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건(頭巾)"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6일 (수) 14:33 판



헝겊으로 만든 남자용 쓰개 또는 남자의 상복용 쓰개.

개설

헝겊으로 만든 간단한 남자용 쓰개를 가리킨다. 두건만을 쓰기도 하지만 두건 위에 관(冠)이나 모(帽)를 더하기도 했다. 점차 상제(喪制)가 쓰는 간단한 삼각형의 건을 일컫게 되었다. 효건이라고도 한다. 상주는 두건 위에 굴건(屈巾)을 쓰고, 수질(首絰)을 둘렀다. 궁중 잔치 때 악공(樂工)관현맹인(管絃盲人), 가동(歌童)의 쓰개로도 쓰였다.

연원 및 변천

두건을 쓴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 오건사대(烏巾四帶), 문라두건(文羅頭巾), 문라건(文羅巾), 오건(烏巾) 등의 기록이 보이는데 모두 두건의 일종이다. 조선시대의 유건(儒巾), 복건(幅巾) 등도 두건에 속한다. 향리가 관문을 드나들 때, 대소사객(大小使客)을 영송(迎送)할 때 두건을 썼는데 각 사의 이전(吏典)이나 평민이 쓴다고 하여(『태종실록』 16년 1월 12일) 두건이 조선초기부터 향리뿐 아니라, 일반 평민에게도 널리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점차 상제가 쓰는 간단한 삼각형의 건을 일컫게 되었다.

형태

긴 네모꼴의 천을 반으로 접어 솔기가 뒤쪽 중심에 오도록 꿰매 붙인 다음 양옆에 주름을 잡고 다시 위를 꿰매 만든다. 전형적인 건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긴 네모꼴의 자루 모양이다. 재료는 마포(麻布)를 사용하고, 상주는 두건 위에 굴건을 쓰고, 수질을 둘렀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 살펴보면, 궁중 잔치 때 악공과 관현맹인이 쓰는 두건은 겉감을 녹색 비단으로 접어 박아 만들고 안감은 생포(生布)를 대었다. 가동의 두건은 겉을 자주색 비단으로 접어 박아 만들고 안감은 생포를 대었다.

용도

두건은 조선전기에 이전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평상복에 갖추는 쓰개로 널리 쓰였다. 그러다가 점차 상제가 쓰는 건을 일컫게 되면서 효건이라고도 불렀다. 한편 궁중 잔치 때 악공과 관현맹인의 쓰개로 쓰였다. 왕세자가 사신에게 베푸는 잔치[使臣東宮宴], 예조가 왜인·야인에게 베푸는 잔치[禮曹倭野人宴] 등에 참여한 악공과 관현맹인이 단령과 함께 착용했다. 자주색 비단으로 만든 두건은 모화관(慕華館)에서 친열(親閱)하거나 후원(後苑)에서 관사(觀射)할 때 가동의 예복으로 녹색 비단 단령과 함께 착용하였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송혜주, 「조선시대 중인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조우현,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