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성(孛星)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44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혜성의 일종으로, 별빛의 까끄라기가 사방으로 나오는 것을 이름.

개설

패성(孛星)은 흔히 혜성과 연용해서 쓰이며 보통 혜패(彗孛)라 부른다.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에서, 패성은 혜성 따위인데, 꼬리가 한쪽을 가리키는 것을 혜(彗)라 하고, 망기(芒氣)가 사방으로 나오는 것을 패(孛)라 하여 구별하였다. 이를 근거로 혜성은 꼬리가 길게 늘어져 빗자루 형태를 한 것을 일컫고, 패성은 꼬리가 없거나 분명치 않은 상태의 혜성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내용 및 특징

패성의 패(孛)는 빛이 환히 빛나는 모양을 뜻하는 글자이나, 어그러질 패(悖)와 통한다고 보아 흉성(凶星)으로 꺼려한다. 『한서(漢書)』「오행지(五行志)」에서는 북두는 인군의 상이고, 패성은 난신의 무리이며 찬탈하는 징조라 하였다.

혜성과 패성을 불길한 징조로 본 것은 전통시대 사람들의 대체적인 인식이다. 세종 연간 이순지(李純之)가 편찬한 이래 널리 읽혀졌던 『천문류초(天文類抄)』는 정상적이지 않거나 불길하다고 본 요성(妖星)의 종류를 21종이나 수록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에 혜성과 패성을 꼽고 있다. 형태상, 혜성은 한쪽 방향을 가리키며 가는 별을 말하고, 패성은 꼬리가 짧거나 없거나 별빛의 광망(光芒)이 사방으로 퍼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내용상, 혜성은 달의 정화가 변해서 요성이 된 것이고, 패성은 해의 정화가 변해서 된 것이라 한다. 그래서 혜성보다 패성의 재앙이 더욱 심하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패성은 혜성보다 훨씬 밝은 빛을 내는 천체로 인식되어 있다. 『천문류초』 원문에 “其光四出蓬蓬孛孛然”이라 표현하였는데, 봉봉(蓬蓬)은 덥수룩하고 무성한 모양의 의태어이고, 패패(孛孛)는 빛이 사방으로 비추는 모양을 뜻하므로, 패성이란 빛이 사방으로 무성하게 뻗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혜성은 몸체는 별과 비슷하고 끝은 빗자루와 비슷하여 다른 말로 소성(掃星), 즉 빗자루별이라 한다 하였고, 작은 것은 몇 촌에서 큰 것은 하늘에 닿는 것도 있다 하였다. 그 본체는 빛이 없으나 햇빛을 받아 빛나므로 저녁에 나타날 때는 동쪽을 가리키고, 새벽에 나타날 때는 서쪽을 가리키며, 해가 남쪽이나 북쪽에 있을 때는 햇빛을 따라서 가리키던 기세가 꺾이고, 그 광망은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하며, 꼬리의 빛이 미치는 곳에 재앙이 이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패성은 빛이 사방으로 쏘면서 펼쳐지니 매우 악한 기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어서, 천하에 큰 난리나 병란이 발생한다 하였다. 또는 일설에 빛의 꼬리가 짧고 그 빛이 사방으로 무성하게 쏘아 비추니, 옛것을 제거하고 새것을 펴는 모습이며, 화재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패성을 기록한 것이 수 건으로 많지가 않고 또 조선전기에만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후기로 갈수록 혜성과 굳이 구별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다음은 패성의 관측과 기록이 어떻게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이날 낮에 태백성이 나타났으며, 더불어 김응기(金應箕)와 조지서(趙之瑞)가 지난밤에 혜성이 위성(危星) 6도에 옮겨 있었는데, 북극과의 거리는 65도였다고 서계(書啓)하였다. 이에 대해 왕이 그것이 혜성임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묻자, 김응기 등이 “패성은 광망이 사방으로 뻗어 나가고, 혜성은 해가 동쪽에 있으면 꼬리는 서쪽을 가리키고 해가 서쪽에 있으면 꼬리는 동쪽을 가리키는데, 꼬리의 방향이 해가 있는 위치 따라 달라집니다. 남쪽과 북쪽에 대해서도 그러한데, 선유(先儒)의 의론이 그러하므로 신 등이 혜성이라고 한 것입니다. 지난 신묘년에 그러한 별이 있어서 여러 날 밤을 관찰한 다음에 그런 줄을 알았고, 지금 신 등도 처음에는 감히 혜성이라고 이름 짓지 못하였습니다만 지난밤에서야 비로소 알았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왕이 만족하지 못하고, 아뢴 것이 옳지만 옛 사람의 말에 객성(客星)이라 하고, 혹은 빛이 2척이다, 혹은 2척 남짓하다고 하였는데, 어찌하여 그것이 객성이 아니고 혜성이라고 하였는가 하면서 여러 서적 중에서 혜성과 패성, 객성을 거론한 것을 고찰하라고 전교하였다. 이에 김응기 등이 『사기(史記)』, 『송사(宋史)』, 『문헌통고(文獻通考)』 등을 상고하여 패성과 요성을 통틀어 혜성이라고 하였고, 객성의 경우는 광망의 장단(長短)에 대해서 의논한 곳이 없으므로, 그것을 혜성이라고 한 것이라고 대답하고 있다(『성종실록』 21년 11월 27일). 영의정심연원(沈連源) 등이 요즘 재변이 날로 심해지고 항우(恒雨) 때문에 농사를 망치게 되었는데, 또다시 요성이 북두칠성 중의 괴성(魁星)에 나타났고, 지난 27일 밤에는 요성이 나타났다는 일관(日官)의 보고가 있어 확인하려니 28일, 29일 계속 흐린 날이 되어 미처 관찰할 수가 없음에 감히 무슨 별이라고 이름 지을 수가 없었음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혜성이건 패성이건 재변이기는 마찬가지이며, 『문헌통고』의 상위지변(象緯之變)조를 두루 상고해 보니, 요성이 북두칠성을 범하는 것은 점험(占驗)상 참혹함이 가장 심하다면서 인심(人心)의 순역을 살펴 피전(避殿)하고 감선(減膳)하여 하늘을 기쁘게 하면 재앙이 소멸될 것임을 역설하고 있다(『명종실록』 9년 5월 30일). 이상의 여러 기록을 보면, 혜성과 패성 등의 재변 해석에 송말원초에 마단림(馬端臨)이 지은 『문헌통고』「상위고(象緯考)」가 주된 전거로 활용되고 있음을 아울러 보여준다. 조선의 역대 문물전장제도사를 집성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가 천문 역법 재변을 다룬 편명을 「상위고」라 지은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참고문헌

  • 『사기(史記)』
  • 『한서(漢書)』
  • 『여씨춘추(呂氏春秋)』
  • 『회남자(淮南子)』
  • 『천문류초(天文類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사계절, 2008.
  •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 김일권, 『임원경제지 위선지 역주』, 소와당,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