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대(夜對)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야대 |
한글표제 | 야대 |
한자표제 | 夜對 |
관련어 | 소대(召對), 경연(經筵) |
분야 | 왕실/왕실문화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정재훈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야대(夜對)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2년 윤9월 25일, 『중종실록』4년 11월 7일, 『정조실록』6년 9월 12일 |
조선시대에 왕이나 세자가 신하들과 모여 함께 공부하던 정규 강의 외에 밤에 시행하던 비정규 강의, 혹은 왕이 신하를 밤에 불러 만나는 것.
개설
조선시대에 왕이나 세자는 하루 세 번 신하들과 함께 공부하였는데, 이를 경연·서연이라 하였다. 경연·서연은 아침·낮·오후에 시행되는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이 정규 강의였으며 밤에 불시에 시행하면 야대, 낮에 시행하면 소대(召對)라고 하였다. 원래는 왕이 신하를 밤에 불러 만나는 것을 야대라고 지칭하였으나 나중에는 경연에서 밤에 시행한 비정규 강의도 야대라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야대는 유학의 경서나 사서를 왕과 신하가 모여서 함께 공부하는 경연의 비정규 강의이다. 조강·주강·석강이 정규 강의인 것에 비해 불시에 저녁 혹은 밤에 시행하는 야대와 낮에 시행하는 소대는 비정규 강의이다.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왕이나 세자가 소집을 명하면 모여서 강론하였다.
왕의 소집에 의하여 개최된 야대에 참석하는 관원은 승지(承旨)·홍문관(弘文館) 상번·하번 각 1명, 주서 1명, 한림(翰林, 史官) 상번·하번 각 1명이었다.
야대에서 사용하는 강의 교재는 소대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강목(綱目)』 등의 사서(史書)를 위주로 하였으며, 경서(經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왕이 관심을 가진 책이 선정되어 진강되기도 하였다.
야대의 절차 역시 소대와 같은데, 왕이 승정원에 하교를 하면 별감(別監)이 예조(禮曹)에 가서 책리(冊吏)를 불러 왕이 볼 책자를 가져오게 한다. 그러면 책리들은 야대에 들어갈 관원들에게 강의 범위를 알려 주었다. 현두[懸讀]와 교정(校正)은 입시한 상번과 하번이 합문(閤門) 밖에 이르면 그대로 앉아서 자리의 차례에 따라 연습하여 읽는다. 수청서리에게 책자를 가지고 원임(原任)대신과 유신(儒臣)에게 나누어준다. 좌목단자(座目單子)에 따라 참석 관원이 들어온다.
구체적인 강의 방식은, 왕이 지난번에 공부한 것을 읽고 강관(講官)이 새로 배울 것을 소리 내어 읽은 후에 왕이 이것을 이어 받아 다시 읽었다. 그러면 강관이 뜻을 강론하였다. 야대는 소대와는 달리 마치고 나서 남아 있는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베푸는 선온(宣醞)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야대는 경연 가운데 왕과 신하들의 가장 친밀한 자리였으며, 다른 경연과 달리 자주 행해지지는 않았다.
변천
경연에서 야대라는 이름으로 강의가 기록되는 것은 성종 때부터이다(『성종실록』2년 윤9월 25일). 야대에서도 소대와 마찬가지로 소규모의 정해진 참석 관원 외에 원임 대신이 참여하기도 하였다(『중종실록』4년 11월 7일). 야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행한 왕은 성종, 중종, 영조로서 다른 왕들에 비해 야대의 시행 횟수가 많았다. 1782년(정조 6)에는 야대에 규장각 관원 한 사람을 참여하게 하기도 하였다(『정조실록』6년 9월 12일).
참고문헌
- 『春官通考』
- 『增補文獻備考』
- 권연웅, 「조선 성종조의 경연」, 『 한국문화의 제문제』, 국제문화재단출판부, 1981.
- 지두환, 「조선시대 경연관 연구」, 『한국학논총』31,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