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역명분석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동묘앞역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2000년도에 6호선이 먼저 개업한 후, 2005년에 1호선이 개업하여 환승역이 되었다. [1] 동묘앞역의 역명 유래를 알아보도록 하자.

내용

네트워크 그래프


위의 네트워크 그래프는 동묘앞역 역명의 유래를 분석한 것이다. 그래프를 통해 동묘앞역은 동관왕묘에서 따 온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관왕묘

역명의 유래인 '동묘'는 중국 촉한 명장 관우의 사당으로 원래 명칭이 동관왕묘이며 보물 제 142호이다.[2] 선조 32년인 1599년에 짓기 시작하여 1601년에 완공되었고, 건물 안에는 관우의 목조상과 그의 친족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다.[3]

서울 동관왕묘[4]


  • 동관왕묘 건립이유

한국도 아닌 중국의 명장 관우의 사당이 서울에 설치된 이유는 무엇일까?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조선에서 명나라 장수들이 왜적과 싸울 때 관왕 즉, 관우가 현성하여 도움을 주었다고 하자 명나라의 신종황제가 4천금을 주어 한양에 관왕묘를 건립하도록 하였다고 한다.[5] 이에 동관왕묘는 흥인지문 밖에 터를 정해 준공되었다.[6] 사헌부 장계에 의하면 동관왕묘의 건립은 중국의 건의에 의한 부득이한 일이었다고 하니, 사실상 명나라의 종용에 의한 건립이었다고 한다.[7] 한편, 동관왕묘는 다른 관왕묘와 다르게 '동관왕묘조성청'이라는 임시기구를 만들어 건립을 추진한 국책사업이었으며, 당대 한중 장인들이 힘을 모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8]

  • 관왕묘

동묘가 관왕묘인 것은 그것이 위치한 위치가 동대문 밖인 수도의 동쪽에 있기 때문이라고 유추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렇다면 관왕묘가 또 한국에 존재할까? 동관왕묘가 있기 전, 1598년에 숭례문 밖에 남관왕묘가 건립되었다.[9] 또 지방에서도 관왕묘가 건립되었는데, 1598년을 전후하여 강진, 안동, 성주, 남원의 네 곳에 관왕묘가 건립되었다고 한다.[10] 관왕묘의 건립은 명나라 장수들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며, 이는 군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11]

관우

관우[12]


관우는 중국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장수이다. 촉나라의 장수였으며 삼국지연의에서 유비, 장비와 함께 의형제로 도원결의를 맺었다고 묘사되어 있다. [13] 관우는 중국에서 충의와 무용의 상징으로 숭배되었고, 그를 신격화하여 관제묘를 세워 모시는 등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14] 동묘도 관우 신격화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동묘앞역", 『위키백과』online.
  2.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동묘앞역", 『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 』 online,서울교통공사.
  3. "서울 동관왕묘", 『국가문화유산포털』online,문화재청.
  4. "서울 동관왕묘", 『국가문화유산포털』online,문화재청.
  5. 정은주, 「한양 도성의 동문, 흥인지문과 주변 이야기」, 『미술사와 문화유산』 제5집 ,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6. 정은주, 「한양 도성의 동문, 흥인지문과 주변 이야기」, 『미술사와 문화유산』 제5집 ,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7. "관왕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8. "삼국지 관우의 묘가 왜 국가지정 문화재가 되었을까", 『동아일보』online,2013년 10월 28일.
  9. "관왕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0. "관왕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1. "관왕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2. "관우", 『위키백과』online
  13. "관우(關羽,?~219)", 『두산백과』online
  14. "관우(關羽,?~219)", 『두산백과』online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