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풍역(葛豊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갈풍역 |
한글표제 | 갈풍역 |
한자표제 | 葛豊驛 |
상위어 | 보안도(保安道) |
관련어 | 춘주도(春州道), 역도(驛道), 속역(屬驛), 횡성현(橫城縣), 역노(驛奴), 역비(驛婢), 찰방(察訪), 역승(驛丞)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강원도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성주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갈풍역(葛豊驛) |
조선시대 강원도 지역의 역도 가운데 하나인 보안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갈풍역(葛豊驛)은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춘주도(春州道)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보안도(保安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강원도 횡성현에 위치해 있었으며,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갈풍역은 고려시대에는 춘주도에 속한 24개 속역 중 하나였다. 설치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춘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이 마련되면서, 보안역(保安驛)·인남역(仁嵐驛)·부창역(富昌驛)·원창역(原昌驛)·연봉역(連峰驛)·천감역(泉甘驛)·연평역(延平驛)·약수역(藥水驛)·평안역(平安驛)·여량역(餘粮驛)·창봉역(蒼峰驛)·오원역(烏原驛)·벽탄역(碧呑驛)·호선역(好善驛)·안흥역(安興驛)·유원역(由原驛)·신흥역(新興驛)·양연역(陽淵驛)·단구역(丹丘驛)·신림역(神林驛) 등과 함께 보안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여지도서(輿地圖書)』 횡성현 조에 따르면, 갈풍역에는 역노(驛奴) 41명과 역비(驛婢) 10명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역리(驛吏)는 없었다. 역마는 대마(大馬) 1필과 복마(卜馬) 1필 등 총 2필이 소속되어 있었다.
변천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혁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察訪)과 역승(驛丞)을 두도록 하였다. 그 결과 갈풍역은 보안역 등 30개 역과 함께 보안도찰방의 관할이 되었고, 조선시대 후기까지 보안도의 속역으로 존속하였다. 이후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갈풍역은 횡성현 관아 서쪽 10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는데,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갈풍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