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담은 최대섭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
작품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재현되어 있는데,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태화관으로,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에 있던 요릿집으로 명월관의 분점격이었다.[1] 현재 태화관이 있던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들어섰고,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그림 읽기

오류: 그림이 잘못되었거나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임시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선언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관련 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최대섭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A는 B를 그렸다 1985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 건국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 태화빌딩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태화관 태화빌딩 A는 B와 관련이 있다
명월관 태화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민족대표 33인 독립선언식 A는 B를 거행하였다 1919년 3월 1일 15시-16시
독립선언식 태화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1919년 3월 1일 15시-16시
민족대표 33인 3·1독립선언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한용운 3·1독립선언서 A는 B를 저술하였다 1919년
최남선 3·1독립선언서 A는 B를 저술하였다 1919년
보성인쇄소 3·1독립선언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1919년
길선주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손병희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권동진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오세창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임예환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나인협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홍기조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박준승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양한묵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권병덕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김완규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나용환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종훈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홍병기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종일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최린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승훈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박희도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갑성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오화영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최성모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필주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김창준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신석구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박동완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신홍식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양전백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명룡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한용운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백용성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김병조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정춘수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유여대 민족대료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최대섭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를 제작하였다.
1985년 최대섭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제작하였다.
1919년 한용운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1919년 최남선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민족대표 33인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독립선언식태화관에서 거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35383 127.2210151 독립기념관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소장하고 있다
37.5719465 126.9845616 태화빌딩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를 소장하고 있다
37.5405423 127.0725187 건국대학교 박물관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7.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11.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