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사찰음식은 불교에서 유래되었는데, 건강한 식사로 이해되면서 점차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도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나아가 하나의 채식으로서 해외에서도 눈길을 끌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한국 고유의 전통이 담긴 사찰음식은 전통문화의 보존에 유의미한 기여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위키에서는 사찰음식의 개념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현재 사찰음식의 주 소비자층과 그들의 니즈를 알아본다. 나아가 사찰음식이 나아가야 할 미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내용

사찰에서, 식사는 수행의 일부로 간주된다. 사찰 예법의 기본 정신은, 식재료를 장만하고 조리해 준 모든 것에 감사하는 것이다. 여기에 들어가는 식재료는 대개 주변에서 구한 농산물로 이루어져 있다. 아무래도 재료 선택에 제약이 있기에 양념과 향신료를 통해 맛을 살리는 경우가 많다. 식재료를 주변에서 구한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제철음식 및 저장음식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사찰음식에는 일반적으로 장아찌, 튀각 등의 밑반찬과 더불어 김치 종류가 많이 있다.
사찰음식 분류.PNG [1]
사찰음식에는 위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사찰음식은 이제 점차 대중화되어, 사람들에게 건강을 위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홍보하기 위하여 실제로 템플스테이를 통해 사찰음식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며, 발우공양 등 사찰음식 전문점 또한 인기를 끈다. 이 발우공양은 2017년 미쉐린 가이드 1스타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기도 하였다.
사찰음식은 채식과 식물성 단백질 위주이기에, 이제는 외국인에게까지 건강한 채식문화로서 알려지고 있다.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섬유소를 모두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나아가, 사찰음식은 자연과도 맞닿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찰음식을 통해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함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찰음식의 수요를 창출하고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층의 분석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사찰음식의 주 소비자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의 수요가 더 높았다. 결혼 여부의 경우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수요가 높았다. 연령대의 경우 40대 이상의 수요가 그 이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소득의 경우, 연 소득 4천만원 이상의 사람들이 더 높은 수요를 보였다. 종교의 경우 불교 집단의 사찰음식 수요가 무교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찰음식 인지 여부만이 사찰음식 구매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즉 소비자에게 사찰음식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마케팅이 필요함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 사회문화적 조건이 사찰음식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아직 사찰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높지 않은 2~30대 여성에게 이러한 사찰음식의 홍보가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그 구체적인 마케팅 방법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
사찰음식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감정에는 온라인 구전 정보가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감정적인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 자체의 유연성, 생동성, 동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정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찰음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쉽도록 만들어야 한다. 즉 스크랩 기능 등을 용이하게 만들어야 하며, 관련 정보에 대한 신속성이 요구된다. 정보의 생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정보의 공유와 저장 및 편집이 용이해야 한다. 그리고 이때의 정보는 생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실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동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가시적인 반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동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적었다. 즉,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조회, 댓글, 추천 개수가 높은 것 또한 어느 정도 의미를 가져올 수 있으나, 이보다는 앞의 조건들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즉 단순히 주변 소비자들의 반응보다도 정보의 질적인 측면이 더욱 중시된다는 것이다.

전자지도 활용

서울의 사찰음식 전문점 매핑

참고문헌

임현철, 강나윤, 오왕규, 「사찰음식의 온라인 구전 정보특성이 힐링 만족에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 『한국조리학회지』26(10), 2020.
김용문, 박기오, 「사찰음식에 대한 수요영향요인 분석」, 『한국조리학회지』22(3), 2016.
"사찰음식",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주석

  1. 한국사찰음식online, 한국불교문화사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