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아성(天鴉聲)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천아성 |
한글표제 | 천아성 |
한자표제 | 天鴉聲 |
관련어 | 나팔(喇叭), 철적(鐵笛) |
분야 | 정치/군사·국방/병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노영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천아성(天鴉聲) |
군사들을 동원하거나 훈련을 시작할 때 불던 나팔 소리.
개설
한 번 긴 소리로 나팔(喇叭)을 부는 것.
연원 및 변천
나팔은 조선전기 이전에 도입된 취타 악기로서 정확히 우리나라에 언제 도입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전기 군영에서 지휘 통신을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명나라의 군사체제가 조선에 전파되면서 명나라군의 취고수(吹鼓手)에 의한 지휘, 통신 제도도 아울러 도입되었다. 한 번 길게 나팔 부는 것을 천아성이라고 한 것은 거위[鵝]가 목을 빼고서 처음 소리를 내고 땅을 치며 하늘을 향해 우는 모습을 본떠서 이름 지은 것이었다. 이 천아성 나팔 소리는 각개 병사들이 일제히 큰 소리로 함성을 지르게 하거나 혹은 총수(銃手)가 일제히 조총을 발사하고, 궁수(弓手)가 일제히 화살을 발사할 것을 명령할 때, 또는 병사들의 방향을 바꿀 때 등에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천아성 나팔을 불고 총 한 발을 쏘고 깃발을 흔들면서 방향을 지시하면 각개 병사들이 깃발이 가리키는 곳을 향해 몸을 돌려 방향을 바꾸게 된다. 천아성은 대체로 긴박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궁중에서는 급한 일이 있을 때에만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시간을 알릴 때에 천아성을 불었는데, 예를 들어 밤이 되어 사대문을 닫는 신호인 뇌고(擂鼓)를 친 뒤에 천아성 나팔을 부는 것은 시간을 정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형태
나팔은 구리로 만들었는데, 길이가 5척(약 1.51m)이며 밑은 가늘고 끝은 컸으며, 일명 철적(鐵笛)이라고 하였다. 지공(指孔)은 없고 취구(吹口)로 불어 소리를 내었다. 나팔은 수상(水上)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하였으므로 앞쪽 모양을 위로 굽게 만들어 소리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였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나팔은 군영에서 신호와 행진 등 이외에도 불교의 재의식과 농악에도 사용하였다. 지금도 대취타와 불교의 영산재(靈山齋) 및 농악에 편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 『대전속록(大典續錄)』
- 『기효신서(紀效新書)』
- 『병학지남주해(兵學指南註解)』
- 『병학지남(兵學指南)』
- 『병학지남연의(兵學指南演義)』
- 이숙희, 『조선 후기 군영악대』, 태학사, 2007.
관계망