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포역(平浦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함경도의 도로망인 거산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평포역(平浦驛)은 조선전기 세종대의 4도 역승(驛丞) 체제에서는 거산도(居山道)에 속하였는데, 그 당시 이름은 평포참(平浦站)이었다. 그 뒤 전국의 역로(驛路)를 44역도(驛道)-537속역(屬驛)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동기도(東歧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세조대에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역로가 개편되면서 거산도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했으나,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조선 건국 초기인 1396년(태조 5)에는 고려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인 오도양계(五道兩界)를 개편하면서 서북면의 군현을 개정하였다(『태조실록』 5년 7월 27일). 뒤이어 1398년(태조 7)에는 동북면 도선무순찰사(都宣撫巡察使)정도전(鄭道傳)을 파견하여, 영흥도(永興道)·길주도(吉州道) 등의 군현을 새로 정비하면서 동북 지방의 역을 정비하고 신설하였다. 이때 정비된 역 가운데 하나가 평포참인데, 『태조실록』에는 평포참의 이름은 예전 그대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태조실록』 7년 2월 3일). 이로 미루어, 평포참은 이미 그 이전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성종대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참’을 ‘역’으로 통일함에 따라 평포역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조직 및 역할

조선후기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홍원현 편에 따르면, 평포역에는 상등마(上等馬) 2필, 중등마(中等馬) 8필, 하등마(下等馬) 9필 등 총 19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400명, 역노(驛奴) 272명, 역비(驛婢) 196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변천

세종대에는 동북 지방을 개척하고 새로운 역을 설치하면서, 함길도의 역로 조직을 새롭게 편성하였다. 특히 6진(鎭) 개척을 계기로 태조대 이후에 신설한 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역도 체제를 확립하였다. 1421년(세종 3) 2월에는 역을 도와주는 구실을 하는 합배(合排)를 설치하고 부근의 민호를 소속시켰다(『세종실록』 3년 2월 7일). 또한 같은 해 6월에는 함길도(高山道)에 고산도(高山道)·시리도(施利道)·주천도(酒泉道) 등 3개의 역도를 편성하고 찰방(察訪)이 이를 맡아 관할하게 했는데, 이때 평포참은 고산도에 속하게 되었다(『세종실록』 3년 6월 2일). 그 후 6진 개척이 거의 완성된 1440년(세종 22) 2월에는 함길도의 역도 조직을 다시 개편하여 고산도·거산도(居山道)·수성도(輸城道) 등 3개의 역도를 각각 1명씩의 찰방이 나누어 관할하는 3도 찰방 체제를 갖추었다(『세종실록』 22년 2월 4일). 이러한 3도 찰방 체제는 1445년(세종 27)에 5도 역승 체제로 바뀌었는데, 그 과정에서 평포참은 화원도(和原道)에 속하게 되었고(『세종실록』 27년 3월 26일), 1446년(세종 28)에 다시 4도 역승 체제로 바뀌면서 거산도 소속이 되었다. 그 뒤 전국의 역로망을 44역도-537속역 체제로 정비할 때, 동기도역승이 관할하는 14개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세조대에는 역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다시 개편하였고, 이 체제가 대부분 『경국대전(經國大典)』으로 계승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평포참은 거산도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또 이때 ‘참’을 ‘역’으로 통일함에 따라 평포역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평포역은 조선후기까지 거산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하다가,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평포역의 위치는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홍원현 관아 동쪽 40리,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홍원현 관아 동쪽 45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는 홍원현 관아 동쪽 40리 지점인 용원사(龍源社)에 있다고 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에 해당한다. 한편, 조선후기 숙종대의 문신인 김창흡(金昌翕)의 시문집 『삼연집(三淵集)』에는 「평포역」이라는 시가 전한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삼연집(三淵集)』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홍원군지편찬위원회, 『홍원군지』, 홍원군민회, 197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