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음(五音)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32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훈민정음에서 조음 위치에 따라 구분한 다섯 종류의 초성인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을 이르는 말.

개설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에서 오음은 어금닛소리인 아음(牙音), 혓소리인 설음(舌音), 입술소리인 순음(脣音), 잇소리인 치음(齒音), 목구멍소리인 후음(喉音)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음성학에서 자음은 조음 방식과 조음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데, 오음은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체계에 속한다. 한편, 우리나라 전통 음악에서 오음은 한 옥타브를 구성하는 다섯 음률인 궁·상·각·치·우를 통들어 이르는 말로 오성(五聲)이라고도 한다.

내용 및 특징

오음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을 구분하는 기준이었다. 이때의 오음은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 등인데, 현대 음성학의 분류 기준으로 보면 각각 연구개음·경구개음·양순음·치경음·후음에 해당한다. 반설음(半舌音) ‘ㄹ’과 반치음(半齒音) ‘ㅿ’도 오음에 포함될 수 있는데, 설음과 치음의 위치를 활용한 면이 있어 기본 오음으로 삼기는 어렵다. 이러한 오음의 구분은 전청(全淸)·차청(次淸)·전탁(全濁)·불청불탁(不淸不濁) 등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와 더불어, 자음의 특징을 과학적으로 드러내 보여 준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오음은 특히 해당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떴다는 점에서 매우 과학적인 면모를 보인다. 각각의 기본자들 즉 ‘ㅁ’은 입술, ‘ㅅ’은 이빨,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떴고, ‘ㄱ’과 ‘ㄴ’은 발음 직전의 혀의 위치와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훈민정음』「제자해(制字解)」에는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고 있는 모양’을, ‘ㄴ’은 ‘혀가 윗잇몸에 붙어 있는 모양’을 각각 본뜬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실제 두 음이 발음되기 직전의 상태, 곧 발성 준비일 때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 음성학의 조음 방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음성학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참고문헌

  • 박상현, 『한국음악 궁상각치우』, 명성문화사, 2009.
  • 이기문, 『國語史硏究』(新訂版), 태학사, 1998.
  • 성원경, 「訓民正音의 制字理論과 中國韻書와의 關係」, 『學術誌』11-1, 건국대학교, 1970.
  • 성원경, 「訓民正音制解初聲考」, 『文理論叢』3-1, 건국대학교, 1974.
  • 윤양석, 「동양음악의 오음 조직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8-1, 1989.
  • 이영월, 「훈민정음 초성체계 재해석」, 『中國學硏究』42,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