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암도(靑巖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4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청암도 |
한글표제 | 청암도 |
한자표제 | 靑巖道 |
하위어 | 청엄역(靑嚴驛), 선엄역(仙嚴驛), 경신역(慶新驛), 영신역(永新驛), 오림역(烏林驛), 녹사역(綠沙驛), 단엄역(丹嚴驛), 청송역(靑松驛), 가풍역(嘉豊驛), 녹사역(祿沙驛), 청연역(淸淵驛), 가리역(街里驛), 청암역(靑巖驛), 단암역(丹巖驛), 영신역(永申驛), 선암역(仙巖驛), 신안역(申安驛), 가리역(加里驛), 영보역(永保驛), 경신역(景申驛), 광리역(廣里驛) |
동의어 | 청엄도(靑嚴道) |
관련어 | 역도(驛道), 속역(屬驛), 찰방(察訪), 역승(驛丞), 전라우병영(全羅右兵營), 삼례도(參禮道), 영보도(永保道)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성주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청암도(靑巖道) |
조선시대에 전라도 나주의 청암역을 중심으로 설치한 역도.
개설
청암도(靑巖道)는 조선시대의 41역도(驛道) 중 하나로, 장성(長城)에서 영암(靈巖)까지 이어지는 역로와, 무장(茂長)에서 전라우병영(全羅右兵營)까지 연결되는 역로를 관할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청암도에는 청암역을 비롯해 총 12개 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내용 및 특징
청암도는 삼례도(參禮道)와 더불어 전라우도에 설치된 역도로, 장성-나주(羅州)-영암으로 이어지는 역로와, 무장-영광(靈光)-함평(咸平)-무안(務安) 방면, 광주(光州)-남평(南平)-전라우병영으로 이어지는 역로를 관장하였다. 조선초기에는 역승(驛丞)이 주재(主宰)하였으나 이후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맡아보았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청암도는 청암역·단암역(丹巖驛)·영신역(永申驛)·선암역(仙巖驛)·신안역(申安驛)·녹사역(綠沙驛)·가리역(加里驛)·영보역(永保驛)·경신역(景申驛)·광리역(廣里驛)·오림역(烏林驛)·청송역(靑松驛) 등 12개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청암도는 소로(小路)에 해당하였으며, 청암도의 속역은 모두 소역(小驛)에 속하였다.
변천
청암도는 고려시대의 22역도 가운데 승나주도(昇羅州道)에 속한 청엄역(靑嚴驛)·선엄역(仙嚴驛)·경신역(慶新驛)·영신역(永新驛)·오림역·녹사역·단엄역(丹嚴驛)·청송역·가풍역(嘉豊驛)·영보역 등을 계승해 성립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나주의 신안역(新安驛), 장성의 단엄역, 무진의 선엄역, 영광의 녹사역(祿沙驛), 무장의 청송역, 진원의 영신역, 무안의 청연역(淸淵驛)·경신역, 함평의 가리역(街里驛) 등 총 9개 역으로 편성되었으며, 그 당시 명칭은 청엄도(靑嚴道)였다. 이후 청암도로 개칭되었고, 그 속역인 청엄역·선엄역·단엄역 등도 청암역·선암역·단암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조 연간인 1457년(세조 3)에는 각 역의 관할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청암도의 속역인 단암역과 영신역이 삼례도(參禮道)로 이속되었으며, 나머지 속역은 영보도(永保道)로 이속됨에 따라 청암도는 폐지되었다. 그 뒤 1462년(세조 8)에 각 도의 역참을 혁파하고 역로를 정비할 때 복설되어, 청암역·영신역·선암역·신안역·녹사역·가리역·경신역·광리역·오림역·영보역·단암역·청송역 등 12개 역을 관할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의 역참 제도가 확립된 『경국대전』 체제에서도 이 편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청암도에는 청암역·영신역·선암역·신안역·영보역·청송역·오림역·광리역·경신역·가리역·녹사역 등 11개의 속역이 있었다. 이후 청암도는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