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Definition)
5번째 줄: 5번째 줄:
 
*전남대 재학중에 연극에 큰 관심을 보여 연극반과 들불야학에서 활동하며, 사회성 짙은 연극을 공연했다. 1979년 연극반과 탈춤반 후배들을 이끌고 극단 ‘광대’를 창단, 돼지 파동을 소재로 한 ‘돼지풀이 마당굿’을 공동 창작, 연출해 큰 관심을 받았다.  
 
*전남대 재학중에 연극에 큰 관심을 보여 연극반과 들불야학에서 활동하며, 사회성 짙은 연극을 공연했다. 1979년 연극반과 탈춤반 후배들을 이끌고 극단 ‘광대’를 창단, 돼지 파동을 소재로 한 ‘돼지풀이 마당굿’을 공동 창작, 연출해 큰 관심을 받았다.  
 
*5.18 당시 단원들과 민주화운동에 참여, 항쟁지도부 홍보부장을 맡아 활동했으나 옛 전남도청 최후 항전일에는 도청에 남지 못했다. 이와 관련 그는 “두 명은 죽었고(윤상원, 박용준), 한 명은 미쳤고(김영철), 한 명은 도망쳤다(박효선)”며, 괴로워했다고 한다.
 
*5.18 당시 단원들과 민주화운동에 참여, 항쟁지도부 홍보부장을 맡아 활동했으나 옛 전남도청 최후 항전일에는 도청에 남지 못했다. 이와 관련 그는 “두 명은 죽었고(윤상원, 박용준), 한 명은 미쳤고(김영철), 한 명은 도망쳤다(박효선)”며, 괴로워했다고 한다.
*1983년 극단 토박이를 창단했으며, 1989년 토박이가 직영하는 ‘민들레 소극장'을 개관했다. 극단 토막이를 근거지로 20여 년 동안 광주지역에서 활동했다. 극단 창단 후 배우활동보다는 희곡 집필과 연출에 집중해 『금희의 오월』(1988년),  『모란꽃』(1993년), 『그대에게 보내는 편지』(1995년), 『청실홍실』(1993년) 등을 쓰고 연출했다. 이들 작품에서 박효선은 평범한 시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5.18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관객들이 이해하기를 바라며, 5·18을 지나간 역사로 치부하고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다.  
+
*1983년 극단 토박이를 창단했으며, 1989년 토박이가 직영하는 ‘민들레 소극장'을 개관했다. 극단 토박이를 근거지로 20여 년 동안 광주지역에서 활동했다. 극단 창단 후 배우활동보다는 희곡 집필과 연출에 집중해 『금희의 오월』(1988년),  『모란꽃』(1993년), 『그대에게 보내는 편지』(1995년), 『청실홍실』(1993년) 등을 쓰고 연출했다. 이들 작품에서 박효선은 평범한 시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5.18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관객들이 이해하기를 바라며, 5·18을 지나간 역사로 치부하고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다.  
 
*1996년과 1997년 광주MBC 오월다큐드라마 '시민군 윤상원'과 '밀항탈출' 각본을 쓰고, 출연했으며, 1997년 제2회 광주비엔날레 개막제를 총연출했다.
 
*1996년과 1997년 광주MBC 오월다큐드라마 '시민군 윤상원'과 '밀항탈출' 각본을 쓰고, 출연했으며, 1997년 제2회 광주비엔날레 개막제를 총연출했다.
*1998년 간암 판정을 받고 운명,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사단법인 민족극협회는 2022년 ’박효선연극상‘를 제정, 첫 수장작으로 극단 나무닭연구소의 『전태일- 네 이름이 무엇이냐』를 선정했다.  
+
*1998년 간암 판정을 받고 운명,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사단법인 민족극협회는 2022년 ’박효선연극상‘를 제정, 첫 수장작으로 극단 나무닭연구소의 『전태일- 네 이름이 무엇이냐』를 선정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11월 17일 (목) 15:43 판

