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희의 오월

From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Jump to: navigation, search
금희의 오월



정의 및 개요

특징

  • 금희의 오월은 1980년 5월 27일 마지막까지 도청을 지키다 사망한 고 이정연 열사를 극화한 작품이다.
  • 금희의 오월은 총 15장, 액자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정연 열사의 누이동생 금희의 나레이션으로 현재적 시점에서 오월항쟁 계승의 의미를 전해주고 있다.
  • 금희의 오월5.18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하면서도 그 소재의 피상적인 정치적 의미에만 머무르지 않고 항쟁의 주체였던 민중의 모습을 포착, 그들의 강한 정서를 형상화해냄으로써 작품을 이끌어가는 실질적인 토대가 되고 있다.

관련 행사 및 사건

  • 금희의 오월은 1988년 4월 3일~5일 제1회 전국민족극한마당에 참가해 서울 종로 미리내소극장에서 초연하였다.
  • 금희의 오월모란꽃과 더불어 5월 정신 계승이라는 박효선[1]의 작품 세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5월극으로 평가 받았다.
  • 금희의 오월은 1988년 초연 이후 광주를 비롯한 전국 순회공연을 하면서 많은 관객을 동원하였다. 특히 1996년 뉴욕에서의 공연을 성황리에 마치며 지역 연극으로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 외 정보

관련 항목

틀:관련항목태그

의미관계망



참고자료

Type Resource Title/Index URL
웹리소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금희의 오월 http://aks.ai/GC60003619
웹리소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박효선 http://aks.ai/GC60002066
웹리소스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 금희의 오월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8558&ccm_code=A091

주석

  1. 박효선(朴曉善, 1954~1998)은 충청남도 대전시 출생,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으로 이주하였다. 광주 지역에서 극단 광대와 토박이를 창립하고, 5.18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오월 삼부작 금희의 오월, 모란꽃, 그대에게 보내는 편지를 쓴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Note)
금희의 오월 박효선 '금희의 오월'은 박효선의 연극 작품이다.
금희의 오월 이정연 '금희의 오월'은 고 이정연 열사를 극화한 작품이다.
금희의 오월 이금희 '금희의 오월'은 이금희의 시점으로 전개된다.
이금희 이정연 이금희는 이정연의 여동생이다.
금희의 오월 5.18민주화운동 '금희의 오월'은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다.
금희의 오월 극단 토박이 '금희의 오월'은 극단 토박이가 공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