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정(朴泰定)"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박태정|한글표제=박태정|한자표제=朴泰定|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효종~숙종|집필자=박은화|자= 정지(定之) |호= 경신재(敬愼齋) |봉작=|시호= 경헌(敬憲)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640년(인조 18) 11월|사망=1688년(숙종 14) 12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 경기도 연천(漣川) 지사촌(芝沙村)|증조부= 박동현(朴東賢) |조부= 박해(朴垓) |부=(양부) 박세면(朴世冕) (친부) 박세기(朴世基)|모_외조=(양모) 안동권씨(安東權氏) (친모) 조씨(趙氏)|형제= 박태징(朴泰徵) |처_장인=경녕군주(慶寧郡主):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둘째 딸|자녀=(1자)박필명(朴弼明) (2자)박필영(朴弼英) (3자)박필형(朴弼亨) (4자)박필굉(朴弼宏) (5자)박필평(朴弼平) (1녀)이희남(李喜楠)의 처 (2녀)유정진(柳挺晉)의 처 (3녀)이병성(李秉成)의 처 (4녀)김치겸(金致謙)의 처 (서1자)박신(朴愼) (서1녀)유징삼(柳徵三)의 처 (서2녀)송수옹(宋秀雍)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617|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박태정|한글표제=박태정|한자표제=朴泰定|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효종~숙종|집필자=박은화|자= 정지(定之) |호= 경신재(敬愼齋) |봉작=|시호= 경헌(敬憲)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640년(인조 18) 11월|사망=1688년(숙종 14) 12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 경기도 연천(漣川) 지사촌(芝沙村)|증조부= 박동현(朴東賢) |조부= 박해(朴垓) |부=(양부) 박세면(朴世冕) (친부) 박세기(朴世基)|모_외조=(양모) 안동권씨(安東權氏) (친모) 조씨(趙氏)|형제= 박태징(朴泰徵) |처_장인=경녕군주(慶寧郡主):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둘째 딸|자녀=(1자)박필명(朴弼明) (2자)박필영(朴弼英) (3자)박필형(朴弼亨) (4자)박필굉(朴弼宏) (5자)박필평(朴弼平) (1녀)이희남(李喜楠)의 처 (2녀)유정진(柳挺晉)의 처 (3녀)이병성(李秉成)의 처 (4녀)김치겸(金致謙)의 처 (서1자)박신(朴愼) (서1녀)유징삼(柳徵三)의 처 (서2녀)송수옹(宋秀雍)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617|실록연계=}}
  
 
=='''총론'''==
 
=='''총론'''==
17번째 줄: 17번째 줄:
 
=='''묘소와 비문'''==
 
=='''묘소와 비문'''==
  
1711년(숙종 37) 6월 경헌(敬憲)의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경기도 연천(漣川) 지사촌(芝沙村) 갑향(甲向)의 묘원에 있다. 김창흡(金昌翕)이 [[묘지명(墓誌銘)]]을 지었다. 부인은 소현세자의 둘째 딸 경녕군주인데, 5남 4녀의 자녀를 두었다. 1자는 [[박필명(朴弼明)]]이고, 2자는 박필영(朴弼英)이며, 3자는 박필형(朴弼亨)이고, 4자는박필굉(朴弼宏)이며, 5자는 박필평(朴弼平)이다. 1녀는 이희남(李喜楠)의 처가 되었고, 2녀는 유정진(柳挺晉)의 처가 되었으며, 3녀는 이병성(李秉成)의 처가 되었고, 4녀는 김치겸(金致謙)의 처가 되었다.
+
1711년(숙종 37) 6월 경헌(敬憲)의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경기도 연천(漣川) 지사촌(芝沙村) 갑향(甲向)의 묘원에 있다. 김창흡(金昌翕)이 [[묘지명(墓誌銘)]]을 지었다. 부인은 소현세자의 둘째 딸 경녕군주인데, 5남 4녀의 자녀를 두었다. 1자는 [[박필명(朴弼明)]]이고, 2자는 박필영(朴弼英)이며, 3자는 박필형(朴弼亨)이고, 4자는박필굉(朴弼宏)이며, 5자는 박필평(朴弼平)이다. 1녀는 이희남(李喜楠)의 처가 되었고, 2녀는 유정진(柳挺晉)의 처가 되었으며, 3녀는 이병성(李秉成)의 처가 되었고, 4녀는 김치겸(金致謙)의 처가 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8년 1월 9일 (화) 22:44 기준 최신판




총론

[1640년(인조 18)~1688년(숙종 14) = 49세]. 조선 중기 효종~숙종 때에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도총관(都摠管)이다. 자는 정지(定之)이고, 호는 경신재(敬愼齋)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인데, 친아버지는 경력(經歷)박세기(朴世基)이고, 양아버지는 첨추(僉樞)박세면(朴世冕)이다. 친어머니는 조씨(趙氏)이고, 양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숙부(叔父)인 현강공(玄江公)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효종 · 현종 · 숙종 시대 활동

1653년(효종 4) 10월에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둘째 딸인 경녕군주(慶寧郡主)와 혼인하여 1659년(효종 10) 윤3월에 금창부위(錦昌副尉)가 되어 봉순대부(奉順大夫)에 올랐다. 그 뒤 여러 차례 승진을 거듭하여 통헌대부(通憲大夫)에 이르러서는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도총관(都摠管)을 겸하였다. 이때 그는 의빈(儀賓)의 도리를 다하였는데, 그는 늘 말하기를, “사장(詞章)이나 논의하는 것은 아마도 의빈의 도리가 아닐 것이다. 오로지 삼가며 오직 조알(朝謁)하고 차견(差遣)에 게으르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물러나면 고요히 문설주에 발을 내리고 마치 사방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1688년(숙종 14) 12월 26일 세상을 떠나니 향년 49세였다.

성품과 일화

박태정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어릴 때부터 단아(端雅)하고 성실하여 장난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늘 정좌(靜坐)하여 독서(讀書)에 힘쓰니, 학문이 특출하게 뛰어났다. 그는 지극한 성품으로 친부모·양부모를 모두 물심양면을 다해 받들고, 그 마음을 미루어 옆의 사람들을 다스릴 때도 측은지심을 가지고 자비를 베풀었다. 그리하여 은혜가 고르게 퍼졌으나 그는 오히려 부족하게 여겼다. 그는 일찍부터 박상충(朴尙衷)과 박소(朴紹), 두 조상의 유사(遺事)를 마음 속 깊이 생각하며 그 어짊을 본받았는데, 그의 스승 박세채는 그의 공손함과 온화함, 절의를 크게 칭찬하였다.

묘소와 비문

1711년(숙종 37) 6월 경헌(敬憲)의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경기도 연천(漣川) 지사촌(芝沙村) 갑향(甲向)의 묘원에 있다. 김창흡(金昌翕)이 묘지명(墓誌銘)을 지었다. 부인은 소현세자의 둘째 딸 경녕군주인데, 5남 4녀의 자녀를 두었다. 1자는 박필명(朴弼明)이고, 2자는 박필영(朴弼英)이며, 3자는 박필형(朴弼亨)이고, 4자는박필굉(朴弼宏)이며, 5자는 박필평(朴弼平)이다. 1녀는 이희남(李喜楠)의 처가 되었고, 2녀는 유정진(柳挺晉)의 처가 되었으며, 3녀는 이병성(李秉成)의 처가 되었고, 4녀는 김치겸(金致謙)의 처가 되었다.

참고문헌

  • 『효종실록(孝宗實錄)』
  • 『현종개수실록(顯宗改修實錄)』
  • 『숙종실록(肅宗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 『송자대전(宋子大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