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건(黲巾)"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참건|한글표제=참건|한자표제=黲巾|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사모(紗帽), 오사모(烏紗帽)|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642|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1206006_001 『태종실록』 12년 6월 6일]}}
 
{{의복|대표표제=참건|한글표제=참건|한자표제=黲巾|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사모(紗帽), 오사모(烏紗帽)|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최은수|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642|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1206006_001 『태종실록』 12년 6월 6일]}}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6642"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664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관모]][[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관모]][[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52 기준 최신판



기일(忌日)에 사용하는 흑색 머리쓰개.

내용

참건(黲巾)은 기일에 사용하는 검은색 쓰개를 말하는 것으로 관리의 관모로는 오사모(烏紗帽)가 이에 속한다. 『문공가례(文公家禮)』에 기일의 복장은 검은 건[黲巾], 흰 옷[素服], 흰 띠[素帶]로 되어 있다. 조선에서는 이에 따라 기일의 복장을 준용하되, 선왕(先王)·선후(先后)의 기일에 파견되는 행향사(行香使)의 경우도 복장은 또한 흰 베옷[白布]·사모(紗帽)·각대(角帶)로 정하고 그대로 쓰게 하였다.

용례

定(忌晨)〔忌辰〕齋行香使冠服之制 初 上命禮曹曰 凡忌齋行香使服紅袍 未可也 宜詳定以聞 至是 禮曹上言 按文公家禮 忌日不飮酒食肉 不聽樂 黲巾素服素帶以居 夕寢于外 自今忌日之服 一遵家禮 乞於先王先后之忌行香使之服 亦用白布衣紗帽角帶 從之(『태종실록』 12년 6월 6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