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10일 (일) 02:08 기준 최신판



황기, 인삼, 백출 등으로 이루어져, 기혈이 심하게 허해서 발생하는 좌우측의 전신 혹은 신체 일부의 마비 증상인 탄탄을 치료함.

개요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은 기혈(氣血)이 크게 허해서 발생하는 좌우측의 탄탄(癱瘓)을 치료한다. 꿀에 축여 볶은 황기(黃芪)·인삼(人蔘)·백출(白朮)·백복령(白茯苓)·술로 씻은 당귀(當歸)·천궁(川芎)·백작약(白芍藥)·숙지황(熟地黃) 각 7푼, 오약(烏藥)·술로 씻은 우슬(牛膝)·술로 볶은 두충(杜冲)·모과(木瓜)·방풍(防風)·강활(羌活)·독활(獨活)·의이인(薏苡仁) 각 5푼, 구운 부자(附子)·침향(沈香)·목향(木香)·육계(肉桂)·감초(甘草) 각 3푼에 생강(生薑) 3편, 대조(大棗) 2개를 넣어 물에 달인다.

『동의보감』에는 가미대보탕을 기혈이 크게 허한 것이 원인이 되어 내풍(內風)이 발생함으로써 좌우의 수족이 탄탄(癱瘓)할 때 쓴다고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보아, 순조대에는 가감대보탕을 올리고 유납고를 붙였으며(『순조실록』 14년 11월 25일), 가미대보탕을 올리고 유황산을 붙였음을 알 수 있다(『순조실록』 14년 11월 27일). 『일성록』에는 순조 14년 11월 27일과 28일에 가미대보탕을 드렸다는 기록이 있다.

제조법

꿀에 축여 볶은 황기(黃芪)·인삼(人蔘)·백출(白朮)·백복령(白茯苓)·술로 씻은 당귀(當歸)·천궁(川芎)·백작약(白芍藥)·숙지황(熟地黃) 각 7푼, 오약(烏藥)·술로 씻은 우슬(牛膝)·술로 볶은 두충(杜冲)·모과(木瓜)·방풍(防風)·강활(羌活)·독활(獨活)·의이인(薏苡仁) 각 5푼, 구운 부자(附子)·침향(沈香)·목향(木香)·육계(肉桂)·감초(甘草) 각 3푼에 생강(生薑) 3편, 대조(大棗) 2개를 넣어 물에 달인다.

효능

기혈이 크게 허해서 발생하는 좌우측의 탄탄(癱瘓)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 『東洋醫學大辭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 万友生 外, 『中医方劑大辭典』, 永信文化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