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靈星)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0:10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과거에 농경을 담당한다고 믿었던 농업의 별.

개설

영성(靈星)은 고구려와 신라에서 중시하던 별이며, 조선에서도 농업을 관장하는 별로 중시하여 국가 사전(祀典)의 소사(小祀)로 편입하여 제사 지냈다. 구체적인 별자리로는 농사를 주관한다고 믿었던 천전성(天田星) 별자리가 흔히 영성으로 거론되었다. 포괄적으로는 용성(龍星)이라 하여 봄에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봄철의 청룡 별자리 전체를 일컫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 등에 의하면, 조선의 사전 제도는 대·중·소의 세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세종실록』 「오례」에 수록된 변사(辨祀) 규정을 보면 대사(大祀)에는 사직과 종묘가 있으며, 중사(中祀)에는 풍운뇌우(風雲雷雨)와 악해독(嶽海瀆)·선농(先農)·선잠(先蠶)·우사(雩祀) 그리고 문선왕(文宣王)·조선 단군(檀君)·후조선 시조 기자(箕子)·고려 시조를 열거하였다. 소사로는 영성·명산(名山)·대천(大川)·사한(司寒)·마조(馬祖)·선목(先牧)·마사(馬社)·마보(馬步)·칠사(七祀)·영제(禜祭)를 꼽았다. 이처럼 영성은 소사의 첫째 제사로 편제되어 있다.

『사기(史記)』「봉선서(封禪書)」와 『한서(漢書)』「교사지(郊祀志)」에 따르면 영성제가 국가 제사로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199년이다. 한 고조유방은 진(秦)나라를 멸한 뒤 민심을 위로하고 농사를 장려하기 위해 전국의 군(郡)·국(國)·현(縣)에 영성사(靈星祠)를 건립하여 매년 상례(常禮)로 제사 지내도록 하였다. 이 영성의 풍농 의례가 신라를 이어 조선으로까지 전승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의 영성에 대한 기록을 보면, 유성이 자미원(紫微垣)에서 나와 영성으로 들어갔다고 하였다(『태조실록』 7년 5월 23일). 이것으로 보면 영성이 별자리의 하나로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나 『삼가성경(三家星經)』 등에는 영성이 따로 별자리로 되어 있지는 않다. 내용상 이때의 영성은 28수 가운데 각수(角宿)의 좌각(左角)에 위치한 천전성 별자리로 추정된다.

태종 때에는 왕이 서운관 월령(月令)을 보고 영성은 어떤 별이며 그 제사는 어떠한가를 물었다. 이에 대해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이제무(李齊茂) 등이 모두 대답하지 못하였다. 또 축문에 영(靈)을 영(零)으로 잘못 기재한 지 오래되었다며 그 죄를 물어 이제무 등의 서운관 관원들을 순금사(巡禁司)에 가두었다. 예조(禮曹)가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상고하니, 본래 천전(天田) 영성으로 농사를 주관하는 별이었으며, 그래서 왕이 입추(立秋) 후 진일(辰日)에 제사하여 농공(農功)에 보답하는 것이라 보고하였다(『태종실록』 9년 6월 26일). 조선에서 거행한 입추 후 진일의 영성제는 신라의 것과 동일하므로 신라 이래의 오랜 전통임을 알 수 있다.

1413년(태종 13)에는 예조에서 옛 문헌을 참고하여 여러 제사의 제도를 마련하여 올렸다. 그 가운데 고려의 『상정고금례(詳定古今禮)』를 참조한 내용에 따르면, 사직·종묘·별묘(別廟)가 대사가 되고, 선농·선잠·문선왕은 중사가 되며, 풍사(風師)·우사(雨師)·뇌사(雷師)·영성·사한·마조·선목·마보·마사·영제·칠사·주현(州縣)의 문선왕은 소사가 된다고 하였다(『태종실록』 13년 4월 13일). 이것은 조선의 영성제가 고려의 국가 제사 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것임을 보여준다.

이런 끝에 『세종실록』 「오례」 가운데 ‘길례서례(吉禮序例) 신위(神位)’에서, 영성단(靈星壇)은 신위를 단상의 북방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자리는 왕골자리로 한다고 규정하였다. 이때 주석을 달아 이 영성은 『문헌통고』에서 곡식을 주관하는 별자리라고 한 용성의 좌각 천전성이라고 밝히고 있다. 곧 조선에서 제사한 영성은 청룡 좌각성의 위로 포진한 천전성 별자리라고 인식하였다.

참고문헌

  •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
  •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 『한서(漢書)』 「천문지(天文志)」
  • 『여씨춘추(呂氏春秋)』
  • 『회남자(淮南子)』
  • 『천문류초(天文類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고구려 하늘에 새긴 천공의 유토피아』, 사계절, 2008.
  •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화사』, 고즈윈,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