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역(水安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상도의 도로망인 성현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을 매개로 한 교통로인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다. 이때 수안역(水安驛)은 금주도(金州道)에 속한 밀성(密城)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 당시 이름은 영안(永安)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때 전국의 역로망을 44역도-537속역 체제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성현도(省峴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면서 수안역으로 개칭되었다. 그 뒤 세조대에 다시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성현도의 속역으로 확립되어,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수안역은 고려시대부터 오늘날의 경상남도 밀양시에 해당하는 밀성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 당시의 이름은 ‘영안’이었으며, 금주도에 속한 31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금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전기 세종대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성현역(省峴驛)·용가역(龍駕驛) 등을 포함한 14개 역과 더불어 성현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수안역에는 대마(大馬) 1필,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8필 등 총 11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290명, 역노(驛奴) 28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한편 1893년(고종 30)에 간행된 『경상도내각관계사조(慶尙道內各官癸巳條)』에 따르면 이졸(吏卒)이 52명이었으며, 57결(結) 79부(負)의 복호액(復戶額)이 지급되어 역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변천

조선초기에는 찰방(察訪)이 관할하는 역이 많을 뿐 아니라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까닭에 두루 살피기가 어려워 역로가 점차 쇠퇴하는 등 각종 폐단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과 역승(驛丞)을 두도록 하였다. 그에 따라 수안역은 성현역·양동역(良洞驛)·영포역(靈浦驛) 등 16개소의 역과 더불어 성현도찰방을 이루게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조선후기까지 성현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했으나, 1896년(건양 1)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수안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모두 밀양도호부 서쪽 30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동쪽 용가역에서는 30리, 남쪽 양동역에서도 30리 떨어져 있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도 역시 같은 위치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위치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서부마을 일대이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경상도내각관계사조(慶尙道內各官癸巳條)』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