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대(召對)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왕이나 세자가 신하들과 모여 함께 공부하던 정규 강의 외에 낮에 시행하던 비정규 강의, 혹은 왕이 신하를 불러 만나는 것.

개설

조선시대에 왕이나 세자는 하루 세 번 신하들과 함께 공부하였는데, 이를 경연·서연이라 하였다. 경연·서연은 아침·낮·오후에 시행되는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이 정규 강의였으며 낮에 불시에 시행하면 소대, 밤에 시행하면 야대(夜對)라고 하였다. 원래는 왕이 신하를 불러 만나는 것을 소대라고 지칭하였으나 나중에는 경연에서 낮에 시행한 비정규 강의도 소대라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소대는 유학의 경서나 사서를 왕과 신하가 모여서 함께 공부하는 경연의 비정규 강의이다. 조강·주강·석강이 정규 강의인 것에 비해 불시에 낮에 시행하는 소대와 밤에 시행하는 야대는 비정규 강의이다.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왕이 소집을 명하면 모여서 강론하였다.

국왕의 요청에 따라 행해지는 소대의 경우 참석하는 관원은 승지(承旨)·홍문관(弘文館) 상번·하번 각 1명, 주서 1명, 한림(翰林, 史官) 상번·하번 각 1명이었다.

소대에서 사용하는 강의 교재는 대체로 『강목(綱目)』 등의 사서(史書)를 위주로 하였으며 경서(經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왕이 관심을 가진 책이 선정되어 진강되기도 하였다.

소대의 절차는 왕이 승정원에 하교를 하면 별감(別監)이 예조(禮曹)에 가서 책리(冊吏)를 불러 왕이 볼 책자를 가져오게 한다. 그러면 책리들은 소대에 들어갈 관원들에게 강의 범위를 알려 주었다. 현두[懸讀]와 교정(校正)은 입시한 상번과 하번이 합문(閤門) 밖에 이르면 그대로 앉아서 자리의 차례에 따라 연습하여 읽는다. 수청서리에게 책자를 가지고 원임(原任)대신과 유신(儒臣)에게 나누어준다. 좌목단자(座目單子)에 따라 참석 관원이 들어온다.

구체적인 강의 방식은, 왕이 지난번에 공부한 것을 읽고 강관(講官)이 새로 배울 것을 소리 내어 읽은 후에 왕이 이것을 이어 받아 다시 읽었다. 그러면 강관이 뜻을 강론하였다.

변천

경연에서 소대라는 이름으로 강의가 기록되는 것은 중종 때부터이다(『중종실록』11년 7월 19일). 이전까지는 대개 왕이 신하들을 불러서 보는 것, 또는 경연에서 신하들을 불러 강론하는 것을 소대라 하였으며, 경연의 비정규 강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 참석 관원이 비교적 단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임 대신이 참여하기도 하였다. 다만 이때에는 좌목에 쓰지 않고 단지 구전(口傳)으로 허락을 받았는데, 이러한 형식은 주강과 비슷하였다.

참고문헌

  • 『春官通考』
  • 『增補文獻備考』
  • 권연웅, 「조선 성종조의 경연」『 한국문화의 제문제』, 1981.
  • 지두환, 「조선시대 경연관 연구」, 『한국학논총』31,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