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광주 신창동 유적은 광주 광산구 신창동에 위치한 초기철기시대부터 마한시대까지 벼농사를 기반으로 생산과 생활, 장례의례 등 농경문화와 생활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이 발굴된 복합농경마을유적이다. 국가사적 제375호.
- 1963년 처음 독무덤(옹관묘)이 발굴되었으며, 1990년 국도 1호선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량의 유물이 나오자 공사를 중단하고 본격조사를 실시, 대단위 복합유적임이 확인되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저습지유적 발굴이 실시되었다.
- 현재 호남고속도로가 유적을 통과하고 있어, 전체 발굴은 어려운 상태다. 발굴지 일부는 유적지로 지정되고, 부근에 역사유적공원과 마한유적체험관이 들어섰다. 유물은 볼 수 없고, 발굴 유물의 대부분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 보관돼있다. 대신 국도 1호선은 유적지를 피해 우회했으며, 이는 유적지를 피해 국도가 우회한 국내 최초 사례다.
- 유적지는 영산강변의 네 개의 구릉과 그 사이 저지대 지역으로 늪과 못터, 토기가마터, 배수시설, 주거지, 독무덤 등이 있었으며, 유물 중 비단, 현악기, 북, 수레바퀴, 발화구 등은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것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늪과 못터에서 불탄쌀, 볍씨, 살구씨와 같이 농경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많이 발견되었고, 빗, 괭이, 나무 뚜껑과 같은 목제 유물들은 당시 생활모습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터에서는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된 모습을, 움집터에서는 바닥 가운데에 타원형 화덕을 설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원통모양칠기를 비롯한 각종 용기, 칼, 활, 삽.보습. 따비 등 다양한 유물이 발굴돼 당시 생활상을 보여준다.
- 광주광역시는 120억원을 들여 신창동 유적지 내 부지에 전체면적 2259㎡, 지상 1층 2개동 규모의 마한유적체험관을 조성했다. 마한유적체험관은 첫 발굴 모습을 재현한 전시실과 가상현실 통해 발굴 조사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상설체험실 등으로 구성됐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 신창동 유적 | Heritage | 사적 | 광주 신창동 유적 | 광주 신창동 유적 | 光州 新昌洞 遺蹟 | Archaeological Site in Sinchang-dong, Gwangju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신창동_유적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9/97/광주신창동유적.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 신창동 유적 | 독무덤(옹관묘) | 매장 방식 | |
광주 신창동 유적 | 움집터 | 주거 양식 | |
광주 신창동 유적 | 목제유물 | 주요 유물 | |
광주 신창동 유적 | 괭이 | 주요 유물 | |
광주 신창동 유적 | 비단 |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직물 | |
광주 신창동 유적 | 저습지유적 | 유적 특성 | |
광주 신창동 유적 | 국립광주박물관 | 유뮬 소장처 | |
광주 신창동 유적 | 신창동 유적 사적 지정 특별전 | 기념전시회 | |
광주 신창동 유적 | 신창동 선사유적지 | 유적 발굴터 | |
마한 | 광주 신창동 유적 | 유적 해당 소속 선사국가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_신창동_유적 | 35.19681761747496 | 126.84572151372281 | 광주 광산구 신창동 632-4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조현종, 「광주 신창동유적 발굴조사개보」, 『한국고고학전국대회』 Vol.- No.16, 한국고고학회, 1992.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5552729 |
논문 | 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출토 수침목재의 수종식별」, 『박물관보존과학』 Vol.10, 국립중앙박물관,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889718 |
논문 | 김수철,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박물관보존과학』 Vol.7, 국립중앙박물관, 2006, | kisti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Orgnl.do?cn=JAKO200622663515258&dbt=NART |
논문 | 정일,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백제학보』 Vol No.18, 백제학회,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2413603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