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수역(雙樹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쌍수역 |
한글표제 | 쌍수역 |
한자표제 | 雙樹驛 |
상위어 | 율봉도(栗峯道) |
관련어 | 속역(屬驛),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역촌(驛村), 청주목(淸州牧)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朝鮮) |
집필자 | 이승민 |
폐지 시기 | 1896년(건양 1) 1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쌍수역(雙樹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6년 2월 5일 |
조선시대 충청도의 도로망인 율봉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는데, 쌍수역(雙樹驛)은 이때 충청주도(忠淸州道) 청주(淸州)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때 전국의 역로를 44역도-537속역으로 정비한 데 이어 세조 때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율봉도(栗峯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로 확립되었다. 그 뒤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부터 충청도 청주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충청주도에 속한 34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驛制)가 초기의 6과-147역에서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충청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이 마련되면서 덕류역(德留驛)·금사역(金沙驛) 등과 함께 율봉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청주 편에 따르면, 쌍수역에는 상등마 3필, 중등마 10필 등 총 13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40명, 역노(驛奴) 10명, 역비(驛婢) 7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청주읍지(淸州邑誌)』에는 역민의 수는 같지만 역마의 수는 상등마 4필, 중등마 10필, 하등마 11필로 약간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한편 쌍수역에는 쌍수리(雙樹里)라는 이름의 역촌(驛村)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남자 27명, 여자 30명으로 합계 57명이 총 22호(戶)를 이루었다.
변천
1457년(세조 3) 7월에 여러 도와 역에 역승(驛丞)을 없애고 찰방(察訪)이 여러 도를 아울러 관리하게 했다. 역로가 멀어 제대로 순시하지 못하게 되면서 각종 폐단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460년(세조 6)에 경기도와 하삼도(下三道)의 역을 정비하였다. 이후 충청도에서는 쌍수역이 소속되어 있는 율봉도를 비롯해 연원도(連原道)·황강도(黃江道)에 속한 총 27개 역을 통합하여 율봉도라 부르고, 경기충청우도찰방이 이를 맡아보게 하였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쌍수역은 그 뒤 조선후기까지 율봉도의 속역으로 존속하였다. 1896년(건양 1)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쌍수역은 청주목 관아 남쪽 16리 지점에 있었으며, 역로는 율봉역-쌍수역-율치역(栗峙驛)-덕류역-형강역(荊江驛)-주안역(周岸驛)-증약역(增若驛)으로 이어졌다. 오늘날의 위치는 충청북도 청원군 남일면 쌍수리인데, 쌍수리는 쌍수역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쌍수리 이외에 역말이라고도 불린다.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청주읍지(淸州邑誌)』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