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신창동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국가사적" 문자열을 "국가지정문화유산_사적" 문자열로)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은 광주 광산구 신창동에 위치한 초기철기시대부터 마한시대까지 벼농사를 기반으로 생산과 생활, 장례의례 등 농경문화와 생활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이 발굴된 복합농경마을유적이다. 국가사적 제375호.  
+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은 광주 광산구 신창동에 위치한 초기철기시대부터 마한시대까지 벼농사를 기반으로 생산과 생활, 장례의례 등 농경문화와 생활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이 발굴된 복합농경마을유적이다. 국가지정문화유산_사적 제375호.  
*1963년 처음 독무덤(독무덤)이 발굴되었으며, 1990년 국도 1호선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량의 유물이 나오자 공사를 중단하고 본격조사를 실시, 대단위 복합유적임이 확인되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저습지유적 발굴이 실시되었다.  
+
*1963년 처음 독무덤(옹관묘)이 발굴되었으며, 1990년 국도 1호선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량의 유물이 나오자 공사를 중단하고 본격조사를 실시, 대단위 복합유적임이 확인되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저습지유적 발굴이 실시되었다.  
*현재 호남고속도로가 유적을 통과하고 있어, 전체 발굴은 어려운 상태다. 발굴지 일부는 유적지로 지정되고, 부근에 역사유적공원이 조성됐으나 유물은 볼 수 없고, 발굴 유물의 대부분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 보관돼있다. 대신 국도 1호선은 유적지를 피해 우회했으며, 이는 유적지를 피해 국도가 우회한 국내 최초 사례다.  
+
*현재 호남고속도로가 유적을 통과하고 있어, 전체 발굴은 어려운 상태다. 발굴지 일부는 유적지로 지정되고, 부근에 역사유적공원과 마한유적체험관이 들어섰다. 현장에서 유물은 볼 수 없고, 발굴 유물의 대부분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 보관돼있다. 대신 국도 1호선은 유적지를 피해 우회했다. 이는 유적지를 피해 국도가 우회한 국내 최초 사례다.  
 
*유적지는 영산강변의 네 개의 구릉과 그 사이 저지대 지역으로 늪과 못터, 토기가마터, 배수시설, 주거지, 독무덤 등이 있었으며, 유물 중 비단, 현악기, 북, 수레바퀴, 발화구 등은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것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유적지는 영산강변의 네 개의 구릉과 그 사이 저지대 지역으로 늪과 못터, 토기가마터, 배수시설, 주거지, 독무덤 등이 있었으며, 유물 중 비단, 현악기, 북, 수레바퀴, 발화구 등은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것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늪과 못터에서 불탄쌀, 볍씨, 살구씨와 같이 농경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많이 발견되었고, 빗, 괭이, 나무 뚜껑과 같은 목제 유물들은 당시 생활모습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터에서는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된 모습을, 움집터에서는 바닥 가운데에 타원형 화덕을 설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원통모양칠기를 비롯한 각종 용기, 칼, 활, 삽.보습. 따비 등 다양한 유물이 발굴돼 당시 생활상을 보여준다.
 
*늪과 못터에서 불탄쌀, 볍씨, 살구씨와 같이 농경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많이 발견되었고, 빗, 괭이, 나무 뚜껑과 같은 목제 유물들은 당시 생활모습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터에서는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된 모습을, 움집터에서는 바닥 가운데에 타원형 화덕을 설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원통모양칠기를 비롯한 각종 용기, 칼, 활, 삽.보습. 따비 등 다양한 유물이 발굴돼 당시 생활상을 보여준다.
*광주광역시는 140억원을 들여 신창동 유적지 내 부지에 전체면적 3천㎡ 규모의 선사체험 학습관과 5천㎡ 면적의 야외 체험 학습장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
*광주광역시는 120억원을 들여 2022년 신창동 유적지 내 부지에 전체면적 2259㎡, 지상 1층 2개동 규모의 마한유적체험관을 조성했다. 마한유적체험관은 첫 발굴 모습을 재현한 전시실과 가상현실 통해 발굴 조사를 체험하는 상설체험실 등으로 구성됐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3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광주 신창동 유적 ]]|| Heritage||사적||||광주 신창동 유적||광주 신창동 유적||光州 新昌洞 遺蹟 ||Archaeological Site in Sinchang-dong, Gwangju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신창동_유적||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9/97/광주신창동유적.jpg
+
|[[광주 신창동 유적]]|| Place || 유적지 || ||광주 신창동 유적||광주 신창동 유적||光州 新昌洞 遺蹟 ||Archaeological Site in Sinchang-dong, Gwangju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신창동_유적||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9/97/광주신창동유적.jpg
 
