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취라치(內吹螺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45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내취라치 |
한글표제 | 내취라치 |
한자표제 | [內吹螺赤] |
상위어 | 내취(內吹), 취각(吹角), 취라치[吹螺赤] |
동의어 | 내취각인(內吹角人) |
관련어 | 선전관청(宣傳官廳), 세악내취(細樂內吹), 세악수(細樂手) 외취각인(外吹角人), 외취라치(外吹螺赤), 취고수(吹鼓手), 취타내취(吹打內吹)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직역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숙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내취라치([內吹螺赤)] |
조선전기 궁중에서 통신·시위 때 각(角)을 연주한 군사.
개설
내취라치[內吹螺赤]는 취라치의 하나로, 궁중에서 왕이 교령을 내릴 때와 입직 볼 때 등의 통신과, 노부(鹵簿) 및 전좌(殿座)의 시위 때 궁중에서 각을 연주한 군영 소속 연주자이다.
취라치는 ‘각(角) 연주자’란 뜻으로, 몽고어의 영향을 받아 쥬라치-츄라치에서 발전한 용어이다. 쥬라는 각의 고어(古語)이고, 치[赤]는 사람을 의미한다. 취라치가 몽고어[文語] čuγur[笛]에서 파생된 čuγurči[吹笛人]와 관련되고, 중세 몽고어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čuurči였을 것으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조선초기 취라치는 궁중에서 근무하는 내취라치와 병조에서 근무하는 외취라치로 구분된다. 내취라치는 내취각인(內吹角人), 외취라치는 외취각인(外吹角人)이라고도 했다. 내취라치는 조선후기 내취로 전승되었다.
담당 직무
조선전기 내취라치는 궁중에서의 통신·시위를 담당하였다. 시위에는 노부의 시위와 전좌의 시위 두 종류가 있었다. 노부에는 대가노부(大駕鹵簿)·법가노부(法駕鹵簿)·소가노부(小駕鹵簿)의 세 종류가, 전좌에는 근정전배표(勤政殿拜表), 정조·동지 및 탄일의 정전조하[正至及誕日正殿朝賀], 정조 및 동지의 회백관[正至會百官]과 회례연(會禮宴) 등이 있었다. 통신은 임금이 교령을 내릴 때와 입직할 때 담당했다. 이와 같은 조선전기 내취라치의 직무는 조선후기 내취로 전승됐는데, 그 기능이 확대되고 규모도 커졌다.
조선후기 취타내취는 궁중의 교령·군영의 교련·입직 등에서의 통신 및 동가와 전좌에서 시위를 담당하고, 군영의 훈련과 왕의 거둥 시 음악을 연주했다. 세악내취는 행진과 연향, 그리고 무신 관련 사악(賜樂)에서의 연주처럼 연주가 주 기능이었다.
변천
삼국시대에는 내취 제도가 없었으나 군악인 고취악을 연주하는 각 연주자는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위의·노부의 각 연주자를 취각군이라 했다. 고려시대에 내취 제도가 없었지만, 취각군이 왕의 노부에 편성된 점에서 내취의 성격과 일맥상통한다.
조선전기에 내취라치 혹은 내취라는 용어가 나타난다. 고려시대 취라군(吹螺軍)이 나각[螺] 연주자로 추정되는 데 반해, 조선전기 취라치는 각 연주자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왕조가 교체되는 과정에서 의미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취라치는 소속이나 활동 지역에 따라 구분되었다. 궁중에서 근무하는 취라치를 내취라치, 병조에서 근무하는 취라치를 외취라치라 했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군제가 바뀌고, 명나라 군대의 영향으로 취고수·세악수 제도가 생기자,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내취 제도가 형성되었다. 즉 조선후기 내취 제도는 조선전기 내취라치 전통을 계승한 취타내취 외에 세악내취가 추가되고, 기능이 확대되었다.
의의
내취라치 제도는 조선전기부터 전승되지만, 그 모태는 삼국시대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음악 문화가 내취라치·내취 등 궁중에서 활동하는 군영 악대에 의해 전승되어 온 점과 우리나라 군영 음악 문화 전승의 한 축을 담당한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 태학사,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