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아(衝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6일 (수) 14:34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충아 |
한글표제 | 충아 |
한자표제 | 衝牙 |
상위어 | 패옥(佩玉) |
관련어 | 거황(琚璜), 원유관(遠遊冠), 형우(珩瑀) |
분야 | 생활·풍속/의생활/제구 |
유형 | 의복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최은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충아(衝牙)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9년 8월 28일,『세종실록』 19년 8월 28일 |
패옥(佩玉)에 차는 푸른 옥.
내용
충아(衝牙)는 원유관(遠遊冠)의 부속품인 패옥의 하나이다. 원유관은 전형적인 중국 관모로서 진(秦)·한(漢)대부터 조복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 왕이 원유관을 강사포(絳紗袍)와 함께 조복(朝服)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공민왕 때 명의 사여를 통해서부터이다. 1437년(세종 19)에 조선에서 명나라에 보낸 성절사의 표문에 고려 공민왕 때 하사받은 면복과 원유관포를 언급하였는데, 충아는 이의 부속품인 패옥에 등장한다. “원유관에는 패옥 하나가 있고, 폐슬(蔽膝) 앞의 충아는 푸른 옥을 썼으며, 형우(珩瑀)와 거황(琚璜)은 흰 옥을 쓰고”라고 되어 있어 충아가 패옥에 다는 푸른 옥임을 알 수 있다(『세종실록』 19년 8월 28일).
패옥은 여러 가지 모양의 옥을 촘촘하게 연결하여 만들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서례」 제복도설에는, 왕의 패옥은 위에 형(珩)이 있고 가운데에는 거와 우(瑀)가 있으며 아래에는 쌍황(雙璜)이 있고 쌍황 사이에는 충아가 있으며 충아와 쌍황 사이에 쌍적(雙適)이 있는데 모두 무늬가 없는 민옥(珉玉)을 사용하였다고 되어 있다. 맨 윗부분에 금속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 혁대에 걸어서 늘어뜨리게 되어 있었다. 걸을 때마다 황, 충아, 적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깎아 만든 옥 조각이 서로 부딪쳐서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냈다.
조선말기 고종황제 십이장복의 패옥은 2개의 옥패(玉佩)에 각각 옥형(玉珩) 1개, 우 1개, 거 2개, 충아 1개, 황 2개이며 우 밑에는 옥화(玉花)가 있고 옥화 밑에는 오적이 2개 달려 있어 모두 운룡문(雲龍紋)을 새겼다.
용례
洪武三年恭愍王時 蒙賜冕服及遠遊冠袍 永樂元年 得蒙冕服之賜 而遠遊冠絳紗袍 不在賜與之數 故本國因高麗之舊而用之耳 第傳之年久 體制規模 傳訛失眞 未知今之見在者 合於制度乎 且洪武三年賜冠服咨文冕服條內有佩玉 遠遊冠條內無佩玉 今之所傳遠遊冠 有一佩玉當蔽膝之前 衝牙用靑玉 珩瑀琚璜用白玉 貫珠用燔水精 亦未知雜用靑白玉水精 合於制度乎 有與無之是非 亦未可知也 又冕服條內有靑玉圭 遠遊冠條內無圭 亦未知以一圭通用乎 冕服 拜上之服 故有圭 遠遊冠 受朝之服 故不用圭乎(『세종실록』 19년 8월 28일).
참고문헌
-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 유희경, 「면복(冕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