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곡역(鶯谷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전라도의 도로망인 삼례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는데, 이때 앵곡역(鶯谷驛)은 전공주도(全公州道) 이성(伊城)에 위치해 있던 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정립된 44역도-537속역 체제에서 앵곡도(鶯谷道)에 속하였다. 세조대에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삼례도(參禮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로 확립되었다. 그 뒤 조선후기까지 존속했으나,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앵곡역은 고려시대부터 전라도 전주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전공주도에 속한 21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전공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전국적으로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거산역(居山驛) 등과 함께 앵곡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1872년(고종 9)에 간행된 『호남읍지(湖南邑誌)』에 따르면, 앵곡역에는 역마 11필과 역리(驛吏) 11명, 역노(驛奴) 3명, 역비(驛婢) 1명, 역보(驛保) 46명, 솔정(率丁) 23명, 일수(日守) 15명, 번인(番人) 10명, 마호(馬戶) 9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변천

1457년(세조 3)에는 황해도와 하삼도(下三道)의 일부 역도를 통합하면서, 앵곡역이 소속된 앵곡도를 폐지하고 삼례도로 통합하였다. 그 과정에서 앵곡역은 삼례도에 속하게 되었고, 앵곡도에 속했던 부흥역·내재역·영원역 등은 영보도에 소속되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다시 역도를 개편할 때 삼례역(參禮驛)·반석역(半石驛) 등과 함께 삼례도찰방이 관할하는 역 가운데 하나로 확립되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또한 이때 역의 원근(遠近)과 중요도에 따라 대로·중로·소로의 세 등급으로 구분하였는데, 앵곡역은 삼례역·반석역·양재역(良才驛)과 함께 중로(中路)에 편성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삼례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하다가,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앵곡역의 위치는 『여지도서(輿地圖書)』·『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 모두 전주부 서쪽 30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옛날에는 장곡역(長谷驛)이라고 불렀으며, 고려 현종이 이 역에 묵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전주부 이서면 은교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위치는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앵곡마을 일대이다. 한편,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과 김시습(金時習)의 『매월당집(梅月堂集)』에는 앵곡역과 관련된 시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지지(大東地志)』
  • 『호남읍지(湖南邑誌)』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 『매월당집(梅月堂集)』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