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무(干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3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간무 |
한글표제 | 간무 |
한자표제 | 干舞 |
상위어 | 일무(佾舞) |
동의어 | 무무(武舞)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정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간무(干舞)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4년 3월 28일, 『영조실록』 46년 7월 8일 |
궁중 의식에서 사용되었던 춤의 하나인 무무(武舞)의 이칭(異稱).
개설
간무(干舞)라는 명칭은 무무를 춤출 때 방패 모양으로 만든 춤 도구인 간(干)을 사용한 것에 기인한 것이다. 무무를 연행할 때 간과 함께 도끼 모양으로 만든 춤 도구인 척(戚)도 무구(舞具)로 쓴다. 간무라는 용어보다 무무라고 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연원 및 변천
1116년(고려 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무무도 함께 유입되었으므로, 간무의 연원은 고려시대로 소급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간무라는 용어를 쓰지 않았다. 간무라는 명칭은 조선전기 세종대부터 등장한다. 세종대에 “간무와 우무는 양쪽 섬돌에서 춤춘다.”는 『서경(書經)』의 문구(文句)를 인용하면서 회례악무(會禮樂舞) 제정을 논의할 때(『세종실록』 14년 3월 28일), 영조대에는 일무(佾舞)를 추는 사람들을 보니 몸을 굽혔다가 펴고 옆으로 도는 자세가 절주에 전혀 맞지 않았다며 이륙좌기(二六坐起) 즉, 매월 2일·6일·12일·16일·22일·26일에 장악원에 출근하여 연습에 힘쓰라고 독려하는 상황에서 용례가 나타나는 정도로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다(『영조실록』 46년 7월 8일).
『세종실록』 「오례」에는 여러 중국 문헌 기록을 인용하여 간이 춤 도구로 사용된 역사적 맥락을 제시해놓았다. 그에 따르면 『악서(樂書)』에는 중국 주(周)나라의 사간(司干)이 무기(舞器)를 관장했는데, 제사에서 춤추는 사람이 이미 진열하면 무기를 주고, 춤을 다 마치면 무기를 받아들였다는 용례를 제시해놓았다. 또한 『예서(禮書)』에는 중국 주나라에서 무기(武器)를 관장했던 사병(司兵)이 제사에서 춤추는 사람에게 병기(兵器)를 준다고 설명하면서, 『예서』에 소개된 내용에 대해 정씨(鄭氏)는 붉은 칠을 한 방패인 주간(朱干)과 구슬로 손잡이를 장식한 도끼인 옥척(玉戚) 등을 준다고 해석했다는 견해도 수록하였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기도설 간무].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악서(樂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