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월역(丹月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4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충청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연원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단월역(丹月驛)은 고려시대인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광주도(慶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종과 세조 연간에 시행된 여러 차례의 역도 재편을 거쳐, 최종적으로 충청도 지역의 역도인 연원도(連原道)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충청도와 경기도 광주를 연결하는 광주도의 속역으로 양광도 괴주(槐州) 지역에 위치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문종에서 인종 연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단월역에는 역노(驛奴) 110명, 역비(驛婢) 89명과 대마(大馬) 2필, 기마(騎馬) 7필, 복마(卜馬) 5필 등 총 14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한편 1460년(세조 6)에는 단월역에서 양재역(良才驛)에 이르는 도로가 평탄하여, 수레를 이용해 잡물(雜物)을 수송하는 운송로로 사용되었다(『세조실록』 6년 1월 23일). 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에는 신립(申砬)이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단월역에 진을 치고 방어선을 구축하는 등 군사적인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건국 직후부터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기존의 역로(驛路)를 개편했는데, 단월역은 그 과정에서 충청도 지역의 역도인 연원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1433년(세종 15)에는 충주와 가깝다는 이유로, 소속 행정 구역이 괴산에서 충주로 변경되었다(『세종실록』 15년 7월 10일).

세조 연간인 1460년(세조 6)에는 역로가 멀어서 순시하기가 어렵고, 이동 거리가 길어 역마와 역민이 고통을 받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여 병조에서 역로 개편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연원도의 속역이던 단월역은 황강도(黃江道)의 일부 속역과 더불어 율봉도(栗峯道)에 소속되어 경기충청우도 찰방(察訪)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뒤이어 1462년(세조 8)에는 역로의 규모 및 역과 역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역로를 재정비하였는데, 이때 단월역은 다시 연원도에 소속되어 연원도 찰방의 통제를 받았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이 반포되면서 확정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도 기존과 같이 연원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단월역은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 『조선시대사학보』45,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