Definition

  • 박효선(朴曉善,1954~1998)은 광주지역 문화운동 1세대로 연극연출가, 극작가 겸 배우이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항쟁지도부 홍보부장을 맡았으며, 5.18을 알리는 연극 활동에 주력해 ‘오월광대’로 불린다.
  • 전남대 재학중에 연극에 큰 관심을 보여 연극반과 들불야학에서 활동하며, 사회성 짙은 연극을 공연했다. 1979년 연극반과 탈춤반 후배들을 이끌고 극단 ‘광대’를 창단, 돼지 파동을 소재로 한 ‘돼지풀이 마당굿’을 공동 창작, 연출해 큰 관심을 받았다.
  • 5.18 당시 단원들과 민주화운동에 참여, 항쟁지도부 홍보부장을 맡아 활동했으나 옛 전남도청 최후 항전일에는 도청에 남지 못했다. 이와 관련 그는 “두 명은 죽었고(윤상원, 박용준), 한 명은 미쳤고(김영철), 한 명은 도망쳤다(박효선)”며, 괴로워했다고 한다.
  • 1983년 극단 토박이를 창단했으며, 1989년 토박이가 직영하는 ‘민들레 소극장'을 개관했다. 극단 토박이를 근거지로 20여 년 동안 광주지역에서 활동했다. 극단 창단 후 배우활동보다는 희곡 집필과 연출에 집중해 『금희의 오월』(1988년), 『모란꽃』(1993년), 『그대에게 보내는 편지』(1995년), 『청실홍실』(1993년) 등을 쓰고 연출했다. 이들 작품에서 박효선은 평범한 시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5.18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관객들이 이해하기를 바라며, 5·18을 지나간 역사로 치부하고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다.
  • 1996년과 1997년 광주MBC 오월다큐드라마 '시민군 윤상원'과 '밀항탈출' 각본을 쓰고, 출연했으며, 1997년 제2회 광주비엔날레 개막제를 총연출했다.
  • 1998년 간암 판정을 받고 운명,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됐다. 사단법인 민족극협회는 2022년 ’박효선연극상‘를 제정, 첫 수장작으로 극단 나무닭연구소의 『전태일- 네 이름이 무엇이냐』를 선정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박효선 Actor 인물 민주화 박효선 박효선 朴曉善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박효선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5.18민주화운동 항쟁지도부 홍보부장 직책 맡음
박효선 극단 광대 창단을 주도
박효선 극단 토박이 창단주도 대표 지냄
박효선 민들레소극장 토박이 전용 소극장
박효선 금희의 오월 대표 희곡중 하나
박효선 윤상원 민주화운동 동지
박효선 들불야학 학장시절 활동한 단체
박효선 국립5.18민주묘지 사망 후 안장된 곳
박효선 박효선연극상 2022년 제정된 추모 연극상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민들레소극장 35.150867936750764 126.9227307261806 광주 동구 동계천로 111(동명동)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사)들불열사기념사업회 박효선 https://deulbul.org/db_7/박효선
해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박효선 https://www.kdemo.or.kr/patriot/name/ㅂ/page/5/post/447
참고 미디어오늘 <모란꽃>의 연출가 박효선씨(1996-02-21, 김용필 기자)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62
참고 한겨레 5·18 연극으로 진실 알렸던 오월 광대…‘박효선 연극상’ 첫 제정(2022-06-14, 정대하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046896.html
참고 광주일보 오월 연극 산증인 ‘토박이’ 동명동에 새 둥지(2016-10-13, 김미은 기자)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476284400588242007
참고 광주일보 ‘오월광대’ 박효선 전집 나온다(2016-03-22, 김미은 기자)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458572400573083007
참고 무등일보 엄혹한 시절 첫 오월극, 22년만에 공연(2022-05-15, 김혜진 기자) http://m.mdilbo.com/detail/NezemK/669496
동영상 5.18기념재단 (10분 만에 보는) 연극 '금희의 오월' https://www.youtube.com/watch?v=bNl_BXEK-mM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박효선 극단 토박이 사무실에 걸린려 있는 박효선 연보 판넬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a/박효선1.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박효선 민들레소극장 현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6/박효선2.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박효선 민들레소극장 극단 소박이 건물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5/5a/박효선3.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도일, 「박효선 희곡에 나타난 주제의식 연구 -희곡집 『금희의 오월』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Vol.0 No.63, 한민족어문학회. 2013 RISS http://www.riss.kr/link?id=A99650159
논문 이정민,「박효선 희곡에 나타난 ‘5·18 이후의 삶’ -<금희의 오월>, <모란꽃>, <청실홍실>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2 RISS http://www.riss.kr/link?id=A108058496
논문 조아름,「박효선 희곡 연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T14052708
단행본 박효선, 『박효선 전집1, 희곡-오월극』 , 연극과인간, 2016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57865835
단행본 박효선, 『박효선 전집2, 희곡-시대극』 , 연극과인간, 2016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3516
단행본 박효선, 『박효선 전집3, 일기 수기』 , 연극과인간, 2016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57865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