|}
 
|}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마한]]||[[광주 신창동 유적]]|||| 유적 해당 소속 선사국가  
 
|[[마한]]||[[광주 신창동 유적]]|||| 유적 해당 소속 선사국가  
 +
|-
 +
|}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광주_신창동_유적]]||[[광주_신창동_유적_독무덤]]||hasPart
 +
|-
 +
|[[광주_신창동_유적]]||[[광주_신창동_유적_움집터]]||hasPart
 +
|-
 +
|[[광주_신창동_유적]]||[[신창동_선사유적지]]||isLocatedIn
 +
|-
 +
|[[광주_신창동_유적]]||[[신창동_유적_사적_지정_특별전]]||isRelatedTo
 +
|-
 +
|[[광주_신창동_유적]]||[[저습지유적]]||type
 +
|-
 +
|[[국가지정문화유산_사적]]||[[광주_신창동_유적]]||includes
 +
|-
 +
|[[마한]]||[[광주_신창동_유적]]||isRelatedTo
 +
|-
 +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광주_신창동_유적_괭이]]||includes
 +
|-
 +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광주_신창동_유적_목제유물]]||includes
 +
|-
 +
|[[국립광주박물관]]||[[신창동_유적_사적_지정_특별전]]||curates
 
|-
 
|-
 
|}
 
|}
67번째 줄: 92번째 줄: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광주 신창동 유적||광주 신창동 유적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9/신창동유적5.jpg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광주 신창동 유적||광주 신창동 유적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9/신창동유적5.jpg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광주 신창동 유적||광주 신창동 유적지 전경||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5/광주_신창동_유적-유적지-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광주 신창동 유적||국립광주박물관 소장 신창동 유적지 발굴 현악기 유물||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2/광주_신창동_유적-국립광주박물관_사적375호-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광주 신창동 유적||국립광주박물관 소장 신창동 유적지 발굴 현악기 유물||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2/광주_신창동_유적-국립광주박물관_사적375호-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84번째 줄: 111번째 줄:
 
|논문||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출토 수침목재의 수종식별」, 『박물관보존과학』 Vol.10, 국립중앙박물관, 2009 ||RISS||http://www.riss.kr/link?id=A106889718
 
|논문||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출토 수침목재의 수종식별」, 『박물관보존과학』 Vol.10, 국립중앙박물관, 2009 ||RISS||http://www.riss.kr/link?id=A106889718
 
|-
 
|-
|논문||김수철,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박물관보존과학』 Vol.7, 국립중앙박물관, 2006, ||RISS||http://www.riss.kr/link?id=A100515858
+
|논문||김수철,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박물관보존과학』 Vol.7, 국립중앙박물관, 2006, ||kisti||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Orgnl.do?cn=JAKO200622663515258&dbt=NART
 
|-
 
|-
 
|논문||정일,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백제학보』 Vol No.18, 백제학회, 2016, ||RISS||http://www.riss.kr/link?id=A102413603
 
|논문||정일,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백제학보』 Vol No.18, 백제학회, 2016, ||RISS||http://www.riss.kr/link?id=A102413603
101번째 줄: 128번째 줄:
 
</html>
 
</html>
  
[[분류:Heritage]] [[분류:심재식]] [[분류:가]]
+
[[분류:Place]] [[분류:심재식]] [[분류:가]]

