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령포(圓領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원령포|한글표제=원령포|한자표제=圓領袍|대역어=|상위어=포(袍)|하위어=단령(團領)|동의어=곤룡포(袞龍布)|관련어=단자원령포(段子圓領袍), 아청곤룡원령포(鴉靑袞龍圓領袍), 아청색원령포(鴉靑色圓領袍), 흑원령포(黑圓領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02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qa_10103003_001 『효종실록』 1년 3월 3일]}}
 
{{의복|대표표제=원령포|한글표제=원령포|한자표제=圓領袍|대역어=|상위어=포(袍)|하위어=단령(團領)|동의어=곤룡포(袞龍布)|관련어=단자원령포(段子圓領袍), 아청곤룡원령포(鴉靑袞龍圓領袍), 아청색원령포(鴉靑色圓領袍), 흑원령포(黑圓領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02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qa_10103003_001 『효종실록』 1년 3월 3일]}}

2017년 12월 9일 (토) 20:57 기준 최신판



둥근 옷깃이 달린 왕의 포(袍).

내용

원령포(圓領袍)는 고려 말인 1387년(고려 우왕 13) 명나라의 새로운 관복(官服) 제도에 따라 관복으로 채택되었다. 왕의 포의 둥근 깃을 원령(圓領)이라고 한 것에 반해 백관들의 둥근 깃은 단령(團領)이라 하였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원령의 깃을 많이 파고 소매 또한 넓어지고 무를 뒤로 넘겨 뒷길에 고정시키고 고름을 달았다.

1545년(명종 즉위) 11월에 고명(誥命)을 받기 전 왕이 중국 사신을 영접하는 복색에 대해 원령포와 곤룡포(袞龍袍) 중 어떤 것이 옳은지에 대해 『오례의(五禮儀)』에는 원령포, 성종조(成宗朝)의 일기에는 곤룡포라 각각 기록되어 있으나[『명종실록』 즉위 11월 17일 3번째기사], 모두 익선관을 착용하므로 고명을 받기 전의 원령포는 곧 아청곤룡포(鴉靑圓領袍)를 의미한다. 흉례 때의 흑원령포는 길례 때의 곤룡포와 같은 것이었으며, 장사를 지낸 뒤 왕은 시사복(視事服)으로 흉배가 없는 무양흑원령포(無揚黑圓領袍)를 착용하였다.

용례

無揚赤色黑圓領袍 正合於素服中迎勑之禮(『효종실록』 1년 3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