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展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
{{의복|대표표제=전의|한글표제=전의|한자표제=展衣|대역어=|상위어=육복(六服)|하위어=국의(鞫衣), 연의(緣衣)|동의어=|관련어=선잠제(先蠶祭), 친잠(親蠶)|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 중국|시대=고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863|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ka_10802011_002 『중종실록』 8년 2월 11일], [http://sillok.history.go.kr/id/kia_12402021_003 『성종실록』 24년 2월 21일]}}
{{의복|대표표제=전의|한글표제=전의|한자표제=展衣|대역어=|상위어=육복(六服)|하위어=국의(鞫衣), 연의(緣衣)|동의어=|관련어=선잠제(先蠶祭), 친잠(親蠶)|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 중국|시대=고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863|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ka_10802011_002 『중종실록』 8년 2월 11일],[http://sillok.history.go.kr/id/kia_12402021_003 『성종실록』 24년 2월 21일]}}
 
  
 
왕비나 [[내명부(內命婦)]] 이하가 입던 예복.
 
왕비나 [[내명부(內命婦)]] 이하가 입던 예복.
19번째 줄: 19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5863"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586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 중국]][[분류:고대~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 중국]][[분류:고대~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53 기준 최신판



왕비나 내명부(內命婦) 이하가 입던 예복.

내용

전의(展衣)는 고대 중국에서 휘의(褘衣)·유적(揄狄)·궐적(闕狄)·국의(鞠衣)·전의·연의(緣衣) 등 왕후가 입던 육복(六服) 중의 하나로, 연회를 베풀거나 손님을 맞이할 때 입는 하얀색 예복이었다. 그러나 후세에는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의 부인과 경대부(卿大夫)의 처 등 모두가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전의가 등장한 것은 1513년(중종 8) 예조(禮曹)에서 중궁의 선잠제(先蠶祭)와 친잠(親蠶)을 아뢰면서 예복에 관하여 상고할 때로, 왕비는 국의를 입고 세 가지[枝]의 뽕잎을 따고, 내명부는 국의를 입고 다섯 가지의 뽕잎을 따며, 그 이하는 전의와 연의를 입고 아홉 가지의 뽕잎을 딴다고 하였다(『중종실록』 8년 2월 11일). 그런데 1493년(성종 24)의 예에 따라 명부의 옷은 아청(鴉靑)을 쓰라고 하였으므로, 조선시대의 전의는 아청이었음을 알 수 있다(『성종실록』 24년 2월 21일). 또한 1638년(인조 16) 한원부원군조창원(趙昌遠)의 딸(후의 장렬왕후)을 책봉하여 왕비로 삼았을 때, 시절이 좋지 못해 구슬 귀걸이와 전의의 예물을 감하였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전의가 왕비의 예물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용례

禮曹啓 文獻通考 漢制皇后蠶服 (중략) 展衣緣衣者九條 以授蠶母 唐制 命婦之服六翟衣者 內命婦受冊 從蠶 朝會 外命婦嫁及受冊 從蠶 大朝會之服也 靑質繡翟 編次於衣及裳 重爲九等 宋制 公 特進 列侯夫人 鄕校世婦 二千碩命婦助蠶 則靑絹上下 其制如此 今以靑衣助蠶何如? 傳曰 命婦之服用鴉靑[『성종실록』24년 2월 21일 3번째].

참고문헌

  • 徐海榮, 『中國服飾大典』, 華夏出版社,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