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광-청산리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차이 없음)
|
2017년 6월 15일 (목) 12:13 기준 최신판
청산리싸움 | |
작가 | 손수광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목차
정의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 홍범도(洪範圖) 등이 지휘하는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대첩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1]
작품 배경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2]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맞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손수광 | 손수광-청산리싸움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손수광-청산리싸움 | 청산리대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손수광-청산리싸움 | 김좌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좌진 | 청산리대첩 | A는 B를 지휘하였다 | 1920년 10월 |
김좌진 | 북로군정서군 | A는 B를 지휘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손수광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제작하였다. |
1920년 10월 | 김좌진이 청산리대첩을 지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관련 민족기록화
- 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
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
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
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
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
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
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
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문학진-삼일운동-1976s.jpg
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
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 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
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청산리대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