어 서울시 공원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통찰력이 엿보인다. 데이터를 광범위한 사회문화 및 도시 개발 맥락과 잘 연결하고, 연구 결과를 접근 가능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의 한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 아쉽다. 한편 서울시의 데이터 세트는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지만, 서울시 공원 개발의 모든 뉘앙스와 복잡성을 포착하지는 못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공원이 있는지, 데이터를 분석할 때 어떤 어려움이나 난관이 있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유용할 것입니다.

또한 다른 도시나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서울의 발전상을 글로벌 맥락에서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서울의 공원 개발 방식이 세계 주요 도시들과 공원 조성의 양적 측면과 고려 요소 측면에서 어떻게 비교되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미래에 대한 몇 가지 예측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향후 트렌드와 잠재적인 추가 연구 분야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논의가 있었다면 마무리로 좋았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가 공원 조성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나 도시 계획에서 기술 발전의 역할 등이 떠오릅니다.


히사이시조

HHJ23KU 🐰 문제의식은 좋았지만 그 문제의식을 뒷받침하는 데이터와 분석이 너무 적었습니다. 각 Node 를 설명할 Attribute 데이터가 너무 적어서 이어줄 수 있는 쿼리가 너무 없었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분석으로 봤으면 좋을 것 같은 주제입니다. 아쉽습니다.



PYN23KU 🍻 흥미로운 주제였는데 전체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공원 등록 기준이 어디서 나왔는지 등의 근거 페이지를 url로 첨부하면 설득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노드마다 적절한 attribute를 좀 더 생각해서 추가하면 분석거리가 생겼을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공공시설, 또는 탄생 이후 공사횟수를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분석에서 구마다의 설명을 조사해 적은 점은 좋았습니다. 공원은 역사적인 맥락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공원의 이름이 그 맥락에서 탄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처럼 충분히 재밌는 분석이 많이 나올 수 있는데 기본적인 바 그래프/원 그래프/지도만 활용하여 아쉽습니다. 조금 더 시간을 갖고 neo4j를 이용한다면 더 재밌는 결과도 도출해낼 가능성이 큰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LMJ23KU 🐣 공원의 탄생 배경 데이터를 통해 공원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겠다는 좋은 연구의 취지에 반해 연구의 결과가 그러한 취지를 실현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 않았나 생각되는 결과였습니다. '시간이 조금 더 있었으면 좋았겠다.' 라고 발표 때 말씀하셨지만 Project 노드의 속성이 단일이기도 하며 이밖의 관련 데이터가 훨씬 많이 구축되어 있었어야 시간 부족의 사유가 납득될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연구 주제에 대한 접근은 좋았습니다. 도시개발의 맥락과 함께 인문사회의 발달과는 다소 상반되는 자연 이미지의 공원이 발달했다는 사실을 발견해가는 과정이 좋았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NKM23KU 👍🏻 공원의 기원을 통해 서울의 발전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분석하고자하는 취지는 재미있었습니다. 시설물과 공공기관이라는 공원 자체의 요소를 가지고 결과물을 비교하는 edge와 node들은 상당히 의미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관계를 통해 들여다 보는 것이 아닌, 단순 양적 비교를 통해 주관적인 결론 도출이 이루어 졌다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같이가시조

SJH23KU 🐰 잘 들었습니다! 공원의 설립 이유와 영향을 조사한 부분이 인상깊었고 공원을 다룰 때 여러 가지 속성을 잘 기재했던 것 같습니다.

정부정책과 공원 부분에서 계획 중의 특정 계획을 분석하기보다 연도에서 조금 다루긴 했지만 전체 공원이 설립된 것 중에 도시계획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해 조금 더 다뤘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부분에 퍼센테이지랑 개수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위키ID 🍻 해당 팀 연구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해 주세요



BSY23KU 🐣 공원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원의 탄생과 역사에 대해 다뤘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공원의 설립년도를 설정한 기준도 발표 중 명시해주셔서 명확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 많은 논의를 하셨다는 점이 느껴졌고 공원녹지확충 5개년 계획으로 인해 절반 이상의 미개발 부지가 공원으로 조성되었다는 점은 관련 사업에 대해 처음 알게 되는 계기가 되어 신선했습니다. 구별 공원 수에 관해 결과값을 내고선 종로구, 강서구의 공원이 많은 이유에 대해 근거를 들어 추론하셨던 것이 인상 깊었는데, 그렇다면 구별 공원 수가 적은 지역구는 왜 적은건지에 대한 이유는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또한, 발표 전까지 시간적인 문제로 Neo4j 사진을 미첨부하셨다고 하셔서 아쉬웠는데, 코멘트를 남기는 지금 시점에서도 캡처본이 업로드되어 있지 않아 어떤 결과값이 나왔는지 시각적으로 볼 수 없어서 아쉽습니다.



HSC23KU 👍🏻 서울 내 공원들의 탄생 배경과 역할 가치 등에 대한 연구를 도시의 발전과 엮어서 해석하는 것은 재미있었습니다. 데이터셋을 보면 시간만 조금 더 있었다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여러 결과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데이터셋 중에서 공원 부지의 기원에 대한 자료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호기심이 생기는 부분이었는데, 이 부분에 대한 해석 결과가 없어서 아쉽습니다.






참고 자료


(참고 자료 및 주석은 출처 표기 규칙 페이지를 참고할 것!)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