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가역(龍駕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0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성현도의 속역으로, 오늘날의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용가역(龍駕驛)은 김주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성현도(省峴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경상도 밀양군에 위치하였으며,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역(驛)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중앙과 지방의 행정 명령 계통을 확립하기 위한 육상 교통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왕명(王命) 및 긴급한 군사 기밀의 전달, 사신의 왕래에 따른 영송지대(迎送支待) 등을 주로 담당하였으며, 그밖에 진상품이나 공부(貢賦)의 운송 및 왕래인(往來人)의 규찰 등을 맡아보았다. 용가역도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영남 지역에 설치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역참에는 역역(驛役)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역민(驛民)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해 역위전(驛位田) 또는 마전(馬田)이 지급되었다.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용가역에는 역리 245명, 역노 13명과, 대마(大馬) 1필,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5필 등 총 8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찰방역(察訪驛)은 청도(淸道)의 성현역(城峴驛)이다.

변천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용가역은 고려시대 김주도에 소속된 31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경주의 속현인 밀성(密城)에 위치해 있었다. 정확한 설치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김주도에 속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명칭은 용가역(用家驛)이었다.

이후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성현도의 속역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성현역, 밀양의 수안역(水安驛)‧수산신역(守山新驛)‧무흘역(無訖驛)‧이동음신역(伊冬音新驛)‧풍각신역(豊角新驛), 영산의 온정역(溫井驛)‧일문역(一門驛), 창녕의 내야역(內也驛), 현풍의 상산역(雙山驛), 청도의 서을역(西乙驛)‧청도신역(淸道新驛)‧매전역(買田驛)‧유천역(楡川驛) 등과 함께 성현도역승의 관할로 소속되었다.

1457년(세조 3)에는 성현도가 황산도(黃山道)에 통합됨에 따라 황산도에 속하게 되었다(『세조실록』 3년 9월 12일). 그 뒤 1462년(세조 8)에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성현도가 다시 분리되면서 성현도에 소속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이후 조선시대 전기의 역참 제도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도 용가역은 여전히 성현도에 속하였다.

용가역의 위치는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관아 북쪽 6리, 『여지도서』에는 관아 북쪽 10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용지리 일대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