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지
경주 황룡사지 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
|
대표명칭 | 경주 황룡사지 |
---|---|
영문명칭 | 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
한자 | 慶州 皇龍寺址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20-2 |
지정(등록) 종목 | 사적 제6호 |
지정(등록)일 | 1963년 1월 2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시대 | 신라 |
수량/면적 | 390,418㎡ |
웹사이트 | 경주 황룡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황룡사는 경주 중심부에 위치한 신라 최대의 사찰이다. 진흥왕 14년(553) 월성 동북쪽에 궁궐을 조성하다가 황룡이 나타나 사찰로 고쳐지었다. 그 후 장육존상을 봉안하기 위한 금당을 다시 짓고, 선덕여왕(善德女王) 14년(645)에 구층목탑을 건립하기까지 93년에 걸친 대규모 국가사업으로 완성된 사찰이다.
황룡사는 중문과 목탑, 금당, 강당이 남북으로 놓이고 금당 좌우에 작은 금당, 탑 좌우에 경루와 종루를 대칭으로 배치하고 주위 사방을 회랑으로 둘렀다. 금당은 인도의 아소카왕이 조성하려다 이루지 못하고 배에 실어 보낸 황철과 황금으로 만든 금동삼존불을 모시기 위해 진평왕 6년(584)에 새로 지어졌다. 또 선덕여왕 12년(643)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慈藏)이 신라의 위용을 보여줄 수 있는 거대한 구층탑을 세워 외적 침입을 막자는 건의에 따라 백제 기술자인 아비지(阿非知)를 불러 공사를 시작한 지 2년 만에 황룡사 구층목탑을 완공하였다. 경덕왕대(742~765) 재위에는 황룡사 대종이 완성되었다. 구층목탑은 낙뢰(落雷)같은 사고가 있을 때마다 고쳐지어졌지만, 고려 고종 25년(1238) 몽골 침입 때 황룡사와 함께 소실되었다.
신라삼보(新羅三寶)* 가운데 두 개가 황룡사에 있을 만큼 황룡사는 신라를 상징하는 큰 사찰이었다. 관리 관부인 성전(成典)*을 설치하여 국가관리 사찰로, 호국사찰로 위상이 높았다.
1976년부터 8년간의 발굴조사 결과, 원래 늪지대를 메워 절터를 만들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4만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유물 가운데 높이 182cm의 대형 치미는 황룡사 건축의 웅장한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 신라삼보(新羅三寶): 신라 왕실의 권위와 호국을 상징하는 세 가지 보물. 진평왕의 천사옥대(天賜玉帶, 하늘로부터 받았다는 허리띠), 진흥왕대의 황룡사 장육존상(丈六尊像, 1장6척 크기의 불상), 선덕여왕대의 황룡사 구층목탑
- 성전(成典): 신라시대 왕실의 사원을 관리하는 관청의 명칭.
- 치미(鴟尾): 고대의 목조건축에서 용마루의 양 끝에 높게 부착하던 장식기와.
영문
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This is the former site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was the largest Buddhist temple built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It stood in the central area of the ancient Silla capital, Seorabeol. The name Hwangnyongsa means “temple of the yellow dragon,” with the color yellow symbolizing an emperor.
It is said that in 553, a yellow dragon appeared at this very spot during the ongoing construction of a palace. The king took this as a sign to change the plan of the construction and to build a Buddhist temple here instead. The construction of this temple turned into a massive-scale national project which took nearly a century to complete. The temple's largest building was its nine-story wooden pagoda, which was finished in 645. The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 this pagoda as well as in the temple's main worship hall were regarded as treasures that symbolized the monarch’s authority and protectorship of the kingdom. The temple itself was given the important role of protecting the welfare of the state, and thus the monarch personally attended the ceremonies held here. The temple retained its important status until the Goryeo period (918-1392), but was eventually burned down in 1238 during the Mongol invasions (1231-1259).
Over the years, the temple’s site became occupied by private houses and fields. In the 1970s, research of the area began, and from 1976 to 1983, a thorough excavation was conducted, which revealed that the temple was built on swampy terrain that had been previously filled up and drained. A total of over 40,000 pieces of various artifacts were unearthed on the site including a gilt-bronze statue, roof-end wind chimes, gilt-bronze earrings, and glass shards. A particularly significant find was an enormous ridge-end roof tile which measured 1.82 m in height and 1.05 m in width, attesting to the massive scale of the temple.
The temple was originally built to have a northern and southern section and included a central gate, a wooden pagoda, a main worship hall, and a lecture hall. However, in the following years, the temple underwent three major expansions. First, two auxiliary worship halls were buil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worship hall. Then, the pagoda was flanked by two pavilions, one of which housed a bell and the other which served as a repository for Buddhist scriptures. Finally, the whole complex was surrounded by corridor quarters.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신라 최대의 사찰 황룡사의 옛 터이다. 신라의 수도 서라벌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었으며, 황룡사라는 이름은 이곳에 황룡이 나타났기 때문에 비롯되었고, 황색은 전통적으로 황제를 상징했다.
553년 이곳에 신라의 궁궐을 조성하던 중 황룡이 나타났고, 이에 왕이 계획을 바꾸어 사찰로 짓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후 백여 년에 가까운 대규모의 국가사업을 통해 사찰이 건립되었고, 이 사찰에서 규모가 가장 큰 건물은 645년에 완공된 9층 목탑이었다. 이 목탑과 황룡사 금당에 모셔졌던 불상은 신라 왕실의 권위와 호국을 상징하는 보물로 여겨졌으며, 국왕이 직접 참석하는 법회를 주관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가진 호국사찰이었다. 고려시대까지 사세가 이어졌으나, 1238년 몽고의 침입으로 모두 불타 없어졌다.
황룡사지는 폐사 이후 민가와 경작지로 변하였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1976년부터 8년간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늪지대를 메워 절터를 만들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도 금동불입상, 풍탁, 금동귀걸이, 각종 유리 조각 등 4만여 점에 이른다. 특히 높이 1.82m, 최대 너비 1.05m의 대형 치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황룡사 건물의 웅장한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황룡사는 원래 정문, 목탑, 금당, 강당이 남북으로 일렬로 배치된 형태였는데, 세 차례에 걸쳐 중창되었다. 금당 양옆에 작은 금당을 하나씩 더 짓고 목탑 좌우에 종을 달아두는 누각과 경전을 보관하는 누각을 하나씩 더 지었다. 전체 영역은 회랑으로 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