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後天)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왕과 공자에 의해 발전·부연된 역의 원리.

개설

복희(伏羲)에 의해 제시된 원초적인 역(易)의 원리를 ‘선천(先天)’이라 하고, 문왕(文王)과 공자에 의해 발전·부연된 역의 원리를 ‘후천(後天)’이라 한다. 이 용어를 사용한 학자는 북송시대의 소옹(邵雍)으로, 후천역(後天易)이라고도 한다. 후천은 복희가 그은 팔괘(八卦)를 문왕이 64괘로 연역하였다는 전통적 관점에 따라 문왕에게 의탁한 것이다. 그리고 후에 『십익(十翼)』의 저자로 알려진 공자의 역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후천은 역의 현상적 측면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선천역이 역의 본체를 뜻하는 것과 구별된다. 이후 선천은 이상적이고 안정적인 상태, 후천은 현실적이고 불안정하여 갈등하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내용 및 특징

후천이라는 말은 건괘(乾卦) 「문언전(文言傳)」에서 대인(大人)의 덕을 말하면서 "하늘의 운행을 따르면서도 하늘의 때를 받든다[後天而奉天時]"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소옹의 역학은 본래 송대의 도사(道士)인 진단(陳摶)에서 유래하는데, 소옹은 진단의 학통을 이어받은 이지재(李之才)를 통해 전수받았다고 한다. 「하도(河圖)」를 근거로 하여 작성된 선천의 도식을 복희팔괘(伏羲八卦)라 함에 대하여, 「낙서(洛書)」를 근거로 하여 작성된 것을 후천의 도식이라 한다.

300px

이 도식은 소옹(邵雍)이 『황극경세서』에서 『주역』「설괘전(說卦傳)」에 설명된 팔괘를 처음으로 문왕팔괘(文王八卦)라고 명명한 데서 유래하는데, 복희팔괘(伏羲八卦)가 천지개벽(天地開闢) 이전부터 정해진 자연의 이법(理法)에 따른 팔괘의 배열임에 비해, 문왕팔괘는 천지 만물이 이미 생성된 후 그것이 운행 변화하는 이법에 따른 팔괘의 배열을 의미한다. 즉 복희팔괘가 공간적 원리를 나타냄에 반해 문왕팔괘는 시간적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천지가 변화하여 해와 달이 운행되고 춘하추동의 사계절이 교류하는 변화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복희팔괘가 선천적 방위(方位)를 나타냄에 반해 문왕팔괘는 후천적 방위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설괘전」에 의하면 감(坎)은 북(北)을, 이(離)는 남(南)을, 진(震)은 동(東)을, 손(巽)은 동남(東南)을, 건(乾)은 서북(西北)을, 간(艮)은 동북(東北)을 각각 의미한다. 「설괘전」에는 태(兌)와 곤(坤)의 방위가 빠져 있는데, 다른 괘의 배열로부터 유추해보면 태는 서(西)를, 곤은 서남(西南)을 각각 나타낸다.

선천과 후천의 도식은 세계의 전개 과정을 시간적·공간적으로 상징화해서 자연과 인사(人事)의 변화를 추측하려는 것이다. 그 근거는 「계사전」에서 태극(太極)에서부터 팔괘(八卦)에 이르는 생성론에서 출발해서 한(漢)나라에서 송나라 때까지의 역학에서 정립된 상수론(象數論)·천문역수(天文曆數)에 관한 관점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서경덕(徐敬德)은 일기(一氣)가 음양을 낳고 음양이기(陰陽二氣)가 취산(聚散)과 생극(生克)의 운동을 하여 일월성신(日月星辰)·수화만물(水火萬物)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후천이라고 하였다. 그에게 선천과 후천의 구별은 음양(陰陽)·동정(動靜)으로 드러나기 이전과 드러난 이후의 구별로 나타난다. 서경덕은 구체적으로 초월적인 측면을 일기(一氣), 보편적인 측면을 태일(太一)이라 하여 비록 형이상하(形而上下)를 모두 기로 보기는 했으나, 후천 세계에 나타나는 형이하의 기와는 구별하였다.

참고문헌

  • 『주역(周易)』
  • 『단연속록(丹鉛續錄)』
  • 『화담집(花潭集)』
  •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대유학당, 1996.
  • 廖名春 外, 『周易硏究史』, 湖南出版社, 1991.
  • 朱伯崑 外, 『周易知識通覽』, 齊魯書社,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