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동학교주 전봉준 | |
작가 | 오승윤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개요
전봉준은 1894년 4월 (고종 31년) 고부군 백산(白山 : 현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에서 수천명의 동학교도와 함께 4개조의 맹약을 맺고 궐기하였다.
설명
작품 소재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대항한 고부민란을 수습하러 애려온 안핵사 이용태의 부당한 행동에 격분한 전봉준은 1894년 3월 인근의 동학접주에게 통문을 보내 보국안민을 위하여 봉기할 것을 호소하였고, 백산(白山)에 집결한 동학농민군의 수는 1만 명이 넘었다.
전봉준은 동도대장(東徒大將)에 추대되고 손화중·김개남을 총관령(總管領)으로 삼아 보좌하게 하였다. 동학농민군은 1)사람을 죽이거나 재물을 손상하지 말 것, 2)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히 할 것, 3) 일본오랑캐를 내쫓아 성도(聖道)를 밝힐 것, 4) 군사를 거느리고 입경하여 권귀(權貴)를 모두 죽일 것 등의 4개 행동강령을 내걸고 격문을 작성하여 통문으로 각처에 보내어 농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요청하니, 민란은 전반적인 동학농민전쟁으로 전환되었다.[1]
작품 배경
백산성 정상에서 한 손에 결의문을 움켜주고 결연한 표정을 짖고 있는 전봉준을 중심으로 동학농민군들이 죽창과 농기구를 들고 뒤따르고 있다. 옆에는 갓을 쓴 노인이 격문을 작성하고 있고, 오른편에는 빠진 수레 바퀴와 황소가 그려져 있어 이 봉기의 성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무릎을 꿇고 칼을 쥔 굳은 표정의 농민군은 산 아래쪽을 손가락으로 가르치며 전봉준을 올려다 보고 있고, 그 옆의 강아지는 길을 재촉하는 듯한 눈길로 전봉준과 동학농민군을 보고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관련 민족기록화
- 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
- 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
-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 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
- 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
-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
- 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
-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
- 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
- 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
- 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
- 문학진-삼일운동-1976s.jpg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승윤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전봉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동학농민전쟁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개남 | 동학농민전쟁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손화중 | 동학농민전쟁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1998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오승윤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을 제작하였다. |
1998년- | 독립기념관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를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3676 | 127.223193 | 독립기념관이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을 소장하고 있다. |
35.719028 | 126.807356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는 백산성을 배경으로 한다. |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65-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