2024년 3월 8일 (금) 10:3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 신창동 유적은 광주 광산구 신창동에 위치한 초기철기시대부터 마한시대까지 벼농사를 기반으로 생산과 생활, 장례의례 등 농경문화와 생활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이 발굴된 복합농경마을유적이다. 국가지정문화유산_사적 제375호.
  • 1963년 처음 독무덤(옹관묘)이 발굴되었으며, 1990년 국도 1호선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량의 유물이 나오자 공사를 중단하고 본격조사를 실시, 대단위 복합유적임이 확인되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인 저습지유적 발굴이 실시되었다.
  • 현재 호남고속도로가 유적을 통과하고 있어, 전체 발굴은 어려운 상태다. 발굴지 일부는 유적지로 지정되고, 부근에 역사유적공원과 마한유적체험관이 들어섰다. 현장에서 유물은 볼 수 없고, 발굴 유물의 대부분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 보관돼있다. 대신 국도 1호선은 유적지를 피해 우회했다. 이는 유적지를 피해 국도가 우회한 국내 최초 사례다.
  • 유적지는 영산강변의 네 개의 구릉과 그 사이 저지대 지역으로 늪과 못터, 토기가마터, 배수시설, 주거지, 독무덤 등이 있었으며, 유물 중 비단, 현악기, 북, 수레바퀴, 발화구 등은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것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늪과 못터에서 불탄쌀, 볍씨, 살구씨와 같이 농경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많이 발견되었고, 빗, 괭이, 나무 뚜껑과 같은 목제 유물들은 당시 생활모습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터에서는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된 모습을, 움집터에서는 바닥 가운데에 타원형 화덕을 설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원통모양칠기를 비롯한 각종 용기, 칼, 활, 삽.보습. 따비 등 다양한 유물이 발굴돼 당시 생활상을 보여준다.
  • 광주광역시는 120억원을 들여 2022년 신창동 유적지 내 부지에 전체면적 2259㎡, 지상 1층 2개동 규모의 마한유적체험관을 조성했다. 마한유적체험관은 첫 발굴 모습을 재현한 전시실과 가상현실 통해 발굴 조사를 체험하는 상설체험실 등으로 구성됐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 신창동 유적 Place 유적지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 光州 新昌洞 遺蹟 Archaeological Site in Sinchang-dong, Gwangju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신창동_유적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9/97/광주신창동유적.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광주 신창동 유적 독무덤(옹관묘) 매장 방식
광주 신창동 유적 움집터 주거 양식
광주 신창동 유적 목제유물 주요 유물
광주 신창동 유적 괭이 주요 유물
광주 신창동 유적 비단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직물
광주 신창동 유적 저습지유적 유적 특성
광주 신창동 유적 국립광주박물관 유뮬 소장처
광주 신창동 유적 신창동 유적 사적 지정 특별전 기념전시회
광주 신창동 유적 신창동 선사유적지 유적 발굴터
마한 광주 신창동 유적 유적 해당 소속 선사국가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광주_신창동_유적 광주_신창동_유적_독무덤 hasPart
광주_신창동_유적 광주_신창동_유적_움집터 hasPart
광주_신창동_유적 신창동_선사유적지 isLocatedIn
광주_신창동_유적 신창동_유적_사적_지정_특별전 isRelatedTo
광주_신창동_유적 저습지유적 type
국가지정문화유산_사적 광주_신창동_유적 includes
마한 광주_신창동_유적 isRelatedTo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 광주_신창동_유적_괭이 includes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 광주_신창동_유적_목제유물 includes
국립광주박물관 신창동_유적_사적_지정_특별전 curates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광주_신창동_유적 35.19681761747496 126.84572151372281 광주 광산구 신창동 632-4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해설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 https://gwangju.museum.go.kr/
해설 위키백과 광주 신창동 유적 https://ko.wikipedia.org/wiki/광주_신창동_유적
해설 블로그 발굴 기술을 섭렵할 때까지 발굴을 보류했던 광주 신창동 유적 https://micropsjj.tistory.com/17040174
참고 문화일보 9大 키워드로 알아본 ‘신창동 유적’(2012-12-27)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122701032930074003
참고 연합뉴스 광주 신창동 유적지서 초기 철기시대 경작유구 확인(2015-10-17, 손상원 기자) https://www.yna.co.kr/international/japan?site=navi_international_depth02
참고 남도일보 광주 신창동 유적 체험학습관, 시민 목소리 듣는다(2021-04-08, 정세영 기자)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3545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9/신창동유적5.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 신창동 유적지 전경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5/광주_신창동_유적-유적지-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광주 신창동 유적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신창동 유적지 발굴 현악기 유물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2/광주_신창동_유적-국립광주박물관_사적375호-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사진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 유적 신장동 유적 발굴 유물이 전시된 국립광주박물관 역사문화실1 https://gwangju.museum.go.kr/cmm/fms/getImage.do?atchFileId=FILE_000000021643Eb0&fileSn=0
사진 문화재청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신창동유적 발굴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9/97/광주신창동유적.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조현종, 「광주 신창동유적 발굴조사개보」, 『한국고고학전국대회』 Vol.- No.16, 한국고고학회, 1992. RISS http://www.riss.kr/link?id=A105552729
논문 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출토 수침목재의 수종식별」, 『박물관보존과학』 Vol.10, 국립중앙박물관, 2009 RISS http://www.riss.kr/link?id=A106889718
논문 김수철,박영만,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박물관보존과학』 Vol.7, 국립중앙박물관, 2006, kisti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Orgnl.do?cn=JAKO200622663515258&dbt=NART
논문 정일,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백제학보』 Vol No.18, 백제학회,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A102413603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